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으른 고양이의 결심 - <책 먹는 여우> 프란치스카 비어만의 저학년을 위한 꼬마도서관 45
프란치스카 비어만 지음, 임정희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구입한지 2년 넘게 우리아이의 열렬한 사랑을 받는 책 <책 먹는 여우>! 동물이 의인화 되어 나오고 유머와 위트가 넘치는 책을 좋아하는 우리아이의 마음에 그야말로 쏙 들어차던 책이였는데, <게으른 고양이의 결심>은 프란치스카 비어만의 신간이라 읽기도 전부터 기대가 무척 컸다. 역시, 유머러스하고 재치만점 이야기라 읽는 재미 쏠쏠하다. 거기다 아이들에게 전하는 메시지 또한 유익하니, <책 먹는 여우>가 우리아이들에게 책 읽는 맛을 알려주었다면, <게으른 고양이의 결심>은 바른 사회성을 통해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책이다. 또한, 읽는 재미를 더해주는 알록달록하고, 크고작고, 여러모양의 폰트를 이 책에서도 만날 수 있어 더욱 반갑다. 

표지에 그려진, 소파에 아주 편한 자세로 드러누워 있는 뚱뚱한 고양이... 이 고양이 이름은 뒹굴이다. 죙일 소파 위에서 뒹굴뒹굴, 게으른 모양새 그대로 게으른 고양이랑 딱 어울리는 이름이다. 우리전래이야기에 나오는 게을러서 소가 된 게으름뱅이랑 막상막하인 이 뒹굴이는 다행히 소가 되지는 않았는데, 바로 눈에 뵈지도 않는 쬐그마한 벼룩 한 마리 때문에 말이다.^^
자신의 집, 그것도 자신의 소파 위에서 모든 일을 다 마치는 뒹굴이... 오죽 하면 소파에 연못처럼 오목한 자국이 생겼을까~하하.  그런 뒹굴이가 그 소파에서 내려와야 하는 유일한 이유가 딱 하나 있는데, 그건 화장실을 가기 위해서다. 고양이들은 자신의 볼일처리에 민감(?)하다더니, 이 게으름뱅이 뒹굴이도 깨끗함은 또 무척 좋아해서 집에서 멀리(?) 떨어진 '세상 끝'(그래봤자 자신의 정원 풀숲^^)인 그 곳에서 볼일을 본다. 
그러던 어느 날, 화장실을 가려고 정원을 걷다 옆 집 개 루디와 부딪히면서 몸에 벼룩이 옮게 된다. 그 벼룩이 시간에 맞춰 꽉꽉꽉 몸을 깨물어대자 잠도 제대로 못자고 휴식도 제대로 취할 수 없게 된 뒹굴이는, 다른 동물들에게 그 벼룩을 옮겨보려고 마음 먹는다. 오, 드디어 벼룩 때문에 집 밖으로 나가게 된 뒹굴이.^^
집 밖에서 만나게 된, 기니피그, 왕눈이 암소, 자신에게 옮겼다고 확신하는 개 루디, 작은 여자아이, 또순이 고양이와 다른 동물들... 벼룩을 옮기려면 몸을 밀착해야할테니 그들에게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최대한 상냥함으로 자신을 감싸고, 그들에게 꼭 필요한 도움을 주며 온갖 친절과 배려를 아끼지 않는다. 그리곤 결국 그 지긋지긋한 벼룩을 떼어 내는데 성공한다. 
다시 자신의 일상(소파 위에서 온종일 뒹굴뒹굴)으로 돌아와 편해질 줄 알았던 뒹굴이는 왠지 모르게 무척 따분하고 무언가 허전하다. 그리하여~ 다시 벼룩을 찾아 나선다는 뒹굴이 이야기.^^ 

스물하나, 스물둘, 스물셋, 꽉! 벼룩도 참 유별난 벼룩이다. 뒹굴이 몸을 깨물때 꼭 시간 맞춰 무는데 스물네번 째에 무는 건 또 뭐람. 친구들 만나서 옮겼나 싶어 숫자를 세면 어김없이 스물셋 뒤에 꽉! 무는 벼룩. 책을 읽다가 나도모르게 뒹굴이만큼이나 그 시간에 신경 쓰였더랬다.^^ 
고작 자기 집 정원 풀숲에 화장실을 만들어 놓고는 그 곳을 '세상 끝'이라고 말하는 뒹굴이가 너무 웃기다는 우리아이는, 벼룩을 없애는 가장 간단한 방법인 벼룩 퇴치제를 사용하지 않아서 조금 답답했다 한다.^^   

게으름만 피울 줄 알았지 몸을 부지런히 움직이고 나면 가뿐해지는 그 상쾌함을 몰랐던 뒹굴이, 혼자만의 생활도 좋지만 친구들과 함께 나누는 기쁨도 무척 크다는 것을 깨닫게 된 뒹굴이에겐, 이제 그 소파 위 연못자국이 더이상 최상의 자리가 될 수 없으리라.
이 책은, 우리아이들이 싫어서, 혹은 귀찮아서 하지 않고 있는 일이 있다면, 그 일을 시작할 수 있도록 끌어낼 무언가를 생각해보게 한 책이기도 하다. 한 걸음 떼기가 어렵지, 떼고 나면 걷고 뛸 수 있듯이, 어렵다 느껴진 일도, 귀찮거나 싫어하는 일도, 어떤 계기로 인해 하다보면 재미를 가지게 될지 누가 알겠는가!^^
그리고, 뒹굴이가 의도적인 친절과 도움을 베풀었지만, 그로 인해 자신도 함께 행복감을 맛보았듯, 누군가를 기쁘게 해주는 일은 상대뿐만 아니라 자신에게도 큰 행복이 될 수있다는 것을 우리아이들도 깨닫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