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메르, 매혹의 비밀을 풀다
고바야시 요리코 외 지음, 최재혁 옮김 / 돌베개 / 2005년 2월
평점 :
절판



'40점이 채 안 되게 남은 작품의 희소성, 기록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 가려진 삶, 사후 200년이 지나서야 명성을 얻게 된 잊혀졌던 화가'... 요하네스 베르메르에게 붙은 화려한(?) 수식어들이다.  그런 수식어로 인해 세간에 더욱 더 커다란 주목을 받게 된 요하네스 베르메르... 나에게 그를 알게 해 준 첫 작품은 영화<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의 원화인 <진주 귀걸이 소녀>이다.  저자는 수수께끼처럼 매혹적인 화가 베르메르를 현실적인 화가 베르메르로 풀어 놓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르메르의 명성에 걸맞는 그의 작품들을 저자의 소개와 함께 읽어가면서 더욱 더 매혹 당했다고나 할까~.
이 책은, 베르메르의 <진주 귀걸이 소녀>외에 <레이스를 뜨는 여인>, <소녀>, <우유를 따르는 여인>, <잠이 든 여인> 작품 정도가 있다는 것만 알고 있는 상태에서 만난 책으로, 미술적 소양이 깊지 않은 나로서는 좀 더 베르메르의 삶을 들여다보고 그의 여러 작품들을 만날 수 있을 거란 생각에 기대를 가지고 읽은 책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 마음에 또하나의 이름을 새긴 도시 '델프트'. 베르메르가 태어나고 자라고 활동을 하던 도시다. 이 책을 통해 베르메르가 풍경화도 남겼음을 알게 되었는데, 그 풍경화 두 점이 이 도시의 풍경을 그린 <골목길>, <델프트 풍경>으로, 저자는 이제껏 실내 풍속화를 그리다가 이 그림을 남긴 배경을 베르메르 자신의 고향 델프트에 대한 오마주가 아니였을까 했다. 당시 17세기 중반 네덜란드에선 '도시 경관화'가 활발히 그려졌는데, 유행에 매우 민감했던 베르메르가 혹, 이 새로운 장르에 흥미를 가졌지 않았을까, 그리고 1654년 화약고 대폭발이 일어나 델프트 거리가 많이 파괴되자 그런 상황에 영향을 받아 제작된 것이 이 두 점의 풍경화일지 모른다고 적고 있다. 
풍경화에서도 베르메르는 실내 풍속화처럼 시각적으로 자연스러운 화면을 얻기 위해 세부를 교묘히 조작하기도 하였단다.  사실적인 풍경을 묘사한듯 하면서도 화면 구성에 불필요하다 싶으면 과감히 무시하거나 바꿔버리는 베르메르답다 싶다.  그래서 그의 작품은 더욱 신비로워보이는 걸까~.
책 속에는 '델프트'의 실사컷과 17세기 네덜란드의 풍경을 소개하고 있어 베르메르의 삶과 작품 속으로 한발짝 더 가까이 들어갈 수 있게 이끌어 주고 있다.     

이 책을 읽고나서 베르메르의 작품들 중에 <레이스를 뜨는 여인>과 <연애 편지>에 매료 되었다.  <레이스를 뜨는 여인>은 전에 어느 미술관련 글을 읽으면서 본 적이 있어 베르메르의 작품이구나, 정도로 알고 있던 작품이였고, <연애 편지>는 이 책을 통해 처음 접했다.  <레이스를 뜨는 여인>은 베르메르가 회화 기교가 뛰어났음에도 앞선 작품들에서는 전혀 과시하지 않다가 그 기교를 처음으로 드러낸 작품으로 소개되어 있다.  <레이스를 뜨는 여인> 그림 속 쿠션에서 빠져나온 실의 묘사는 정말이지 놀랍다. 책을 읽다말고 이 그림을 한참이나 쳐다보았다. 흘러내리는 듯한 빨간 실과 노란 실의 질감... 감탄이 절로 나오는 그림이다.
<연애 편지>는 기존 그림과는 달리 복잡한 공간 구성을 구사해서 그려진 그림인데, 더욱 눈길을 사로 잡았던 것은 어둡게 그려진 또하나의 방 문으로 훔쳐보듯 그려져서 왠지 긴장감이 느껴졌던 그림이다.  카메라 옵스큐라로 그려진 그림이라는 추측이 끊이지 않는 베르메르 그림들, 하지만 저자는 <연애 편지>의 구도를 설명하면서 카메라 옵스큐라로 그렸다기엔 구도가 부자연스러움을 확인시켜 준다. 또한 저자는 이런 추측이 잘못임을 <8장. 베르메르 그림과 카메라 옵스큐라>에서 여러그림들과 저자가 고안해낸 디지털 위작을 통해 반론해 놓았다.

개인적인 정보가 잘 알려지지 않는 베르메르, 그리고 그의 작품 희소성은, 위작 사건과 도난 사건으로 범죄의 표적이 되었음을 설명한 글도 참 흥미롭게 읽었다.  전후에 기록된 5건의 도난 사건 중 3건이 베르메르 작품이였단다.  그 중 <합주>는 아직껏 돌아오지 못한 작품이라하니 참 안타깝다. 지금이라도 아무런 손상없이 되돌려지길 바래본다.  
베르메르의 예술세계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있으면서도 구석구석 저자의 베르메르를 향한 애정을 듬뿍 느낄 수 있었던 <베르메르, 매혹의 비밀을 풀다>!  수수께끼 속에 묻혀 있던 화가를 내게도 현실적인 화가로 인식하게 만든 책으로, 베르메르의 작품들을 실제로 볼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하게 해준 책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