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지가 잠에서 깨는 모습을 묘사하는 첫 대목과 죽음을 가정하여 조지의 잠든 몸뚱어리를 (문자적으로)해부하는 마지막 부분. 처음과 끝의 조응이 더없이 인상적이다. 책을 덮기 전까진 조지와 그의 학생 케니가 옷을 벗고 바다 속으로 뛰쳐 들어가는 장면만이 선명했지만, 이제 기억을 반추하니 이 소설 전체가 한 편의 실내악처럼 다가온다. 각각의 부분이 세세하게 잘 짜여 완전하게까지 느껴지는 일체감 혹은 완결성.

 

첫 대목을 인용하면 이렇다.

 

잠에서 깰 때, 잠에서 깨자마자 맞는 그 순간, 그때에는 있다지금이 떠오른다. 그리고 한동안 가만히 누운 채 천장을 바라본다. 이제 시선이 점점 내려오고, ‘내가인식된다. 거기서부터 내가 있다, ‘내가 지금 있다가 추론된다. ‘여기는 맨 나중에 떠오른다. 부정적이라도 안심이 되는 말, ‘여기’. 왜냐하면, ‘여기는 오늘 아침, 내가 있어야 할 곳, ‘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은 단순히 지금이 아니다. ‘지금은 잔인한 암시다.”

 

있다라고 할만한 것은 무엇인가? 육체. 다음이 지금’. 곧 시간이고, ‘내가’. 즉 정신이 그 뒤를 따른다. 마지막은 여기’. 즉 나를 감싼 공간. 새벽, 미명이 점차 또렷해지듯 조지의 궁지에 빠진얼굴도 보다 분명해진다. 루시안 프로이트나 프란시스 베이컨의 그림 속 육체들처럼.

 

마지막 부분은 이렇다.

좋다. 오늘밤이 바로 그때라고 가정하자. 바로 그 시각, 예정된 그 순간이라고. (중략)

몇 분 안에, 육체의 바깥쪽 부위에 있는 세포들에서 생명이 빠져나간다. 그리고 하나씩 불빛들이 꺼지고, 완전한 어둠만 남는다. 이 최후의 발작이 일어나는 순간, 우리가 조지라고 부르는, 더 이상 총체가 아닌 이 육체의 어느 부분이 그 육체 안에 머물지 않고 먼 바다로 떠나 있다면, 그 부분은 돌아온 뒤에야 집이 사라진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그 부분은, 여기 이 침대에서 코도 골지 않고 누워 있는 저 육체와 이제 더는 연결될 수 없다. 그 부분은 이제 뒤뜰에 있는 쓰레기통의 쓰레기와 사촌이다. 그 부분과 쓰레기. 둘 다 머지않아 멀리 끌려가서 버려져야 한다.”

 

조지라는 사람의 총체. 육체-시간-정신-공간. 완전성을 씨앗처럼 내재한 소설의 구조. 아니 소설이 표현하는 삶의 구조. 그게 아마도 가장 오래, 어쩌면 유일하게 기억될 것이다.

 

 

 

#

조지는 퀴어. 사랑하는 은 죽고 홀로 남겨졌다. ‘지금그는 싱글이다. ‘58의 싱글. 덧붙여 문학을 가르치는 선생이다. 보편성 지향적인 싱글맨이라는 제목을 윌리엄 버로스의 퀴어처럼 직설적으로 지었다면 어땠을까? 처음에 나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쓸쓸히 남겨진 어느 싱글의 하루라는 프레임으로 소설 전체를 보려 했지만, ‘퀴어를 빼고 나면 대체 이 소설만의 개성은 또 무엇인가. 하는 생각이 들어버렸다. 그래서, ‘싱글맨이라는 제목을 더욱 엄격하게 생각해 보았다. 그 무엇으로 존재하든 결국 다수자가 아닌 소수자, 소수자 보다 더욱 소수인 사람. 그게 바로 싱글맨이 의미하는 바가 아닐까 하고. 단지, 배우자나 연인 없이 홀로 지내는 어느 싱글의 하루가 아니라, 궁극적으로 싱글일 수 밖에 없는, 극단의 소수자일 수 밖에 없는 개인.

 

조지는 퀴어고, 싱글이고, 58세고, 문학을 가르치는 선생이다. 이 모든 소수자들의 교집합이 조지다. 시대에 따라 소수자의 지위도 변동된다. 퀴어라는 소수집단은 이 소설이 나왔을 때에 비해 지금은 좀 더 큰 집단이 되었다. 싱글(1인가구)도 마찬가지. 58세도 이제 죽음과 그리 가까운 나이는 아니다. 그렇지만 문학을 가르치는 교수는 이전보다 더욱 소수자가 되었을 테지. 그럼에도 이웃 스트렁크 부인의 아이들에게 괴물이라고 불리는 사람은, ‘적절하지는 않지만 사랑스러운 차림새. 빨강, 노랑, 보라의 원색이 두드러진 자수 블라우스의 소매는 팔꿈치까지 걷어붙인마흔 다섯 샬럿이 의지할 수 있는 유일한 친구는, 선생이 자주 가는 술집을 찾아와 홀로 시를 쓰고 있던 케니의 교수님은. 단 한 사람 조지다.

