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레이스키, 끝없는 방랑 푸른도서관 53
문영숙 지음 / 푸른책들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까레이스키'라는 제목을 보면서 러시아에 살고 있는 우리교포들이라는 것 외에는 사실 자세히 알지 못했다. 이 책이 계기가 되었다고나 할까? 책을 읽기 전 '까레이스키'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읽어봐야겠단 생각이 들어 이쪽 저쪽 검색하여 찾아보았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러시아로 이주하여 살기 시작 했던 해가 철종때부터라고 한다. 그때부터 두만강 건너 연해주 유역에 정착하여 살기 시작하였는데, 스탈린 정부가 들어서면서 가혹한 분리.차별 정책에 의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었으며 이후 소련이 붕괴되자 러시아와 독립국가연합에 흩어져 살고 있는 한인교포들이 바로 그들이란다.

 

검색하여 찾아 읽다보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할 당시 화물열차에 짐짝처럼 실려서 허허벌판에 내팽개쳐졌던 과정이 얼마나 끔찍했는지 이 부분이 빠지지 않고 쓰여져 있었다. 당시 우리 민족들 수가 17만 5천명 정도였는데 이주 과정에서 1만 천여명이나 숨졌다고 한다. 추위와 배고픔, 질병 속에서 속절없이 모든 걸 버려두고 짐짝처럼 휘둘리며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고 떠나는 당시 그들의 마음을 생각하면 가슴이 시큰해진다.

 

그래서 책 속에 그려지고 있는~~, 주인공 가족들이 갑작스럽게 받은 이주 명령에 따라 모든 걸 남겨두고 떠나는 모습도 안타까웠지만, 중앙아시아 황무지에 내팽겨쳐지기까지 화물열차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은 참말 가슴이 절절해지는 아픔을 느끼게 했다. 엄마를 열차 안에서 잃고 제대로 묻지도 못하고 열차 밖 눈밭에 눈으로만 덮어두고 떠나야 하는 심정은 발길이 떨어지지 않았을터였고, 매번 열차가 설 때마다 죽어나가는 시체들을 보면서 제대로 살아나갈 수 있을까 싶어 죽음에 대한 공포 또한 컸으리라.

 

참 대단하다고 느낀 것은 그렇게 혹독한 이주 과정 속에서 살아남은 우리 교포들이, 아무것도 없는 황무지에 버려졌는데도 그곳에 벼를 심어 벼농사를 짓고 옥토로 바꾸어 놓았다는 사실은 놀라울 따름이다. 당시 소련인들이 까레이스키의 농사작법을 배우고자 했다는 것과 127개의 소수 민족 콜호스 중에서 가장 많은 수확량을 낼 만큼 강인하고 근면한 민족성을 드러냈다는 사실에선 자부심이 생길 정도다.

 

이 책은 까레이스키들의 삶을 1937년 강제 이주 시점에서부터 1956년 무렵까지 그린 작품으로, 까레이스키의 아픔을 절절히 잘 담아내고 있어~ 청소년 독자들에게 '까레이스키'의 삶과 애환에 관해 제대로 알게 해주는 작품이지 않을까 생각 해본다. <까레이스키, 끝없는 방랑>이라는 제목에서처럼 아직도 그들은 타국땅에서 완전한 정착을 하지 못하고 있기에, 같은 민족으로서 그들에 대한 우리의 도움이 이어지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