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택 선생님이 챙겨 주신 중학년 책가방 동시 - 섬진강 작은 학교
김용택 엮음, 우연이 그림 / 주니어파랑새(파랑새어린이)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만들기 위해 참으로 많은 동시들을 읽으셨다는 김용택 선생님의 머리글을 읽으면서 그렇게 수백 편의 동시들 중 우리아이들에게 꼭 챙겨 주고 싶은 동시들을 모으셨단 사실에 이 책 안에 실린 동시들이 조금 더 남다르게 느껴지기도 했다.
이 동시집은 <김용택 선생님이 챙겨 주신 저학년 책가방 동시>집과는 조금 다른 맛이 났는데, 저학년 동시집을 읽으며 귀엽고 맑은 우리아이들을 떠올렸다면, 이 중학년 책가방동시집은 그 순수하고 맑은 느낌 가운데서도 좀 더 깊이 있는 생각들을 끄집어 내게 해주는 동시들이 많이 실려 있어서 그런지 좀 더 사려깊게 자란 아이들 모습을 떠올리게 해주었다고나 할까~. 

시계가 없던 시절, 닭 한마리도 없어 배가 고픈 아기가 젖 달라 보채야 새벽인 줄 안다며 김용택 선생님의 눈시울을 적시게 한 <애기의 새벽>(윤동주), 어린아이들의 마음을 헤아려주지 못해 갈 곳 잃은 그 아이들의 울음과 그 울음과는 상관없이 네모 반듯한 웃음을 웃는 학교풍경의 비교에 섬짓 놀라웠던 <아이의 울음>(이오덕), 친구가 좋아하여 자신도 좋아했던 그 꽃이 온 산에 피어나자, 헤어진 그 친구에 대한 그리움으로 그 꽃으로 피어있는 듯한 친구가 밉다는 <들국화>(선용) 등등... 그 중에서 <꽃밭과 순이>(이오덕) 동시는 우리아이에게나 나에게나 한 번 더 읊조리게 만든 동시였다.  소아마미로 다리를 저는 순이의 눈에 비친 말뚝! 그 말뚝이 살아나서 작은 잎을 단걸 본 순이... '거꾸로 박혀 생매장당한 포플러 막대기'에서 움튼 잎을 보면서 순이가 느꼈을 희망이 굼실굼실 이 동시를 읽는 우리들에게도 전해진다.
물론, 밝고 명랑한 동시들도 많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중 <개구쟁이>(문삼석), <밤새 도둑이......>(오은영) 동시는 읽으면서 우리 아이들의 마음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듯해서 절로 미소가 지어졌던 동시들이다. 

1월은 유리창에 낀 성에 긁는 달 / 2월은 저수지 얼음장 위에 돌 던지는 달 / 3월은 학교 담장 밑에 햇볕 쬐는 달 / 4월은 앞산 진달래꽃 따 먹는 달 / 5월은 올챙이 뒷다리 나오는 것 지켜보는 달 / 6월은 아버지 종아리에 거머리가 붙는 달 / 7월은 매미 잡으러 감나무에 오르는 달 / 8월은 고추밭에 가기 싫은 달 / 9월은 방아깨비 허리 통통해지는 달 / 10월은 감나무 밑에서 홍시 조심해야 하는 달 / 11월은 엄마가 장롱에서 털장갑 꺼내는 달 / 12월은 눈사람 만들어놓고 발로 한 번 차보는 달
<농촌 아이의 달력>(안도현)
안도현님의 <농촌 아이의 달력>이라는 동시는, 읽고나서 아이랑 꼭 한번 안도현님처럼 한 해 달달이 우리아이가 생각하는 그 달의 이름을 붙여보게 해봐야겠단 생각을 갖게 해준 동시다~^^. 그리고 이 동시에 김용택 선생님이 적어 놓으신 감상글을 보면 '얼음 위로 떨어지는 돌멩이 소리가 참 재미'있다고 적혀있는데, 그 소리를 한번도 들어보지 못한 우리아이는 '째째째째쨍 째째째째쨍...' 이런 소리가 나지 않겠느냐고 상상해보기도 했다. 시골에서 생활 해 본 적 없는 아이나 나나 꽁꽁 언 호수 위에 돌멩이 던져 본 적 없기에 상상으로만 그쳐야 한다는 사실이 안타까워서 이 겨울이 다 지나가기전 꼬옥 한번 얼음 호수 위로 돌멩이 던져보자고 약속을 하기도 하면서 읽은 동시이다. 

동시들은 읽으면 읽을 수록 입에 척척 달라 붙는 맛이 난다. 김용택 선생님이 챙겨 주신 예쁜 동시 모음집을 통해 우리아이들이 더욱 동시들과 가까워졌음 참 좋겠다. 동시가 주는 맛도 많이 많이 느끼게 되면 더욱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