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첫사랑 - 뮤지컬 <붉은 정원> 원작 소설 ㅣ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46
이반 투르게네프 지음, 김학수 옮김 / 문예출판사 / 2006년 8월
평점 :

왜 이제껏 투르게네프의 작품에 눈을 두지 않았을까? 러시아 문학을 싫어하지도 않아서, 푸슈킨, 톨스토이, 도스토옙스키, 고골 등을 가끔 읽었는데도 투르게네프까지 건너가서 읽지는 못했더랬다. 몇 해 전 단편모음집을 통해 읽었던 <밀회>라는 작품이 내가 읽은 유일한 투르게네프 소설이었다(<밀회>는 이 책에도 수록되어 있음). 러시아를 대표하는 문호 중 한 명인 투르게네프의 대표작 중 하나인 <첫사랑>은 작가의 이름만큼이나 익숙하게 들어 알고 있던 작품임에도 오늘에서야 읽다니....... 만약 내가 투르게네프를 10대 중후반 언저리 그 어디쯤에서 읽게 되었다면, 아마도 내 청춘의 많은 시간을 이 작가의 작품과 함께 했으리란 생각이 든다. 풋풋하고 산뜻하지만, 미숙해서 아련하고, 아쉽다 못해 가슴 한 구석에 깊은 상처의 흔적을 남겨놓는 첫사랑에 좀 더 공감하면서 말이다.
투르게네프의 작품들은 사랑의 서사를 풀어낼 때 호기심과 궁금증을 자극한다. 그러한 전개는 독자의 마음을, 전개되는 사건의 방향에 맞춰 가슴 졸이며 다음 페이지로 또 그 다음 페이지로 끊임없이 잡아끄는 힘이 있다. 그러다보니 읽다가 잠깐 내려놓기조차 쉽지 않는 작품들이다.
이 책에 실린 4편의 작품 <첫사랑>, <아아샤>, <밀회>, <사랑의 개가>는 모두 ‘사랑이야기’다. <첫사랑>은 장편이고 <아아샤>는 중편, <밀회>와 <사랑의 개가>는 단편이다. 이 중에서 단연 내 마음을 사로잡은 인물을 만났는데, 바로 <첫사랑> 속 주인공 ‘지나이다’이다. <첫사랑>에 나오는 인물들은 중심인물이든 주변인물이든 생생하게 구체화되어 있는데, 특히 ‘지나이다’는 빼어난 아름다운 외모에 예민하면서도 강하고 고상하면서도 얄궂고 위악(僞惡)적인 듯 순수한 면모를 보이는 독특한 캐릭터로서 눈길을 끈다. <첫사랑>은 정경묘사와 심리묘사 또한 풍성하고 섬세하다. 열여섯이라는 나이에 처음으로 맞닥뜨린 사랑, 그 사랑이라는 감정에 휘둘려 주체할 수 없도록 만드는 어설픈 행동들, 그리고 그에 따른 희노애락의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는 심리적 묘사가 탁월하다. 물론 이러한 감수성 높은 묘사는 <첫사랑> 작품 한정은 아니다. 투르게네프의 문체가 그러한 듯 네 작품 모두에서 만날 수 있었다.

<첫사랑>은 투르게네프의 자전적 작품이라고 한다. 노년의 투르게네프가 <첫사랑>에 관해 “아직까지도 자신에게 만족을 주는 작품(작품해설, 278쪽)”이라고 말했다하니, 작가에게도 사랑 받은 작품이었나 보다. <첫사랑>과 <아아샤>에서는 푸슈킨의 작품이 차용되어 쓰인 부분도 눈에 띈다. 러시아 문학에서 푸슈킨의 영향을 되새겨 보기도 했다.
이 책에 실린 작품 중 <사랑의 개가>는 천일야화 중 한 편의 이야기 같은, 매우 신비로운 이야기다. 판타지적 요소를 담아 사건을 전개하다가 마지막 결말에서는 섬뜩하게 만든다.
4편의 이야기가 모두 흡입력 있어 즐거운 책읽기 시간이 되었다. 아무래도 투르게네프의 다른 작품들로 꼬리물기 독서를 하게 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