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덕경 (무삭제 완역본) ㅣ 현대지성 클래식 25
노자 지음, 소준섭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1월
평점 :

도덕경이란 어떤 책인가?
정치를 주지로 삼고 전통적인 동양 철학과 병법, 과학 그리고 양쟁지도를 논술하고 있는 도덕경은 상편 도경 37편, 하편 덕경 44편, 총 81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자는 도덕경을 통해 도(도)가 철학적 측면에서는 천지만물의 시초이자 모태임을, 윤리적 측면에서는 소박함과 청정 그리고 겸양, 무사, 유약, 담박 등 자연에 순응하는 덕성임을 천명하였다. 아울러 정치적 측면에서는 대내적으로 무위정치를, 대외적으로는 평화공존과 전쟁 및 폭력 반대를 지향하였다. 이렇듯 도덕경은 자연의 '도'로부터 출발하여 윤리적인 덕은 물론, 이상정치의 길까지 제시하고 있다.
(출처: 책 소개)
논어라는 책이 맹자와 그 제자들이 함께 만들었 듯 도덕경은 노자와 그의 제자들이 집단지성으로 함께 쓴 책이다. 도덕경은 동아시아의 사상과 철학 체계에 많은 영향을 끼친 책이라고 한다. 춘추전국시대에 쓰여진 이 책은 그 시대의 시대상을 반영하 듯 자연의 '도'로부터 출발하여 윤리적인 덕에 이르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이상정치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고 한다. 한자어로 쓰여져 있어 그 의미가 직접적으로 와닿지 않지만 도덕경은 간결하면서도 함축미를 지니며 예술성이 대단히 높은 언어들로 구사되었다고 한다. 게다가 전편에 걸쳐 빼어난 비유와 대구, 배열, 설문과 반문 등 다양한 형태의 수사 방식이 유려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한자로 쓰여진 원문을 본 뒤, 역자가 설명한 한자 풀이와 깊이 보기를 통해 어려운 고전이지만 도덕경이 전하는 심오한 뜻을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학창시절 문학시간에 고전을 배우는 느낌을 받기도 했다. 춘추전국시대처럼 혼란한 시대는 아니어도 국내외 급박하게 전개되는 정세를 보면 정치인들이나 국민들이 노자의 도덕경을 한번쯤 읽고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를 가졌으면 좋겠다.
역시 고전은 읽는 이에게 뭔가 전달하는 가르침이 있다. 이해하기 어렵지만 고전을 읽는 이유가 여기에 있을 것이다.
해당 출판사로 부터 제품을 제공 받아 작성하는 글입니다.
#도덕경 #노자 #노자도덕경 #현대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