 

그런데, 이 단 한 사람에 대한 이야기가 쓸쓸하거나 허무하다기 보다는 삶을 생동거리게 만든다.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처럼 반전이 있다. 즐거워지고 힘이 생긴다. 어째서 그랬을까. 그것은 각각의 인간을 물웅덩이로, 인간의 의식을 바닷물로, 그래서 밀물일 때 그 각각의 물웅덩이들이 어떻게 이어지는지에 대한 작가의 멋진 은유가 답을 준다.

 

더없이 좋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ellevue 2014-03-16 06: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잘 지내시죠? 여전히 돌아돌아 여기로 와서 오랫만에 안부 전합니다.
한국은 아직 춥다지요? 여긴 한주동안 화창한 날씨에 꽃들이 활짝활짝 폈어요.
행복하고 기분 좋은 봄 되시기 바랍니다~

dreamout 2014-03-16 20:41   좋아요 0 | URL
여기서 만나뵈니 더 반갑네요. ㅎㅎ

봄나들이 하러 종종 찾아갈께요!!
 
지식애
로이 브랜드 지음, 김유미 옮김 / 책읽는수요일 / 2014년 2월
평점 :
절판


자신이 모른다는 사실을 아는 것, 고독을 소통하는 것, 경험을 해체하는 것 → 모순을 반복하는 것. `기꺼이` 모순 반복하기. 그것에 관한 소박하고 명징한 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벨
정용준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70여 페이지를 읽은 현재, 싱글맨과 안티프래질을 읽은 후에 고무됐던 내 정신을 흐트려놓고 있다. 다 읽어 볼 생각이다. 하지만 중반부 이후에도 이렇다면 내 별점은 세개 이하가 될 것이다. 다른 책에 대한 독서 의욕조차 현저하게 감퇴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각, 의식의 소음 마이크로 인문학 1
김종갑 지음 / 은행나무 / 201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은 자신의 불행 속에 홀딱 빠지는 성미 고약한 짐승이다.(조지 기싱) 에티카에서 봤던 가장 기억에 남았던 구절과 같은 말이다. 그렇게나 기억한다.. 한다고 했는데, 그런 불행의식의 덫에 또 빠져버리고 또 빠져버리고... 어쩌냐. 생각 말고 감각에 집중하자. 아니 책이나 읽어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작가란 무엇인가』를 읽고서 느낀 위화감이 있었다. 하루키나 필립 로스가 전하는 작가들 삶의 모습은 성실성 그 자체다. 그것은 전에 한국 작가들이 모두 말술이었다는 얘기만큼이나 내게는 이상한 신화처럼 들렸다. 자격을 갖춘 자만이 글을 쓸 수 있다는 말처럼 들렸기 때문이다. 꼭 성실하고 지적으로 떨어지지 않는 자들만이 뛰어난 소설을 쓸 수 있는 것인가. 레오나르도 다빈치 정도의 드로잉 솜씨가 없으면 걸작을 만드는 것은 아예 가망 없는 일일까. . 그런 심적 반발감이 없지 않았다. 성실성 이라는 단어는 번개같이 떠오른 영감 이라는 표현만큼이나 이상하다.

 

잘 그린 만화에 한창 빠져있을 때 만난 『이나중 탁구부』는 쇼킹했다. 당시의 내 눈에는 개판 오 분전의 만화였는데, 그런데도 빨려 드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그러니까 나는 『사요나라, 갱들이여』의 스타일이 문창과를 나온 깔끔한 인상의 인물들만이 작가를 해야 할 것 같은 세태라든가, 아니면 반대로 보헤미안식의 자유로운 영혼을 가져야만 문단에서 이름값 할 수 있다는 그 양극단적 신화 어딘가에서 빗겨나 있다고. 바로 그 지점이 내게 진정한 이름의 자유. 그 한 토막을 내보여 줬다고 생각한다.

 

 

#

작가에 대한 얘기는 접자. 소설의 화자를 상상해 봤다. 앞이마에 커다란 수술 자국이 있을 것 같은 순둥이 소년. 그런 이미지로 캐릭터를 잡아봤다(당연히 실제 화자와 일치하지 않는다. 이건 내 머리 속에서 또 한번 꼰 이미지). 그렇게 후유증을 앓고 있는 화자가 자기가 쓸 수 있는 것을 쓴다. 거짓없이. 목적 없이. 욕심 없이.

 

 

#

서사가 지닌 큰 힘이 있다. 『사요나라, 갱들이여』는 사건을, 서사를 내부로 말아 주름을 지어낸 것처럼 보였다. 겉으로는 과잉의 사건이 잘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문장들은, 각각의 주름들은 물방울처럼 독자의 마음 바닥에 떨어진다. 떨어진 자리에 남은 무늬. 그건 슬픔이다. 그리고 해방이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