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tensorflow 모임에만 매일 10-20개 새소식과 뉴스들이 올라오고 있다. 수준들과 분야들이 너무 다양해서 내게 맞는 글을 선별하는 것도 쉽지 않을 정도다. 최신 업데이트는 그렇게 줏어 들을 수 있지만, 기본은, 아무래도, 책이 편한 거 같다. 가르쳐주는 사람이나 현업이 아닌 경우는, 여러번 읽고 자기 말로 정리하는 과정을 거쳐 익숙해지고 조금씩 느는 느낌도 생기는 거 같다. 가끔씩 세미나나 프로젝트를 참여해서 보충을 하면 금상첨화인거 같다.

최근에 반복해서 본 책은 Marsland의 <알고리즘 중심의 머신러닝 가이드>다.















반갑게도, 이 책은 거의 Bishop 의 머신러닝 책의 동무(companion)이다. 물리학자인 Bishop의 머신러닝 소개는 알차고 분명하고 깔끔하지만, 공학이나 컴퓨터공학의 배경지식이 아주 넘치지는 않는거 같다. Bishop이 머신러닝 전반에 필요한 형식적 체계를 잘 잡고, 필요한 깊이의 수학 내용을 깔끔하게 잡아내 설명하는데 비하여, Marsland는 컴퓨터 전공자 답게 이쪽 분야 어휘의 기원 부터 어떤 공학적인 아이디어를 입체적으로 능숙하게 설명해준다. 머신러닝에 필요한 수많은 분야에서 잘 취합해, 부드럽게 설명해서, 그 후로 Bishop의 이론에 들어가면 낯설지 않게 공부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 그리고 파이썬으로 각 머신러닝 분야를 구현하고 있어서 좋다. Bishop 책에서 수식이나 그림으로 잘 감이 오지 않을 때, Marsland의 컴퓨터 관점의 그림이 도움일 될 때가 많았다. 실제로, Marsland가 각 장마다 빈번히 인용하는게 Bishop의 책이기도 하다.

Bishop 책에 잘 안나오는 최적화(머신러닝에 잘 안나오는 공학최적화)관점이나 알고리즘(탐색같은)관점에서 설명을 할 때면 참신하다 싶기도 했다.

그 외 이론 설명은 최소로 하고, 수치로된 데이타를 가지고 파이썬으로 뉴럴네트워크를 구현할 기회를 주는 책도 재밌었다. 
















다만, 아쉬운 점은 번역이다. Marsland 책에 담긴 내용이 손상받을 만큼 큰 오역은 없어 보이지만, 번역훈련을 좀 받지 못한 번역자의 번역이라는 인상이다. 머신러닝 배경지식이 있으신 분이 보기에는 문제가 없지만, 처음 참여하는 분이라면 번역이 명확해 보이지 않을 거 같다. 

책이 다루는 분야가 넓다 보니까 낯설고 어려운 분야에서는 어미, 조사 같은 거외에도 내용도 약간 얼버무린 느낌이 있다. 그래도 전반적으로 별 5개 만점에 3.8 는 되는 거 같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디터D 2017-07-16 01: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해당분야의 독자들은 리뷰를 다른 분야와 달리 잘 남기시지도 않는데다 남기셔도 배송관련 혹은 한줄평이라 서점에 직접 가지않고서는 힘든편인데 좋은 리뷰 잘 보고 갑니다^^

마일즈 2017-07-16 01:22   좋아요 0 | URL
비전공자다보니까 천천히 음미하고 정리하는데 가끔씩 서평 쓰는게 도움이 되는 것 같아서요. ㅎㅎ 온라인 서점보다는 페이스북 같은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에 가보면 엄청 활발하게 활동들하시더라구요.

무기 2017-07-17 23: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안녕하세요. 서평 매번 잘 보고 있습니다. 페이스북 온라인 커뮤니티는 한국분들 모임인가요? 아님 글로벌 모임인가요? 통계 공부(학부) 머신러닝 뉴비인데, 선지자 분들께 배움을 좀 얻고 싶어요

마일즈 2017-07-18 01:31   좋아요 0 | URL
TensorFlow KR 로 한국모임입니다. 공개 그룹이니 가서 한번 살펴보세요~

무기 2017-07-18 15: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감사합니다. 페이스북에서도 그룹이 있는지 몰랐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