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소 늙다리 보리피리 이야기 5
이호철 지음, 강우근 그림 / 보리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을 도심에서 자랐던 나는 시골 생활을 전혀 해보지 못했다. 가끔 남편이 자신의 어린 시절을 얘기하는걸 들어보면 학교 다녀와서 숙제 먼저해야했던 내 어린시절과는 달리 책가방 던져 놓고 소 먹일 꼴 베러 다녀야 했고, 일손 거들기 바빴다고한다. 그래도 눈치 봐가면서 친구들이랑 해질녘까지 놀다 들어올 때가 많았다는 이야기를 들을때면, 내가 경험해보지 못한 일인지라 부러운 마음이 가끔 들기도 했다.
이 책은 소꼴을 베러 다니던 그 시절 농촌 풍경을 그리고 있다. 내용 중에 밀살이, 콩살이, 소삼장 등등 내게는 생소한 말들이 나오기도 하는데, 그래도 그게 무엔지 설명도 곁들여져 있고, 본문 뒤에는 소죽을 끓이는 내용이 좀 더 자세히 나와 있어 이제는 다시 보기 힘든 지난 시절에 대한 애틋함이 느껴지기도 했다. 

늙다리... 나이도 많고 깡마른 호철이네 암소, 그 암소에게 동네 어른들이 붙여 준 이름이 늙다리란다.  지금은 기계가, 소가 해야 할 몫을 다 해버리지만, 그렇게 기계가 도맡아 하기전 농촌에서는, 농사일에 쓰임 많은 소이다보니 아무리 나이가 많은 소라고 해도 늙다리는 호철이 가족에게 소중한 일꾼이였을터였다. 그리고 그렇게 나이를 먹을 때까지 오랜시간 함께 지내온 소이기도 하니 가족 같은 존재이기도 했겠다 싶다.  본문 내용 곳곳에 늙다리를 대하는 호철이네 가족들을 보면 가족이 따로 없다 느껴지는데, 그 늙다리의 밥(소죽) 담당은 호철이란다.  한참 놀기 좋아하는 어린 나이의 호철이... 그 어린 나이에 구정물 받아 쌀겨나 등겨 넣어가며 소죽솥에 소죽 끓여 먹이는 호철이가 내 눈에는 참 대견해 보이기도 했다. 그 시절엔 그 또래 아이들이라면 모두 그렇게 했다고는 하지만, 내 아이보다 두세 살 정도밖에 많아 보이지 않는 호철이가 너끈하게 그 일을 해내는 것이 참 신통방통해 보였는데, 호철이 엄마나 아빠는 당연하게 호철이가 할 일이라며 호철이가 노느라 꾀를 부리며 하지 않을땐 재촉하기까지 한다~^^.  가끔은 동무들과 놀고 싶은 마음에 소죽 끓이기 싫어, 늙다리가 없으면 좋겠다 생각하는 호철이는 영락없이 어린애인데 말이다.
그래도 그렇게 매일 소죽 끓여 먹이고, 풀이 자랄땐 소 먹이러 들로 산으로 데리고 다니는 호철이에겐 늙다리와의 정이 뚜닥뚜닥 붙었으리라. 괜히 화풀이 했다가 다친 늙다리를 보고는 눈물 뚝뚝 흘리며 미안해 하는 호철이의 모습을 보면서, 말 못하는 짐승이라고 하지만 한 식구처럼 서로 보듬어 주는 뜨뜻한 정이 물씬 느껴졌다. 

호철아, 너 소죽 남은 거 쫌 퍼가 손 깨끗이 씻거래이! 손등에 때가 꾸덕꾸덕해가 다 트는구만. 얼릉 씻거라, 저녁 묵구로!
늙다리 이노무 자슥, 와 짚여물은 안 묵노? 그라이까네 내가 벌써 풀 멕이면 안 된다꼬 캤제. 우예 소꼴을 감당할라고 카요? 
허허, 그래도 믹이야제. 인자 늙다리가 일할 낀데 잘 믹이야제. - 22쪽  

책 속에 쓰여진 사투리가 어찌 이리 정겨울까~^^. 가끔 눈으로 읽다말고 입 밖으로 괜히 한번 소리내어 읽어보기도 했다.  그럴 때 입에 착착 감기는게 여간 구수하니 재미가진다. 우리아이도 이런 사투리가 재밌는지 나처럼 따라 읽어 보기도 했는데, 이 말투 때문에 더 그럴까? 시골 냄새 풀풀 나는 이 책은, 읽노라면 나도 모르게 연신 벙싯거리게 된다. 하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