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폭력에 맞서다 - 사례·담론·전망
이미경 외 지음, 한국성폭력상담소 기획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성폭행’을 넣고 검색해 보면 수많은 기사가 뜨지만,
보도되는 건 빙산의 일각일만큼 비일비재한 게 또 성폭행이다.
개인의 삶을 송두리째 앗아갈 수도 있다는 점에서 성폭행은 살인에 필적할 죄인데,
문제는 지금까지 성폭행에 대해 대처하는 방법이 그리 효율적이지 못했다는 점이다.
사후에 고소를 해봤자 길고 지리한 싸움을 해야 하며,
성폭행 예방법이라는 게 ‘야한 옷을 입지 말자’ ‘늦게 다니지 말자’처럼
원인을 피해자한테 전가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성폭력상담소에서 낸 <성폭력에 맞서다>는
그런 차원을 벗어나 여성들에게 각성을 촉구하는데,
한마디로 요약하면 ‘각본 뒤집기’다.
성폭행의 절반 이상이 아는 사람이고, 그 사람들은 대부분 나름의 계획을 가지고 일을 벌이는만큼,
그네들의 각본을 뒤집음으로써 성폭행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누가 뒤에서 ‘움직이지 마!’라고 했는데 자지러지게 웃는다고 생각해봅시다]
물론 대부분의 여자들은 이렇게 할 수 없다.
“저리로 가!”라는 협박을 받는다는 것만으로 공포로 몸이 얼어붙고,
몸은 무기력해져 움직이기조차 하지 못한다.
이 책은 여자들에게 “이런 상황에 대비해 여러 차례 시뮬레이션을 하라”고 얘기하며,
달아날 시간을 벌만한 필살기를 연마하라고 주문한다.
<나잇 앤 데이>에서 카메론 디아즈가 킬러를 죽일 때 그랬던 것처럼,
잘 배운 필살기는 의외로 효과적일 수 있다.
난 잘 몰랐지만, “강간죄는 법정형이 매우 높은 범죄에 속”하며,
“살인, 강도와 더불어 흉악범죄로 분류되어 있”단다.
그렇기 때문에 판사들이 강간죄를 인정하는 데 있어 주저하기 마련이며,
웬만큼 저항을 하지 않으면 강간죄 구성이 안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위에서 말한 것처럼 강간이 한 인간의 삶을 송두리째 앗아갈 수 있으며,
성폭력 범죄자는 재범 가능성이 아주 높다는 통계 등을 고려해 볼 때
좀 더 과감한 판결과 그에 따른 처벌이 이루어지길 희망한다.
성폭력 범죄가 친고죄라는 것 역시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데,
제3자의 고발이나 수사기관의 인지에 의해서도 가해자를 처벌할 수 있는 반의사불벌죄로 바뀌는 것도 필요할 것 같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성폭력의 99% 이상을 담당하는 남성들의 각성,
나를 포함한 남성 분들게 이렇게 말해 본다.
“강제로 하면 좋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