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책
니나 게오르게 지음, 김인순 옮김 / 쌤앤파커스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조금 충격적인 자동차 사고 묘사로 시작하는 이 소설은 코마 상태에 빠진 헨리와 그의 아들 샘, 그리고 헨리의 연인이었던 에디가 등장한다.
그리고 헨리와 똑같이 코마 상태인 메디가 등장한다. 헨리의 상태는 인위적인 혼수 상태, 삶과 죽음의 중간 상태에 있다고 얘기할 수 있다.
샘과 에디, 그리고 헨리의 시점을 번갈아가면서 진행되는 초반부는 과연 헨리가 깨어날 것인지 기대감을 갖게 한다. 
의사들의 긴급 심장마사지 후 깊은 나락으로 추락하는 헨리. 이때부터 헨리의 꿈인듯 아니면 과거 회상인듯한 얘기가 펼쳐진다.
헨리는 임상학적으로 한번 죽었었지만 다시 코마 상태에 빠져들었다. 헨리가 아직 살아있다고 믿는 에디와 샘. 그리고 엄마 마리와 동생 맬컴까지 등장인물들이 헨리를 중심으로 헨리의 과거와 샘과 에디의 현재 일상 등이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의식불명 40일째 헨리와 메디가 의식불명상태에서 서로의 꿈 속에서 만난다. 코마 상태에서는 꿈 장치가 정지해 있다고 하는데, 헨리와 매디는 꿈을 꾸면서 샘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서로의 존재를 깨닫게 된다. 헨리와 메디의 꿈속 얘기와 샘과 에디의 현실 얘기가 긴박하게 전환되면서 이야기는 헨리와 메디가 의식불명인 채로 진행된다. (결말은 언급하지 않는게 좋겠다.)


꿈의 책이라는 제목을 봤을 때 의학적인 요소가 있을 것이라곤 생각하지 못했다. 하지만 코마라는 의식 불명의 상태를 소재로 인간의 꿈과 현실, 그리고 상상 속의 시공간에 대한 얘기가 자연스럽게 전개되었다. 오프라 윈프리 북클럽 추천도서라는 소개 문구가 잘 들어맞는 멋진 소설이었다. 코마 상태에 대해서 잘 알지 못했었는데, 소설 속의 이야기지만 그 상태와 주변 인물들의 심경의 변화를 잘 알 수 있었다.


책을 덮어도 여운이 남는 소설이 있는데 바로 이 소설도 그에 속한다. 이 책을 읽는 사람마다 이런 결말이었으면 좋겠다 라고 나름 생각했을텐데 내가 상상하는, 희망하는 결말은 아니었다. 하지만 진한 여운을 남기고 끝난 이 소설은 이렇게 마무리지어도 좋겠다 하는 생각이 든다.

해당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하는 글입니다.

#꿈의책 #니나게오르게 #오프라윈프리북클럽추천 #샘앤파커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