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제적 고전 살롱 : 가족 기담 - 인간의 본성을 뒤집고 비틀고 꿰뚫는
유광수 지음 / 유영 / 2020년 6월
평점 :
‘학교에서 배운 것들은 다 올바른데 어디서 이런 불온한 이야기들만 모아놨느냐고 핀잔을 할지도 모르겠다(7쪽).’ 이 글은 ‘들어가며’에 적힌 저자의 말이다.
문학, 그것도 학교에서 교과서를 통해 배우는 문학은 가치를 중시한다. 문장이 정제되고 아름다운 표현으로 쓰였는지의 여부만이 아니라 내용이 문학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학교(초·중·고) 교과서에 실리고 아이들에게 가르치기 때문이다. 특히 고전으로 분류되는 고전문학은 끊임없는 영향력을 발휘하는 작품으로 그 가치가 인정받아 반복적으로 실린다.
전문(全文)을 읽지 못했더라도 내용을 익히 알고 있는 고전소설은 그 소설의 등장인물이 전형성을 획득하여 관용적으로 쓰이기도 한다. 하지만 <문제적 고전 살롱>을 읽고 난 지금은 그 전형성이 흔들렸다.
‘모골(毛骨)이 송연(悚然)하다’라는 관용 표현이 있다. 모골(毛骨), 즉 털과 뼈가 주뼛 곤두설 정도로 끔찍하거나 두려운 일을 당할 때 쓰는 표현이다. 이 책을 읽고 한 마디로 평을 하라면 딱 저 말이 떠오른다. 익히 알고 있던 고전소설을 모아서 독자가 이제껏 무심히 흘려버렸던 것들을 저자가 끄집어내어 논하는데, 그 소설 기저에 흐르고 있는 모골 송연한 내용을 모아 놓은 듯한 책이다. 말 그대로 ‘이건 몰랐지?’ 혹은 ‘알고자 파헤치다가 보면 마음이 불편해질까 봐 그냥 표면에 드러난 것만 보려고 했지?’라며 꼬집는 책 같기도 하다. 그래서 소제목이 ‘인간의 본성을 뒤집고 비틀고 꿰뚫는’이라고 명명했구나 싶다.
인간의 비틀린 본성, 추악한 내면을 옛이야기라는 허울로 감싸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 온, 고전 속에 담긴 이러한 아비투스에 현재를 살아가는 나는 얼마나 저항할 수 있을까? 저자는 독자가 ‘고전(古典)의 아비투스’로만 인식하는 것을 저해(沮害)한다. 그 뒤집고 비틀어 파헤쳐 마주 보게 된 인간 본성을 우리가 살아가는 현재의 실제 사건이나 상황으로 끄집어낸다. 그리고는 독자에게 ‘지금도 여전하지? 똑같지?’라고 말한다. 그래서 참담함을 주는 책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