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서 그러했듯 땅에서도 그러하리.
내면에서 그러했듯 외부에서도 그러하리.
- 기원전 3000년경 에메랄드 서판

‘비밀‘ 은 당신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얻게 해준다. 행복이든 건강 이든 금전이든. 밥 프록터(철학자, 저술가)

당신은 무엇이든 원하는 대로 되고, 하고, 얻을 수 있다. 조 바이탤리 박사(형이상학자, 마케팅 전문가, 저술가)

비슷한 것은 비슷한 것을 끌어당긴다.

좋은 것을 끌어당겨라, 나쁜 것 말고

"생각과 사랑이 더해지면, 끌어당김의 법칙에 저항할 수없는 힘이 생겨난다."
- 찰스 해낼

• 기분 전환 도우미‘, 즉 즐거운 기억, 자연, 좋아하는 음악 등은 곧바로 감정을 전환해서 주파수를 바꾸게 해준다.

"믿고 첫걸음을 내딛어라. 계단의 처음과 끝을 다 보려고하지 마라. 그냥 발을 내딛어라."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박사(1929-1968년)

"현재 우리의 모습은 과거에 우리가 했던 생각의 결과다."
- 붓다(기원전 563-483년)

무엇이든 우리가 생각하고 감사하는 일들이 우리에게 다가온다. 존디마티니 박사

"다른 면에서는 모두 바르게 살아가는 수많은 사람들이 감사함을 느끼지 않아서 가난에 허덕인다."
- 월러스 워틀스

이제 감정과 마음속 그림 덕분에 문이 열리고, 그 문을 통해 우주의힘이 드러나기 시작할 것이다. 마이클 버나드 백위스

"사람은 자신이 알든 모르는 누구나 영상을 그린다. 영상그리기는 모든 성공의 놀라운 비밀이다."
- 제너비브 베런드(1881-1960년) .

"상상은 삶의 핵심이다. 다가올 미래의 시사회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1879-1955년)

"마음은 상상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 성취할 수 있다."
- 클레멘트 스톤(1902-2002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경을 통일성 있게

사실은 신학과 신앙은 각자의 역할이 있다. 양자는 자신의 역할을가지면서, 상호보완적이다. 결국 이 둘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관건이다.

신학은 학문적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이해‘를 추구한다. 

존중과 긴장

삼위일체와 성경

일체는 숫자가 아니라 공동체

 페리코레시스는 상호 내재적, 순환적, 침투적이라는 의미이다. 

성령은 교회의 영이 아니다.

 첫째, 성령은 역사와 우주를 섭리하는 분이다. 

 둘째, 성령은 각 개인에게 임하며 그의 삶을 인도한다.

 우리는 어디에 서 있는가

기준은 성취가 아니다.

운명은 없고 미래는 열려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이 만일 나를 이해 이한다면 저 거칠고 적막한 산수모 차퉁이 세상에서 버려 둔 땅에 같이 것살고 죽고 할지니라. 

누가 줍니까? 복은 누가 주는 것이아니라 내가 지어서 스스로 받는 것입니다. 타인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한 방울의 물이 얼마나 귀하고 소중한 것인가를 뼈저리게 느낄 수 있

를 해도 들리지 않습니다.(심여수 如水라는 말이 있습니다. 마음은 물 과 같다는 뜻입니다. 물은 흘러야 합

물이 한곳에 갇혀 있거나 고여 있으면 그 생명력을 잃고 급기야 부패하고 맙니다. 우리 마음도 이와 같습니다. 마음 역시 굳어 있거나 어디엔

"모든 것은 마음이 근본이다. 마음에서 나와 마음으로 이루어진다.

 야 합니다. 마음을 닦는다고 하지만실제로는 마음을 쓰는 일입니다. 바

 내가 전생에 남들을 힘들게 한 과보 를 이번 생에 받고 있구나‘하고 좋은

"옛길을 따르지 말라!"  선은 모방과 획일성을 배격한다.
저마다 업을 달리하면서 자기 삶을살고 있는데, 어째서 남의 흉내나 내면서 범속하게 살려 하느냐는 것

 지금 있는 바로 그 자리 

 깨어 있으라는 말은 자기 삶을 늘 주시하라는 뜻입니다.

그대가 서 있는 바로
그곳에서 자기 자신답게 살고 있다면,
그 자리에 좋은 말씀이 살아 숨 쉰다.
- 법정 -

나만을 위해 보시말고
중생에게 회향하는 마음으로 보시하라
재물가지고 보시하되
이와 같은 마음으로 보시면
큰 공덕을 얻게 된다.
- 증일아함정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을 떠나는 사람은 남은 가족과 정을 끊기 위해서일부러 쌀쌀하게 대하면서 마음을 거둔다고 하더군요.

교학상장(敎學相長)이라고 했던가요?
학생을 가르치면서 나의 문장력도 더불어 자란 듯합니다.

전국의 산업체학교들은 학생 확보가 힘들어졌고요.
그로 인해 학생을 보내주면 두당(頭當) 얼마 식으로

읽는 이의 처지에 따라 각각 다른 영감을 떠오르게 하며 감동을 주는 것이 문학의 힘이라고 하지요? 저는 이 시의 화자에게IF 1-

입으로는 수없이 정의를 다짐했지만,
돌아서선 번번이 양심을 배신하고선,

그것이 불만이라는 것이 아닙니다.
 오래 있을 사람을 배려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독서는 퇴직을 위한 훌륭한 준비가 아닌가 싶습니다.

교사가 학생을 100대나 때린다는 것은 무조건 잘못입니다.
185 x1

 세상일은 심은 대로 거두는 법이

 순간의 일로 인해 절대로 일희일비 하지 말자고….....

나무로 만든 벼루가 목연(木硯)이더군요.

-그 이후 한동안 전교조 활동에서 가급적 거리를 두었고그것이 다른 일을 더 열심히 한 계기이기도 합니다.

 1. 청소는 나누어서 한다.

 2. 설거지는 즉시 한다.

3. 식사는 제 때에 한다.

 4. 매일 저녁마다 무엇인가 세탁을 한다.

 5. 방에 화분을 하나 정도 둔다.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
높은 사회적 신분에 있는 이들이거기에 상응하는 도덕적 의무를 뜻하는 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간을 구분하고 있는는 것을 물체라고 하고 시간에 따라 일어나는 것을 일이라고 하는데 사물을 떠나면마음도 없고마음을 떠나면사물도 없다.
(『인생』나츠메 소세키)

은 색의 명칭이며,
색이란 시각자극의일종인 광파 스펙터조성의 차이로 인해구별되는 감각, 빛은전자파의 일종으로주로 가시광선,
가시광선은 전자파중에서도 대충 380~780nm 파장 영역,
가시광선이 시각기관인 안구에 들어오면안구의 구성요소 중하나인 망막에 존재하는 시각세포가 반응하여 신경세포가 취급하는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뇌가 인식한 그감각을 색이라 부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