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 100주년 시집 - 님의 침묵,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그날이 오면, 모란이 피기까지는, 광야, 쉽게 씌어진 시
한용운 외 지음 / 스타북스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19년 3월 1일, 대한의 독립만세를 외치던 그날로 부터 2019년 지난 3월 1일은 100주년이 되는 날이다. 그에 따라 독립운동가들을 재조명하는 글들도 접했더랬다. 그러다 눈에 띈 시집이 이 시집이다. <독립운동 100주년 시집>이라는 제목을 달고 나온 만큼 일제강점기 당시에 활동한 시인들 중 대표적 시인 여섯 사람의 시를 실어 놓았다. 이책을 읽고 싶었던 가장 큰 이유는 일제강점기 대표시인 여섯 명의 시를 한 권의 책으로 만날 수 있다는 생각에서다. 한용운을 제외한 다섯 명의 시인은 모두 1900년이 지나 태어났다. 1910년 우리의 국권이 강탈되었던 해에 한용운을 제외한 그들은 코흘리개 어린아이였을 뿐일텐데, 윤동주는 1917년생이니 한일병합 후 태어난 시인이고 말이다. 그럼에도 그들의 시에선 절절한 독립에 대한 열망이 조금씩 자기마다 표현의 색채만 다를 뿐 피끓듯 올라와 가득하다. 머리글로 시작된 '기미독립선언문'도 의미 깊게 읽었다. 온몸으로 이 시집이 '독립운동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시집임을 머리글에서부터 각인시킨듯 했다.


일제강점기에 독립의지를 가지고 활동한 시인이 이들 여섯만은 아니지만 이들 여섯을 대표시인이라고 할 때 트집잡을 이는 정말 없을 듯하다. 기미독립선언문의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인 한용운,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이상화, 그날이 오면 '종로의 인경(人磬)을 머리로 들이받아' 두개골이 깨져 산산조각이 나도 기뻐서 죽겠다고 노래한 <그날의 오면>의 심훈, 일제강점기 그 시기를 '독을 차고 선선히' 가겠다는 <독을 차고>의 김영랑, 두 말 할 필요없는 이육사와 윤동주이니 말이다.


기대했던 것보다 더 좋았던 것은 익숙했던 시인들의 익숙하지 않은 시들을 만나볼 수 있었다는 점이다. 물론 시인들의 각 대표시들이 떠억 하니 실려있기는 하지만 그 외에도 여러 편의 시들을 통해 여섯 시인들의 다양한 시를 접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아주 흡족했다.

'두 발을 못 뻗는 이 땅이 애달파 하늘을 흘기니 울음이 터'진다는 이상화의 <통곡>이, 심훈의 <고독>에서 방안으로 굴러든 낙엽을 보며 '...어루만져 재우나 바스락거리며 잠은 안 자네'라고 한 표현과 마지막 행 '밤중이면 이불 속에서 그 울음을 깨물어 죽이네'라는 표현이, '항상 앓는 숨결이 오늘은 해월(海月)처럼 게을러 은빛 물껼에' 뜬다는 이육사의 <파초> 첫 연이, 내겐 무척 인상적이었다.   

'조선은 마음 약한 젊은 사람에게 술을 먹인다. / 입을 벌리고 독한 술잔으로 들이붓는다./ ...(중략)... / 아아, 조선은, 마음 약한 젊은 사람에게 술을 먹인다. / 뜻이 굳지 못한 청춘들의 골(腦)를 녹이려 한다. / 생재목(生材木)에 알코올을 끼얹어 태워버리려 한다.'는 심훈의 시는 현진건의 <술 권하는 사회>를 한 편의 시로 적어 놓은 듯했다.


100년이 지난 지금의 시점에서 읽어내리는 그들의 시가, 그들이 목놓아 부르는 저항적 의지와 독립의 열망이 새삼 더욱 새록새록 마음에 담을 수 있는 시간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