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대중문화 분야 주목할만한 신간 도서를 보내주세요.
현대 예술의 거장 시리즈 21권.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는 동안 최고의 인기를 누렸던 판소리 명창 임방울에 대한 본격적인 평전. 임방울은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는 동안 최고의 인기를 누렸던 판소리 명창으로, 흔히 근대 5명창으로 불리는 김창환, 이동백, 송만갑, 김창룡, 정정렬 이후 최고의 국창(國唱)의 위치에 올랐던 인물이다. 뭐니 뭐니 해도 그를 당대 최고의 스타의 반열에 올린 것은 단연 '쑥대머리'로, 그가 왜 ‘계면의 달인’으로 불리는지를 보여 주는 대표적인 대목.
지금까지 우리 문화에 관심이 없었던 걸 스스로 반성하면서... 옛날 어느 광고에서 나온 '쑥대머리'를 보고 반가운 마음에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유명한 쑥대머리가 임방울 이후에 유명해 졌다고 하니 얼마나 판소리의 높은 예술 세계에 닿아 있었을까? 여기다 판소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에 관련된 정보도 부록으로 있다고 하니, 이번 기회에 판소리에 친숙해져 보는 기회를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베스트셀러 작가 스티븐 킹이 공포에 관한 모든 것을 파헤친 논픽션. 영화에서부터 TV 드라마, 라디오, 소설, 만화 등 다양한 미디어 매체를 통해 대중적으로 광범위하게 소비되고 있는 공포를 하나의 현상으로 보고, 그것을 즐기는 사람의 심리부터 공포 문화의 역사와 그 영향력에까지 공포와 관련된 모든 것을 분석한 책.
오~ <죽음의 무도>라니 김연아가 생각났지만,,, 어쨌든 최근 '공포'에 대한 이상한 열기를 생각해 볼 때 한번 읽어볼 만한 책이다. 좀비를 소재로 한 영화가 징그러우면서도 독특한 매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는 걸 보면, 왜 무섭고 두려움에 떨면서도 그 매력에 빠져 헤어나올 수 없는 지 궁금해진다. 드라큘라가 희생양에게 치명적인 매력을 발산하는 것처럼. 자신의 목을 물어 피를 빨려 죽을 위험에 처하면서도 그 희생양은 흔들거리는 줄을 아슬아슬하게 걸어가는 것처럼 짜릿함에 빠져든다. 빨간 구두를 신은 소녀가 죽을 때까지 춤에 무아지경으로 빠져드는 것,,, 우리는 더 잔인하고 충격적인 자극을 원할 것이다. 그 끝은 어디일까?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두계건축연구소에서 오늘의 건축을 둘러싼 다양한 주제에 대한 토론과 국내외 건축답사를 통해, 현대건축의 형태 및 공간 경향에 대해 연구해 온 저자들이 그간의 활동을 바탕으로, 건축가를 꿈꾸는 젊은이들과 건축을 알고자 하는 일반인을 위한 글을 쓰고 엮은 책.
<바람의 화원>을 보면, 단원 김홍도는 왕의 침소에 병풍을 둘 때도 밖에서 볼 때와 달리 방 안에서 빛이 들어오는 걸 고려하여 배치했다. 물건 하나를 놓는데도 이렇게 신경을 썼는데, 건물을 지을 때는 얼마나 많은 요소들을 고려하겠는가? 전통 사회에서는 햇빛을 많이 받기 위해 남향집으로 짓거나 음과 양의 조화와 풍수지리를 이용해 집터가 놓이는 것까지 고려하였던 것이다. 그렇다면 현대의 건축물은 어떨까? 그리고 앞으로의 건축은 생태와 환경을 고려하여 조금 더 자연에 친숙한 건물이 되지 않을까? 상상해보자!
여러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며 종교적인 인물들과 개인의 정체성, 상징체계와 관련된 상징을 탐구한다. 책을 통해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예술작품 속에 이용된 수많은 상징을 이해.
이 책의 장점은 그 동안 두드러지게 널리 알려진 서양, 특히 유럽 중심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문양 외에도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등의 비유럽 지역의 문화적 상징성도 접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양은 언어가 생기기 이전에도 존재했었고 언어가 발달한 지금도 언어를 대신해 많은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몇 가지의 도상만 제시하고 있는 것은 부족해 보일지도 모르지만 더 명확하게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소중한 고미술품들을 도굴하여 해외로 밀반입하려는 잔혹한 음모를 폭로한 책. 고고학자, 문서 전문가, 경찰, 사진가 등 각국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수사팀은 이탈리아에서 도굴된 고미술품이 해외 각지로 팔려 나가는 과정을 끈질기게 파헤쳤다. 불법으로 도굴된 고미술품이 어떤 유통 경로를 거쳐 해외로 밀반입되는지 아주 상세하게 설명.
정말 각 나라의 소중한 유물이 아직도 세계 곳곳에 흩어져 있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국토에는 번듯한 건물들이 들어차서 새로운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려고 하지만, 그 이면에는 그때 훼손되고 잃어버린 소중한 문화 유산들을 되찾지 못 하고 있는 것이다. 생각있는 사람들의 개인적인 노력이나 시민단체들이 힘을 모아 문화 유산을 반환 받으려는 운동을 벌이지만, 정작 우리는 갖고 있는 문화 유산조차 제대로 보존하지 못해 잃어버리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비단 그것 뿐만 아니라 알게 모르게 팔려나가 개인 소장품이 되어 버리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이게 우리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한 나라의, 한 사람의, 숭고한 예술 작품까지도 그 가치가 돈으로만 매겨져 이리저리 팔려다니는 것이 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