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쓸 때는, 일단 일회독을 마친 후에, 읽은 대강의 전체 글흐름이 날아가기전까지, 메모지를 옆에 놓고 글에서 나오는 개념들과 논리 전개를 정리, 요약해가면서 보는 편인데, 간혹 그 작업이 끝날거 같지 않아 보이는 책들이 있다. 이름도 유명한 <선과 모터사이클 관리술>이 그렇다.















읽다보면 노자의 고기기술자편을 연상케하는 오토바이 관리나, 오토바이 라이딩을 거의 직접 체험하는 정도로 기술한다. 이 과정에 명상의 관점이 있다. 일본 젠 명상에 대해서는 기본상식이 없지만, 우리나라 선 명상에 관해서는 짧은 독서경험이 있어서 보통 명상자가 '이 뭤고?'라는 의문에 초점을 맞춰 명상을 하는 과정에 얼추 맞는 기술들이 계속 나온다. 이 명상에 초점을 맞춘 기술방식이 비슷하지만 결이 다른 어떤 '맑은' 정신의 속성을 보여준다. 

단순히 의식만을 다루는 심리학 부분을 넘어서는 인간정신을 기술하는 방식들로, 소설이지만 기억을 중심으로 놓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기억과 관련된 언어의 향기나 풍미), 프로이트나 융 같은 정신분석가들의 기술법이 있지만, 명상을 중심으로 놓은 기술법은 이들과는 또 다른 거 같다. 물론 이들의 기술법을 어떠하다 잘라 말하기도 쉽지 않지만.


몇 년전에 tv인터뷰에서 보고서 끌리는 점과 궁금한 점이 있어, 잠시 들여다 봤던 김형경의 <만가지 행동>도 취지는 이해가 가지만 속에 담긴 내용물을 소화하기는 쉽지 않아 내려놨다가 요근래 다시 들었다. 본인이 오랜시간 정신분석을 받고 자신과 자신의 주변인들의 이야기들을 정신분석에 맞춰 차근차근 풀어낸다. 그러나 감정형 성격유형 여성분들의 정신세계를 끊이지 않고 계속 접하는 것이 좀 힘들 지경이어서, 읽는데 속도가 붙질 않는다. 
















그리고 너무 모르는 분야라서 정리와 리뷰쓰기가 어려운 책도 있다. 정우진의 <몸의 신전>이 그렇다. 같은 저자의 <감응의 철학>에 너무 감동해서 열혈독자가 되었는데, 도교, 한의학, 호흡법 이런 것들이 다 들어가 있어서, 속도가 붙질 않는다. 그렇지만 이 분야에 관심이 있고 저자의 세심한 번역이 책을 포기하지 않게 잘 인도해주고 있다.
















그리고 처음봤을 때보다는 관심이 식긴했지만, 여전히 애정하는 프랑수와 줄리앙의 <무미예찬> 이다.
















여기 '무미'는 한자 '담'을 번역한 말이다. '담'이라는 현상 혹은 경지를 여러 분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훈련을 받은 이들의 노자와 장자 읽기는, 동양사유를 읽으려는 서양인들의 노력과 많이 다르지 않아 보인다. 

김용옥의 <노자가 옳았다>, 최진석의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모두 분석을 중시하는 서양전통문화의 특성을 보여준다. 정진우의 <감응의 철학>에서 잘 정리해놓은, 동양사유를 포착하려는 여러 관점, 즉 시스템론, 상관적 사유 등이 그렇다. 동양사유의 몇몇 특성은 포착하는데 성공하지만, 중요한 다른 특성에는 취약했다. 중국사유외에 다른 민족과 인류에 접근할만한 수단인, 인류학과 구조주의 도 그런 서양전통의 테두리 속에 있다. 은유나 환유같은 접근도 그렇다.















철학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방식들이 어쩔 수 없이, 이상적인 형이상학을 그려내어, 대상이 되는 어떤 현상을 잡으려 하기때문에 그런 거 같다.


유가 전통을 도가와 구별하기는, 당시 시대가 요청한 여러 요구들을 읽어내고 유추하는 즐거움과 유가 특유의 해결책이 어떻게 탄생했는가를 지켜보는 즐거움을 주지만, 그보다는 동양사유라는 틀에서, 그 탄생을 가능케한, 도가 전통과 유가에 공통된 뿌리가 무엇일까가 더 궁금하다. 


장자 곽상주 김학목 번역도 조금 아쉬웠는데, 확실한 의미를 잡으려다 보니, 노자와 장자의 해석을 좀 좁게 잡은 듯 느껴졌다. 
















동양 고전 읽기는 기하학적인 구조를 전제하고 추구하는 일반적인 독서법과 독서비평(리뷰) 쓰기와는 다를 수 밖에 없다. 특히 선진과 양한 시대 서적을 읽어낼 때는 더 그럴거 같다. 

















정우진의 <감응의 철학>에서 동양사유를 잡아내기 위해, 여러 고전에서 해당부분을 모아놓고 그 사유체계를 구성해놓는 모습은 무척 인상적이었다.

