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모멘트 - 우주 감각을 깨우는 천문학 공부
일본과학정보 지음, 류두진 옮김, 와타나베 준이치 외 감수 / 로북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한민국 독자 기술 누리호 발사', '뉴 스페이스 시대 본격 개막'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독자적인 기술로 만든 발사체를 우주로 보내면서 우리도 우주 선진국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민간기업들도 우주개발에 힘을 쏟고 있는 시대인 만큼 우주개발의 중요성과 화제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와 발맞춰 우주에 대해 알아야 했습니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저에게 딱 맞는 책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어려운 수식 없이 친절한 설명으로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는 천문학 이야기

이제 저도 우주에 발을 내디뎌볼까 합니다.

무한한 우주의 수수께끼와 낭만을 한 권으로 압축하다

우주 모멘트



여러분은 지금 우주를 여행하고 있습니다

우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여러분은 지금 우주에 서 있습니다.

갑자기 이런 말을 들으면 의아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우주'라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대기권 밖에 있는 새카맣고 아무것도 없는 진공의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그런 일은 있을 수 없다'라고 부정할 것인데...

그럼 애초에 '우주'란 무엇일까?

이 질문으로부터 이야기는 시작되었습니다.

'지구에서 보는 우주는 어둡고 추운 진공의 공간이다.'

물리학의 관점에서는 우주를 시공간 연속체의 집합으로 정의합니다.

그리고 현대물리학에서는 우주를 생성·팽창·수축·소멸하는 '물리계 중 하나'로 여깁니다

우리가 만들어낸 현대물리학이 통용되는 범위는 '우리가 사는 우주'에만 국한되어 있습니다.

(만약 다른 물리 법칙을 가진 '무언가'가 있다면 다른 우주가 존재하는 셈이 됩니다.)

따라서 책 속에서 이야기하는 우주는 '우리 우주'가 대상이 되는 것입니다.

'광활한 우주'라는 말은 단순히 우주의 거시 세계만을 뜻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미시적 시선을 돌려보면 원자, 소립자 등의 세계도 우주라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저자는 우주의 시작과 끝은 어떤 모습인지, 지구와 인류는 어떻게 탄생했는지, 우주 전체에 에너지는 얼마나 있는지, 블랙홀과 암흑물질에 관한 연구가 왜 필요한지, 태양이 사라지기 전에 인류는 어디를 향해야 하는지, 인류를 뛰어넘는 외계 문명이 존재하는지 등 우주를 거시적 시선과 미시적 시선으로 바라보며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과 답으로 우주에 관한 거의 모든 기본적인 정보를 전달하고 있었습니다.

어떤 점 하나로부터 갑자기 공간이 탄생하고 불과 1초 사이에 안정된 쿼크로부터 양성자와 중성자가 만들어지면서 우주가 채워지고 1분 후, 우주는 1광년 크기까지 팽창하게 됩니다.

계속해서 더욱 팽창하고, 원자와 분자의 가스가 퍼져나가면서 중력에 의해 별과 은하가 탄생하고 현재의 우주가 만들어졌는데...

그런 우주를 이해하기 위한 과학자들의 연구로 다양한 이론과 기술이 진보하게 되었고 지속적인 발전으로

우주는 꾸준히 작아지다가 결국 우리에게 친숙한 존재로 다가오게 될 것

이었습니다.

사실 우주를 이해한다는 건 어려운 단어가 죽 나열되어 있고 우리 생활과는 접점이 없어 보이는 이론들로 마냥 어렵고도 나와는 동떨어진 현상이라 여겼었는데 이 이론들이 우리의 생활을 지탱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움에 앞서 무관심했던 제 태도를 되돌아보게 되었습니다.

일반상대성이론이 아니었다면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기술이 없었을 테고 우리 주위에 넘쳐나는 빛의 정체를 밝혀준 광양자 가설까지...

그래서

우주와 우리 생활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아니, 우리가 우주에 살고 있기 때문에 더욱 우주의 수수께끼를 밝혀내는 일이 우리 생활에 변화를 가져다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 page 16 ~ 17

이 말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우주는 전체의 단 5%에 불과하다고 하였습니다.

특히나 우주와 은하를 이해하려면 반드시 규명해야 하는 미지의 에너지, '암흑물질'.

미지 에너지의 정체를 인류가 밝혀내는 날, 우주를 향해 품게 될 우리의 호기심은 우주에 존재하는 암흑물질의 비율 이상으로 커질 것이라 하였습니다.

그날을 저도 꾸준히 관심을 가지며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