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과 일 사이에 시간이 잠깐 비어 카페에서 커피를 한 잔 마시며 여유를 찾는다고 한다. 그게 여유일까. 커피를 마시면서도 다음 일에 관한 생각뿐이다. 카페의 창밖으로 흐르는 강물 한 번 보지 못하는 여유. 그러면 여유를 어떻게 찾아요?라고 해 봤자 나는 모른다. 단지 여유는 시간이 날 때 즐기는 게 아니라 시간을 내서 즐겨야 한다. 그래서 책 읽을 시간이 없다는 건 거짓말이고 시간이 나지 않아서는 핑계다.
/
바람이 너무 심하게 분다. 음악을 끄고 책도 덮고 가만히 있으면 바람이 창에 와서 부딪히는 소리가 화가 난 것만 같다. 저녁의 온도는 3.9도 가량으로 겨울치고는 꽤 높은 온도였는데 바람이 걷기도 힘들 정도로 불었다. 그래서 체감온도는 더 추운 것 같았다. 조깅을 하니 등에서 땀이 나긴 났지만 어제만큼 나지 않았고 바람 때문에 금방 식어 버렸다. 바람이 얼굴을 심하게 때려 달리는 것도 힘들어서 걸었는데 땀이 등에서 식어서 자칫 감기에 걸릴 뻔했다. 감기가 걸리지 않는 건 순전히 예방접종을 맞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
우리가 유아기를 넘어서 사회에 대해 인식하며 생활하는데 가장 큰 오류는 죽음에 대해 가까이 가지 않으려는 것이다. 인간은 누구나 죽는다.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 죽음으로 가는 배를 탔을 뿐이다. 누군가는 배가 일찍 뒤집어져 빨리 죽고 뒤집히지 않고 배가 저 끝까지 가서 내리는 사람도 있다. 죽음과 나는 무관하다는 모순을 안고 살아가다 준비 없는 이별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만다.
친구 부모님의 죽음, 사랑하는 이의 죽음, 친구의 죽음, 가족의 죽음, 좋아하는 음악가의 죽음을 우리는 겪었다. 그 모든 죽음이 준비 없이 다가왔다. 죽음에 관해 이야기하면 이상하게 쳐다본다. 죽은 사람을 이야기하는 건 그 사람을 기억하는 일인데 쉬쉬하고 꺼린다. 예전에 삼 김 시대가 열렸을 때 김영삼 대통령과 김종필 총재, 김대중 대통령에게 마이크가 다가가서 나라가 어떻게 될 거냐고 물었을 때 김영삼과 김종필은 민주화가 이루어져 부상하는 나라로 갈 것이라고 해서 사람들의 박수를 받았지만,
김대중만이 끝까지 대중의 바람과는 달리 불안하다, 이대로는 안 된다, 국민이 고통에 휩싸일 것이라고 했다. 비관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것이 비관에 눈 감는 것보다 낫다. 헤밍웨이가 간파한 것처럼 어떻게 이기느냐 하는 것 못지않게 어떻게 지느냐 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