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소년을 위한 유쾌한 물리상식 ㅣ 교실밖 상식 시리즈 5
김기태 지음 / 하늘아래 / 200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런 책은 욕심이 난다. 방대한 지식을 담았지만, 꼼꼼하다. 그리고 '물리학'을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읽는데 지루하지도 않다.^^ 물리학, 듣기만해도 어렵다느껴지지만, 어려운 물리학을 참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담았기에, 물리를 싫어하는 아이들에게도 재미있게 읽힐 책이지 싶다. 또 물리영역을 좋아하는 아이라면 더욱 환영할만한 책이라 하겠다. 조목조목 다루고 있는 관련 지식의 깊이 또한 깊다보니, 이 책의 수식구처럼 '특목고. 과학고 진학, 과학영재들의 필독서'라는 말에 고개를 끄덕이게 만드는 유쾌한 과학도서다.
'위대한 과학적 발전과 발명은 일상생활과 동떨어진 먼 곳이 아니라, 우리가 언제나 접하고 있는 사물들과 현상들 속에서 나온다.'는 것을, 저자는 우리아이들에게 알려주고 싶어서 이 책을 집필했다한다. 그리고 과학 실험의 중요성도 함께 담았는데, 부록편에 실린 '과학장난감 만들기'를 통해 과학이 관찰과 그것을 증명하는 실험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임을 좀 더 쉽게 알려주려하지 않았나 싶다.
이 책은 크게 물리학을 4부로 나눠서 다룬다. 1부에서는 우주와 천문학을, 2부에서는 원자와 핵 물리학을, 3부에서는 역학을, 4부에서는 전자기학을 다루었는데, 각 부가 마칠 때마다 '알아두면 지식이 돼요.'라는 코너를 두어서 앞서 본문에서 다루었던 주요 용어들을 좀 더 세부적으로 설명해 놓았다. 이 코너도 꼭 읽고 넘어가면 좋을 것 같은데, 본문 이해를 돕는것은 물론이고, 한번 더 관련 지식을 짚어줄 수 있기에 마음에 드는 구성이다. 그리고, 빼 놓을 수 없는 '과학장난감 만들기' 부록편... 직접 만들면서 그 원리를 손과 눈이 인식하고, 머리가 인지하게 될테니, 그렇게 원리를 쉽게 이해하게 되고 머리 속에 그려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은가!
본문 중 몇가지 옮겨보면, '밤하늘은 왜 어두울까?'라는 제목의 '우주와 천문학'을 다루는 페이지를 읽다가 에드거 알렌 포우의 또다른 면모를 알게 되었는데, 소설작가로서 기억되는 그가 당시 과학자들에게서 끊임없이 제기되던 그 질문에 대한 설명을 무척이나 과학적으로 타당하게 설명을 했다는 사실이다. 그와 마찬가지로 작가 마크 트웨인도 에드거 알렌 포우와 같은 결론이였다하니, 과학관련 문제가 과학자들만이 꼭 해결해야할 문제가 아니라, 누구든지 생활 속에서 호기심을 갖고 그에 관한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고자 한다면, 그것이야말로 과학사고의 시작이고, 과학자가 되는 기본이라는 점을 우리아이들에게도 일깨워 줄 수 있는 대목이기도 했다. 또, 비운의 비행선 '힌덴부르크'이야기도 흥미롭게 읽었는데, 잘못된 과학지식의 폐해가 얼마나 무서운지 깨닫고, 많은 실험을 통해 안전성을 생각해야함을 더욱 느끼기도 했다.
이 책을 읽고 공부하는 아이들 모두 풍부한 물리지식을 익히고 다지며, 물리학에 더욱 흥미를 갖게 된다면 참 좋겠다. 그리고 항상 우리 주변의 변화들을 호기심을 가지고 바라보고 세밀히 관찰해 보려는 눈과 증명하고자 하는 실험을 통해서, 아직 어떤 누구의 눈에도 띄지 않았던 것을 찾아내려 노력하는 아이들이 많아진다면, 머잖아 우리도 과학관련 노벨상을 꿈꿔도 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