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제트의 초록양말 파랑새 그림책 74
카타리나 발크스 글 그림, 조민영 옮김 / 파랑새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읽고 나면 기분이 좋아지고 사랑스러움이 스멀스멀 느껴지는 책이다. 아마도 이 책을 읽게 될 많은 아이들이 나와 똑같은 기분일게다.  따뜻함을 잔뜩 담은 <리제트의 초록 양말>은 그래서 더욱 우리 아이 손에 자주 들려 지는 책이기도 하다.
아이들의 순수하고 맑은 마음을 읽을 수 있어 행복해지는 책 <리제트의 초록 양말> 안으로 들어 가보자.  

어느 날, 리제트는 길에서 초록 양말 한 짝을 줍는다.
"어머나, 오늘은 운이 참 좋은걸.  날마다 이렇게 예쁜 양말을 주울 수는 없으니까!"(p9)
글쎄, 나라면 어땠을까? 길에서 양말 한 짝을 보았다면? 양말은 짝이 맞아야 신을 수 있는 물건이니만큼 한 짝 밖에 없어 무용지물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한 짝만 신고 다닐 수는 없는 법이니까~^^.  하지만 리제트는 행운이라고 생각하며 기쁜 마음에 초록 양말 한 짝을 신는다. 아이와 어른의 차이일까?  리제트가 그 한 짝만으로도 처음엔 매우 흡족해 하였음을 안다.  한 짝만 신고 가다 친구들을 만나게 되자 예쁜 양말이라며 자랑을 할 정도였으니~~^^.  하지만 그 친구들 마투와 마토슈는 리제트를 놀린다.  양말은 두 짝이 있어야지, 그것도 몰랐느냐고 하면서... 
한 짝만으로도 충분히 행복했던 리제트는 그 말을 듣고는 다른 한 짝을 찾으러 나무 위에도 올라 가보고, 연못 속도 들여다 보지만 끝내 찾지 못하고 집으로 돌아 온다. 엄마는 리제트의 초록 양말을 빨아 빨랫줄에 널었는데, 한 짝만 걸려있는 그 양말을 보고 또 다른 친구 베베르가 모자 같다며 머리에 써보고는 무척 좋아한다. 그 때 마투와 마토슈가 다른 초록 양말 한 짝을 찾아가지고 오는데.... 
말썽꾸러기 마투와 마토슈가 순순히 그 양말을 내놓을리 없다 했더니만, 끝내 연못 속에 퐁당 빠트려 버려 리제트와 베베르는 초록 양말을 찾지 못하고 집으로 되돌아 온다.  그치만 집에는 엄마의 깜짝 선물이 기다리고 있었으니...바로 시무룩한 딸을 위해 리제트의 엄마가 나머지 한 짝을 똑같은 초록 털실로 짜주신 것!   

이제 리제트는 양말 두 짝이 생겼다. 그렇다면 리제트는 양말을 신고 다닐 수 있겠다. 두 짝이 되었으니...  
하지만 이 책은 그런 내 생각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야기를 끌어 나간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은 더욱 따스하고 사랑스러운 책이 되었다고나 할까~.  어른들이라면, 당연히 이제 두 짝의 양말을 신고 다니겠다 했을 텐데, 리제트는 친구 베베르가 '저렇게 생긴 모자를 갖고 싶어'했다는 것을 알기에, 베베르에게 한 짝을 나누어 주고는 양말이 아닌 모자로 사용한다.  똑같은 초록 양말 모자를 쓴 리제트와 베베르... 잠자리에 들면서 그 모자를 쓰고 잠들 친구를 떠올리며 흐믓해하는 그 둘의 모습에 나도 따라 흐믓해진다.
그렇다면 그 말썽쟁이 친구들 마투와 마토슈가 연못 속에 버린 초록 양말은 어떻게 되었을까?
마지막 페이지 그림에선 그야말로 미소가 절로 피어난다~^_______^. 

초록 양말... 발에만 신는 것으로 생각한다면 아마도 리제트만이 가장 행복했을터였다. 자신이 주운 한 짝과 엄마가 짜준 한 짝이 짝이 되어 신고 다닐 수 있었을테니 말이다.  하지만 그 초록 양말이 모자로도, 담요로도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순간... 베베르와 물고기아저씨까지 아주 큰 행복감을 맛보게 되었다. 
아이들의 기발한 상상과 아이들의 순수한 마음이 느껴져 사랑스러운 책!  나누면 더 큰 행복을 느낄 수 있음을 우리아이들이 리제트가 되어 만끽할 수 있을 것 같아 책을 덮으며 내 마음이 뜨뜻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