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진실과 반전의 역사 - 유물과 유적으로 매 순간 다시 쓰는 다이나믹 한국 고대사 서가명강 시리즈 12
권오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에 왜곡자료로 점철된 책 한 권을 읽다가 억장이 무너지는 느낌을 받았다상상과 편협한 자료가 만나서 이러한 주장을 펼칠 수 있구나 싶어서 놀라웠다그리고는 잊고 있다가 이 책의 저자가 들어가는 글에 쓰인 글을 읽고 다시 그 책을 떠올렸다저자는 이러한 이유는 터무니없이 부족한 사료의 한계라고 쓰고 있다제대로 된 역사 연구서들이 더 많이 출간되어 바로 잡고 또 그렇게 되려면 새로운 유물 유적 연구가 다양한 학문의 전문가들과의 협업으로 잘 이루어져야 할 듯하다.


1부에서 인상적인 부분은 가야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가져오게 했던 글들이다삼국시대가 아닌 사국시대로 불려야 한다는 주장도 일리 있다고 생각했다. 2부에서는 순장과 후장그리고 도굴에 대한 이야기가 재미있었다특히국가가 수용한 불교가 기득권이 누렸던 순장과 후장의 풍습을 사라지게 했다는 내용이 흥미로웠다. 3부에서는 왕성에서 살던 백성과 지방에서 살던 백성의 삶의 모습이 많이 달랐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풍납토성의 유적과 유물을 통해좋은 음식과 깨끗하고 편한 생활을 했던 성안 백성의 모습과 비교해 당시 지방 백성들은 움집에서 살았다하니 말이다.

아제르바이잔 역사유적 공동 발굴조사에서 걷은 성과를 설명하는 4부에서 참 놀라운 사진을 만났다유물과 유적에 관한 서술이 대부분이라 3부까지 읽으면서 발굴 현장과 유물 사진 등이 실려 있어 자세히 들여다보기는 했지만 4부에 실린 그 사진처럼 눈을 떼기 힘든 사진은 처음이었다아제르바이잔 역사유적지에서 출토 된 카타콤에 함께 매장된 1800년 전 부부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 바로 그 사진이다이제는 뼈만 남은 부부의 모습으로 부인의 뺨을 어루만지는 장신(長身)의 남편’ 모습을 담고 있는 이 사진은남자의 다리 사이에 커다란 철검이 끼워져 있고마주 본 아담한 부인의 얼굴 위에 남자의 손이 위치하고 있어서 마치 부인의 뺨을 어루만지는 듯 느껴졌다어쩌다 저런 모습으로 묻혔을까 싶어서 서사가 느껴지는 사진은 애틋함과 절절함을 불러일으켰다이 유적의 발굴조사로 한국의 학문적 위상도 과시할 수 있었다한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유적 발굴조사라고 하면 대부분 우리나라 국토에서 행해지는 것이고우리 국토를 벗어난다면 역사적으로 무수히 얽혀있는 중국과 일본 정도로 국한 했었는데우리의 역사를 제대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좀 더 그 범위를 넓혀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저자는 민족사를 뛰어 넘어서 인류역사 연구를 위해서라도 세계사적 유적 연구에도 함께 하는 것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제시하고 있다수긍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