고대사유를 재구성하려는 시도들은 무척 흥미로워 보인다. 관심이 있어서 몇몇 책들을 즐겁게 보았지만, 흥미로운 가설과 그 사유의 편린을 결과물로 제시한 책들도 이미 훌륭했지만, <감응의 철학> 정도까지(그 사유로 응용이 가능한 정도까지) 나아간 책은 거의 보지 못한거 같다. 

그런 연유로 아직 접하지 못한 신작 <양생>도 엄청나게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통 사람(문화)과 다른 존재들의 생각(사유 기타)들을 들여다 보고 그러면서 인상적인 시선도 많이 느꼈고, 어떤 분석의 깊이를 짜릿하게 목격하기도 했지만, 분석은 분석의 영역을 벗어나면 온전하기는 쉽지 않은 거 같다.

자주 들르는 로쟈 님의 서재에서 댓글로 정치영역에서 책상철학자들의 한계를 지적한 글에서도 어느 정도 느꼈지만(나중에는 비밀댓글로 바뀜), 당장 현실에 적용하기에는 이상적이거나 이론적일 수 있고, 혹은 오랜 시간을 견디는 힘을 가진 글들이 거꾸로 시급한 현실을 다루기는 너무 느긋할 수 있다.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 것을 임시로 '임상'이라고 부르면, 이론의 대상과 임상의 영역과 실제의 영역의 괴리는 적지 않은 거 같다. 작은 예로, 융의 분석심리학을 바라보는 입장도 차이가 있는 거 같다. 상담심리학을 하시는 분들이 분석심리학을 생각외로(내생각) 굉장히 좁게 실용적으로 바라본다는 인상을 받아서, 책으로만 접한 내 인상은 우리 의식과 적지않게 관련된 무의식을 탐구하는 훌륭한 시선이었는데, 내가 흥미와 감동을 느낀 부분과 실용성은 차이가 꽤 있구나 를 느꼈다.

<감응의 철학>에서 근대와 현대 시선으로 동아시아 문화를 다루는 것이 얼마나 엉성한지를 여러모로 경험했다.


그런 방향으로 한번 정리해본다, 좀 다른 관점으로 접근해본다 의 정도인거 같다. 서양 글쓰기 전통의 대표 형식인 논증글쓰기를 다룬 <논증의 탄생>에서 보면 두 종류의 논증 글쓰기가 많은 글의 대부분이다. 특별히 단어의 의미나 정의에 관한 글이나 철학 글쓰기는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지만, 좀더 정교할 뿐 
















글, 독서,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몇년 전에 '초기불교'라는 이름으로, 상좌부경전중 아함경에 해당하는 니까야 를 번역하고 논서인 아비담마 길라잡이, 청정도론 도 줄줄이 번역한 스님들이 있었다. 그분들이 다음카페에 올린, 번역한 책들의 강의나 해설, 질문에 대한 글들을 보고, 초기불교에 대한 진심과 열정 같은 것에 인상적으로 봤던 기억이 있다. 

아비담마 길라잡이 를 

번역된 아함경 

구사론도 굉장히... 아직 접하지 못했다.

모두 자신의 입장을 긴 호흡으로 하나씩 차근차근 전달하다.

권오민의 <아비달마불교> 는 거꾸로 통합하고 종합해 정리해 전달한다. 
















그 안에서 내가 봤거나 아는 내용을 하나씩 발견하는 재미가 있었는데, 그러다보니 역으로 '아비달마불교' 중 내가 모르는 내용이 뭔지 알 수 있게 되는데, 

하이라이트는 저자가 후기에 올린, 우리불교문화에서 만연한 소승불교에 대한 편견과 폄하가, 대승불교가 시작되면서 대승불교측에서 주장하던 내용과 다를게 없다는 얘기와, 인도에서 대승불교가 흥하던 현장법사가 방문하던 시기조차 대승불교에 비하여 우월한 소승불교 문화가 있었다는 점이다. 

독자성 강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라마틱

기독교로 대표되는 서양문화의 초월자 

유교 불교 도교 

기대했던 해석방향인, 노자를 노자로 해석

우리가 몇몇 종교에 갖고 있는 편견들이 노자 도덕경에도 있다. 노자와 가까와 보이는 '도교' 자체도 노자에 대한 편견이다. 도교는 도덕경을 반영하기보다는 어느 나라, 어느 곳에서나 자연발생하는 자연숭배에 관한 종교다. 

그래서 신라시대 최치원의 '풍류'를 우리 고유한 '도교'라고 칭하는 것은 좋지 않은 거 같다. 


확실히 종교나 종교적 체험 보다는 철학적 관점을 메인으로 하기 때문에, 다른 노자해석에서 두드러지지 않은, 철학적 개념들과 해석을 꾹꾹 책에 눌러 담았다.

'무위'에서 '무'를 해석

'허'

그렇게 기대하고 궁금했던 '계곡'은 별다른 첨가물 없이 여성성기에 비유

그리고 노자와 관련된 학문 트렌드 소개는, 도올의 다른 고전번역보다는 약하다(내가 다른 고전보다 노자 번역 책들을 많이 접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노자 고고학 얘기도 이미 다른 이의 책들에서 여러번 언급된 내용이 대부분이다.


한문 글자 그대로 번역하는 거 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는 것들을 대하는 태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