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도시 속 인형들 1 안전가옥 오리지널 19
이경희 지음 / 안전가옥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이야기는 2060년대부터 2080년대의 미래다.
평택 혁신도시에서 벌어지는 5가지의 이야기
흥미진진한 미래의 SF 연작소설이다...
요즘은 SF소설이 대세인 듯 싶다.
영상을 상상하게 하는 매력이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처럼 가족은 누구도 대신할 수 없어서 더 소중한 것이다."

옛날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자꾸 새롭게 오는 것이다. 어린 시절 어머니를 따라갔던 처음의 그 절처럼, 절밥

자기의 자리는 자기가 만드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처럼 옛날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자꾸 오는 것이다. 누가 지금, 청춘에 대해 말하라면 나는 먼저, 남자에게

언어의 심장을 움직일 줄 아는 게 시인이

시인은 자기가 본 풍경을 제 운명으로 삼는 자들이다

"고통 없는 성장이 없듯이

누군가의 말 한마디가 한 사람의 운명을 좌우할 수도 있다

시인은 오직 자신의 시에 가장 큰 책임이 있고 그 책임을다한 후에야 다른 책임도 질 수 있다. 시란 갈등 속으로 들어가서 고통의 고리를 잡는 것 이상의 것이다. 진주조개가 이

우리는 목숨을 걸고 쓴다지만
우리에게
아무도 총을 겨누지 않는다

나는 오늘도 똥꼬가 젤 아프다

전통은 가지고 있는 것만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깨어지기위해 존재하는 것이라고 증명하듯 그의 시들은 새로운 창조

그 무엇은 무엇일까 생각하다 체코 시인 얀 스카첼의 저뒤쪽에서」라는 시를 떠올렸다. "시인은 창조하는 것이 아니다. 시는 저 뒤쪽 어디에 있는 것. 오래전부터 그것은 거기 있었다. 시인은 그걸 찾아다녔을 뿐" 저 뒤쪽에서 작고 미미하

시는 정신의 밥이다.

여자는 깊게 보고 남자는 멀리 본다. 는

반복보다 더 지루한 것, 게으른 것보다 더 게을러터진 것외로운 것보다 더 견디기 힘든 것이 권태다. 나는 체념이란

실험은 새로운 전통의 수립이다

"인생의 자리는 임자가 없다. 좋은 삶을 사는 사람의 자리다" 라는 말이 생각날 때마다 잊혀지지 않는 사람이 있다. 그

소유보다는 자유가, 의심보다는 호기심이, 모범보다는 모험이 더 소중한 시기라고 말한 이도 있다. 살다가 가끔 길을

시인으로 산다는 것은, 세상에서 가장 죄 없는 일이 시쓰는 일이고 가장 죄 없는 사람이 시인이라고 말한 하이데거의말을 믿으면서 사는 것이라고 말해도 좋을 것 같다. 그런 말

‘창조의 파괴‘를 독수리에 비유해본다. 독수리는 70세까지살려면 40세 때 변신을 해야 한다고 한다. 1년쯤 살다가 죽든

우리는 끊임없이 배우면서 늙어가야 한다.

-. 웃음은 마음이 피우는 꽃이다.

1분에 16번 숨을 쉬고 공기를 0.5리터 마시고 심장은 하루에 10만 번을 뛰고 있는데, 발상은 전환되지 않고 생각만 되풀이된다.

살아 있는 것들 중에서 웃을 수 있는 것은 사람뿐이라는데

"이 세상에서 죽는다는 건 어렵지 않네. 그보다도 더 힘든것은 사는 일이라네."
-마야콥스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구는 괜찮아, 우리가 문제지 - 곽재식의 기후 시민 수업
곽재식 지음 / 어크로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TV에 <심야괴담회>와 <당신이 혹하는
사이>등에 출연한 SF작가이자 공학 교수인
곽재식 작가가 기후변화를 말해주는 책이다.
조선 시대 설화나 SF상상력을 동원한
스토리텔링으로 이야기를 풀어낸다.
곽재식의 기후 시민 수업이라는 부제에
맞게 기후변화의 원인과 역사, 위기대응
기술, 개인이 할 수 있는 노력까지 설명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걱정말아요.
언제나 그랬듯 우리는 또 해낼 것입니다.

코로나는 강사로 살아온 내 삶을 송두리째 바꾸어놓았다.

‘이건 그저 위기가 아니야, 다른 세상으로 들어가는 문이야‘

‘혼돈으로부터의 질서‘

‘모든 혼돈에는 질서가 숨어 있다‘

 어떤 세상이 온다 해도 우리는 살아나가야 한다.

대전환을 두려워하지 말라

사 제목은 ‘코로나로 앞당겨진‘으로 시작된다. ‘코로나로 앞당겨진 로봇과 드론 시대‘, ‘코로나로 앞당겨진 원격 의료‘, ‘코로나로앞당겨진 에듀테크‘, ‘코로나로 앞당겨진 디지털 화폐‘ 등 앞당겨

"세계는 이제 코로나 이전인 BCBefore Corona와 코로나 이후인ACAfter Corona로 구분될 것이다."

있었다.
‘혼돈이란 단순히 의미 없는 요동이 아니라 언제라도 질서를 창출할 수 있는, 다시 말해 질서를 ‘내포한‘ 상태다."

우리는 모두 빅데이터 생산자다

명품 브랜드 버버리가 디지털 기업이라고?

자유롭고 독립적으로!
인디펜던트 워커로 일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