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평전
간호윤 지음 / 소명출판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아이들에게 읽히면 좋을 책을 찾다가 눈에 쏙 들어온 책이 있었다. <다산처럼 읽고 연암처럼 써라>는 책이었는데이 책 또한 동일한 저자의 연암 평전이여서 반갑고 기대가 되었다

평전이란 비평을 곁들인 전기(들어가며, 3)비평을 곁들이기 위해서 객관적 자료들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객관적 자료를 통해 평전은 학술적으로 자리매김하기도 한다저자는 현재 우리의 평전문화에 대해서 입전대상에 대한 입체적인 시각을 포기하여 박제화 되어 버린 퇴행하는 평전문화라고 꼬집기도 한다(들어가며, 4)그렇다면 저자는 어떻게 평전을 썼을까


<연암 평전>을 쓰면서 저자는 열 한 명의 필자를 내세웠다그들 모두가 연암에게 신뢰를 갖는 이들은 아니다. ‘이 자는 우리 집안과 백대의 원수이다(본문, 174)라고 했던 연암의 둘째 아들인 박종채가 말한 백대의 원수라고 불린 유한준도 필자로 내세워 쓰고 있다필자 구성원도 다양하다. <열하일기>로 불거진 비변문체에 대한 자송문으로 지혜롭게 대처했던 조선의 왕정조와 연암의 집에서 종노릇했으며 연암이 죽은 후 바로 다음날 사망하였다는 종오복의 눈에 비친 연암도 만날 수 있다.

 

연암에게 있어 문학이란 유일한 현실 참여 방법이었고 포부를 펼치는 장이었다연암에게 글쓰기는 고뇌 그 자체였다(본문, 331).

연암에게 정치참여는 문학을 통해서라 하겠다그러니 그의 문학에서 풍자와 해학을 빼놓고 얘기하기는 어렵다. <허생전>, <양반전>, <마장전>, <예덕선생전>, <호질>등에서 에둘러 표현된 글은 연암이 당시 사회를 어떠한 눈으로 보고 있는지 알게 해준다.

연암의 문장은 <열하일기>를 통해 묘사의 탁월함을 느끼게 했는데이 책에서 연암의 부인 전주 이씨를 필자로 내세워 쓴 글에서 연암이 어떤 자세로 사람과 사물을 들여다봤는지 알게 되어 좋았다. ‘그이는 사람의 얼굴 표정옷차림대화 따위를 치밀하게 관찰하고 이를 다시 묶어 생각하는 버릇이 있어요(본문, 158).’라는 글과 부인에게 연암이 이것은 관상이 아닌 관찰이지요관찰이야 말로 내 글쓰기 비결이라오(본문, 160).’라고 쓴 글을 통해서다.

연암 박지원의 여러 작품을 통해 오래 전부터 연암을 좋아했는데이 책을 통해 연암의 인성가치관가족에 대한 사랑사회에 대한 시각 등을 더 세밀히 살펴 볼 수 있어 즐거운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