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본격적으로 불교들어오기 전인 선진시대에 관한 책과, 인도 초기 불교에 대한 책을 보니까, 중국불교에 담긴 중국 지역성이 보이고, 다시 중국불교의 시작으로서 인도 지역성도 조금씩 느껴지는 것 같다.
<대승불교> 같은 개론서를 통해 개략을 파악하고, 조금씩 모아둔 불교연구서들을 다시 읽기 시작했다. 연구나 논문을 쓰려는 것이 아니다 보니까, 그때그때 흥미와 사정상 책들이 인도 중국 불교사 중 랜덤하게 모였다. 개론서에서 강조하고 소개하는 책들 중에 고른 것도 있고 해서 지금 보면 왜 샀는지 생각도 안나는 책도 좀 있다.
초기불교에서 부파불교로 확장 분화하는 과정도 널리 알려진 진보적인 대중부, 보수적인 상좌부 분화처럼 비교적 그 이유가 명확한 경우도 있지만, 남은 자료가 많지 않고 그 계승이 불명료한 경우는 이름만 남고 세부내용은 모르는 경우도 꽤 있는거 같다. 그 중 하나인 '경량부'에 관한 책이 서재에 있어서 읽기 시작했다. <경량부 연구>다. '구사론'에 관한 얘기가 정말 자세하고 흥미롭게 잘 정리되어 있다.
불교에 관한 상식이 뭉터기 이미지에서 조금씩 분별이 되기 시작하니까, 어느 시기 어느 지역에서 흥하고 흘러흘러 전도되기 시작한 각 불교의 조각들이 다르게 보이고 흥미롭게 느껴진다.
대승 불교 흐름에서 중요한 줄기 중 하나인 <불교의 중심철학>, <유식철학>, <불교논리학1> 도 쉽게 접했던 큰 그림 속 다양한 논의와 얘기들이 반갑고 즐겁다. 하지만, 이들 책도 쓰여진지 벌써 수십년 전이고, 저자들이 원하는 취지와 시대배경은 제각각이다. 과장하면, 중국불교에서 번역승들이 선택해 번역한 경전처럼, 이들도 자신이 원하는 목적에 맞게 번역하고 해석한 것이다.
무르띠의 <불교의 중심철학>은 중관사상에 관한 것이다.
체르바스키의 <불교논리학1>은, 막 제대로 된 불교를 서구세계에 알리려는 이의 고군분투를 잘 보여준다. 역자의 어휘선택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기독교 배경지식에 익숙한 독자들에게 설명하려는 저자의 의도를 보여주는 어휘들이, 과장하면 중국 번역승들의 격의불교 느낌이 조금 들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