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카롱 사 먹는 데 이유 같은 게 어딨어요? - 90년대생이 말하는 90년대생 이야기
이묵돌 지음 / 메가스터디북스 / 2020년 5월
평점 :

올해로 90년대 생이 모두 성인이 되었다. 하지만 그들이 모두 어른이 되었다고는 얘기할 수 없을 것이다. 나도 성인이 되는 20대 시절을 거쳐왔지만, 지금과는 다르다는 것을 인정한다. 내 자신이 90년대생이 아니기 때문에 그들과는 다른 시선으로 다른 생각으로 생각할 수 있다.
90년생이 온다는 책이 화제가 되었지만, 실제 90년대 생들이 생각하는 바가 무엇인지 책을 통해서 이해한다는 것이 조금 아이러니하긴 하다. 저자 이묵돌님도 그런 책을 읽음으로써, 또는 그러한 노력으로 90년생을 완벽하게 이해하는 일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얘기한다.
그의 브런치 연재작 '90년대에 태어난 게 잘못은 아닌데'가 책으로 나왔다. 90년대 생이 얘기하는 90년대생의 이야기를 이 책을 통해 들어보자.
과거 베이비붐세대, X세대 등 한 세대를 칭하는 명칭이 있었는데, 90년대생을 지칭하는 표현은 정확하게 없는 것 같다. 간혹 어떤 책에서 Y세대, Z세대라고 표현하는데 각각 의미가 다르다. Y세대는 베이비붐세대의 자녀들로 90년대 중반까지의 태어난 세대를 의미하고, Z세대는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을 의미한다고 본다. 정확히 1990년대만을 의미하는 명칭은 없다고 생각된다.

1970년대 생들의 희망과 기대를 1990년대 생들에게 대입해서는 안될 것이다. 시대가 변했고, 살아가고 있는 환경 자체도 많이 바뀌었다. 즉 가치관의 변화가 온 것이다. 기성세대들의 기준으로 1990년대생들을 판단해서는 안된다. 그것은 기성세대 자신들만의 기준이고, 90년대 생들의 기준은 그 자신들이 갖고 있다. 자신의 생각과 맞지 않는다고 90년대 생들을 비판해서도 안될 것이다. 판단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서로 같은 주제로 얘기하고 있지만, 판단은 당연히 다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90년대생이 얘기하는 90년대생의 뚜렷한 특징은 책임질 것이 없다는 것이다. 90년생은 어떤 책임이 자신에게 돌아로 만한 상황 자체를 피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얘기한다. 자신만의 삶을 살기 위해 책임을 지는 것에 자유로워지고 싶은 성향이 그들에게 있는 것이다. 누군가에게는 맞고 누군가에게는 틀린 말이겠지만 일반적으로 그렇다고 본다. 책 제목에서도 나온 마카롱은 90년대생이 희망하는 목표도 그들을 상징하는 것도 아니다. 마카롱을 사먹는 것에 촛점을 맞추기보다 그렇게 하게 된 배경을 바라보는 것이 그들을 이해하는데 더 좋을 듯 하다.

이 책에서는 90년대생들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하면서, 동시에 기성 세대, 부모님 세대에 대한 불만도 함께 담겨있다. 90년대생의 전유물은 아니지만 '라떼는 말이야~' 라는 유행어는 기성 세대, 부모님 세대에 대한 반감의 표시라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책 속의 내용은 불만으로 가득차 있지 않다. 부모님 세대를 모르지만 이해하려는 모습도 많이 보였다. 90년대생들도 부모님세대로부터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을 해본다.

이미 브런치를 통해 읽은 독자들 중 90년대 생들의 반응도 있고, 90년대 생이 아닌 독자들에게 밀도 있는 반응이 왔다고 한다. 다른 세대를 이해할 수 있는 건 바로 그들의 진솔한 얘기가 아닐까? 90년대생 자신들도 미쳐 느끼지 못한 것들에 대한 내용들도 담겨있어 90년대생을 포함, 모든 세대에게 공감을 주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해당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하는 글입니다.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90년대에태어난게잘못은아닌데 #마카롱사먹는게데이유같은게어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