나를 돌보는 묵상독서 - 품위 있는 인생 후반기를 위하여
임성미 지음 / 북하우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이란 단 하나에서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게 되는 '독서법'.

그래서 다른 이들의 독서법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묵상독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인생을 독파하는 독서법, 묵상독서

그 어느 때보다 삶의 성찰이 필요한 요즘.

어떻게 읽어 내려가는지에 대해 한 수 배워보려 합니다.

고요한 사색, 독서를 통해 이루어지는 영혼의 치유

"고통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깊이 바라보고 이해하는 것이

바로 독서라는 행위의 참된 의미입니다."

나를 돌보는 묵상독서



아마 다들 그럴 겁니다.

'나는 왜 이렇게 사는 게 힘들까?'

아무리 나이를 먹어도 어려운 우리의 삶...

젊은 날 치열하게 살고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해 후반기에 돌입하더라도 삶은 그리 녹록지 않습니다.

어디서 답을 구할 수 있을까...?

저자는 '독서'가 바로 그 답이 되어준다고 하였습니다.

특히나 24시간 세상과 연결되어 그 어느 때보다 소음이 가득한 오늘날, 책을 읽을 때 찾아오는 정적이 우리를 일상으로부터 잠시 떨어트려놓음으로써 그동안 귀 기울일 수 없었던 내면의 목소리를 들려주게 합니다.

사색과 침묵의 시간의 필요성.

그리고 내면의 목소리를 듣는 데 최적화된 독서법이 바로 '묵상독서'라 하였습니다.

왜 우리는 독서를 해야 하는가? 존재를 위한 독서란 어떻게 하는 것일까? 이런 질문을 계속하다가 만난 사람들이 중세 수도승들이었습니다. 여러 책들을 통해 깨달은 것은 그들에게 독서란 자신을 알아가기 위한 행위였다는 것입니다. 그들은 독서를 통해 자신을 변화시키고 자신이 깨달은 것을 삶으로 살아내고자 애썼습니다. - page 14

'묵상'이라는 행위를 독서에 접목하여 글이 아닌 인생을 읽어내며 삶을 돌보기 위한 명상을 하였던 그들.

그리하여 저자는 지난 10년 동안 읽어온 수백 권의 책들 중 한 70여 권의 책을 소개하면서 어떤 삶을 살아가면 좋을지에 대한 삶의 방향을 제시해 주었습니다.

이 책을 통해 관심이 생긴 책이 있었습니다.

그동안 여러 책에서 일부가 소개되다가 2021년 비로소 출간된 『에티 힐레숨』.

1914년 네덜란드 미델버그에서 고전어 교사인 아버지와 러시아 출신이며 러시아어 교사였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에티.

에티의 두 동생들이 정신적인 문제로 치료를 받았듯이 가정의 분위기가 온전하지 않았었고 에티 역시도 20대 초반 일기를 보면 성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다소 불안정한 모습을 보입니다.

그러다 1941년부터 유대인 심리치료사 율리우스 슈피어를 만나면서 인생의 대전환을 맞이하게 되는데...

슈피어를 만나면서 성경을 비롯해 많은 책들을 읽기 시작합니다.

특히 릴케와 도스토예프스키, 푸시킨, 아우구스티누스를 즐겨 읽었고 성서도 반복해서 읽고 묵상하고 기도하며 슈피어와 깊은 대화를 나누었다고 하는데...

어느 날부터 에티는 자신이 묵상 중에 내면의 가장 깊은 존재를 만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됩니다. 그리하여 그는 내면에서 들려오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합니다. 에티는 내면의 '존재'가 '생각하는 정신'과는 다른 근원적인 에너지와 같은 것임을 알게 됩니다. 그리하여 에티는 말합니다.

"생각으로는 감정의 어려움을 벗어날 수 없다. 전혀 다른 것이 필요하다. 귀를 기울여야 한다. 한 조각 영원과의 접촉을 회복해야 한다. 깊고 변함없는 근원에 의존해서 살아야 한다." - page 131

그리하여 에티에게 독서는 자신을 만나는 독서, 영혼을 만나는 독서였고, 그것은 곧 영혼을 돌보는 독서였습니다.

우리를 영혼으로 이끄는 것, 그것은 진정한 자기, 제 영혼에 닿고자 애쓰는 지적 탐구가 그 출발점이라는 것을 일러주었던 에티.

기회가 된다면 꼭 읽어보려 합니다.

책을 읽고 난 뒤 우리에게 필요한 건 '멈춤'이 아닐까 싶었습니다.

무엇인가 움켜쥐고 있는 것을 내려놓는 것, 침묵하는 것, 귀를 기울이는 것, 자기 안에 오랫동안 억눌렸던 것을 풀어놓고 화해하는 것.

정신을 가다듬고 나의 참된 정체성을 찾으려는 의지, 고요함 속에서 나의 고집을 내려놓는 것, 삶의 속도를 늦추고 생명의 리듬을 회복하는 것, 무절제한 소비를 줄이고 정도와 중심을 추구하는 것, 고통 속에서도 사랑을 실천하는 것, 이 모든 '멈출 것'이야말로 우리의 기본권이며, 건강한 삶을 위한 필수 조건임을.

바로 이는 수도원이 우리에게 권한 것이었고 이제 우리는 실천해야 할 것이었습니다.

또한 『독서의 역사』 책을 쓴 알베르토 망구엘이

"독서는 숨 쉬는 행위만큼이나 필수적인 기능이며, 우리 자신이 어떤 존재이고, 또 어디쯤 서 있는지를 살피려고, 또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세계를 읽기 위해 독서를 하는 것이다"

말한 것처럼 우리 존재의 근원인 영성을 잊어버리지 않고 자각하기 위해선 '독서'가 필요함을.

덕분에 진정한 독서의 의미를 새기게 되었습니다.

사색의 새로운 이름 '묵상독서'.

저도 이와 걸맞은 책들을 집어 들고 묵묵히 나아가 볼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