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진실과 반전의 역사 - 유물과 유적으로 매 순간 다시 쓰는 다이나믹 한국 고대사 서가명강 시리즈 12
권오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가명강'

정말 찾아읽는 책 중 하나입니다.

좋은 강의를 책으로 접할 수 있기에, 나의 지식의 확장과 배움의 기쁨을 느낄 수 있기에 다양한 분야, 최고의 교수진들의 이야기가 담긴 강의를 읽곤 합니다.


이번엔 '역사'였습니다.

그것도 삼국시대!

돌이켜보니 한국사를 배울 때 후반으로 갈수록 더 자세히 배웠던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그 시대를 증명해줄 자료가 많기에, 가까운 역사이기에 고대사보단 현대사에 더 치중을 하였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다 이번에 경주 황남동 고분에서 6세기 온몸 귀금속으로 치장한 피장자가 발견되면서 그 시대에 대한 또 한 페이지가 쓰여지게 되었습니다.

여전히 우리의 발 밑에 존재하는 유물과 유적들 속에 계속해서 쓰여지는 페이지들.

그 중에서도 삼국시대, 우리의 고대사로의 이야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삼국시대, 진실과 반전의 역사

 


본문에 들어가기 앞서 교수님의 말씀이 인상적이었습니다.


"한국 고대사를 연구하는 연구자는 한국이란 틀 안에만 갇혀 있어서는 안 된다. 역사학자는 민족사를 넘어서 인류 공동의 역사 연구에 앞장서야 한다."


고대사는 그 불확실성으로 인해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알고 있는 신화와 전설들이 소개되면서 '역사'보단 '판타지소설'과도 같은 '고대사'.


참으로 놀라웠던 사실이 있었습니다.

경주에 있는 수많은 무덤이 실은 신라와 무관하다거나, 공주의 무령왕릉에 무령왕이 묻혀 있지 않는다는 주장, 삼국은 한반도 내부가 아니라 중국 대륙에 있었다는 주장이.....

이런 우스갯거리가 있다는 점은 결국 우리가 역사에 대한 관심 부족이 낳은 결과라는 점이 참으로 부끄럽고도 안타까웠습니다.


그래서 저자는 보다 고대사에 흥미를 가지고 역사에 접근할 수 있도록 유물과 유적, 무덤과 인골, 수도유적, 교류의 흔적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하고 있었습니다.


우리가 딛고 선 땅 위, 혹은 땅 아래에 남겨진 흔적이 조금씩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내고 있었습니다.

그로인해 소략한 기사로만 남아 있어서 희미했던 역사적 사실이 선명하게 드러나게 되고 특히나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하지 못할 보물들이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진실은 반드시 밝혀진다'는 것을 또한번 증명하게 되었습니다.


유물과 유적만으로 삼국시대를 정의할 수 없었습니다.

그동안은 한국과 중국, 한국과 일본과의 관계로 '외로운 동쪽의 섬나라'라고 단정하곤 했는데 조금만 시각을 넓히면 고조선과 같은 시기 고대 국가를 형성하며 비슷한 운명에 처했던 여러 세력이 존재했다는 사실.

즉, 한국은 동쪽의 고요한 은자의 나라가 아닌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에 자리잡고 유라시아 곳곳의 이웃들과 다양하게 교섭해 다른 지역에서 우리의 고대사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이상 한국사에 취중하지 말고 보다 넓게 세계사로 나아가야함을 일러주었습니다.

 


여전히 현재진행중인 우리의 역사 이야기.

발굴로 그동안 알고 있던 역사가 뒤바뀔지언정 역사는 유유히 흘러가고 있다는 사실.

그렇기에 역사학자의 연구는 역동적이어야함을, 그리고 우리도 애정과 관심으로 역사의 흐름을 지켜보아야함을 깨닫게 해 주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