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 앞이 바다라 바닷가에 앉아서 맥주를 홀짝이며 소설 읽는 재미가 있어.
세상과 분리되고 싶을 때 소설 속으로 숨어 들어가는 거야.
그러다 고개를 들면 바다가 있어. 칼스버그는 맛있고.

바다는 뱀을 닮았어.
멀리서 보는 바다는 꼭 뱀과 같아.
팔다리가 없어도 불평 한번 안 하잖아.
늘 어딘가 숨어 지내고 있지만 역사적으로 현재에도 증오와 미움을 잔뜩 받고 있지.

천경자는 그런 뱀을 그렸어.
천경자의 [생태]를 봐. 생생하고 감동적이야.
뱀이니까.
수평선 너머 이어지는 바다는 뱀의 몸통과 비슷해.
쥘 르나르가 뱀에 대해서 그랬다지. 너무나 길구나.
영화 요정 김혜리 기자도 자신의 책에서 말했지.
뱀은 자신의 독 때문에 인간처럼 말이 많지 않아.
바다를 조금 멀리서 보면 뱀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해.
고독하며 품고 다니는 독이자 치유제인 그 액체를 마음만 먹으면 내 몸에 수혈할 수 있도록 말이야.
매혹적이며 은근하지.
몸을 이루고 있는 색감은 인간의 인공적인 붓질로는 표현해내지 못할 거야.
천경자 빼고 말이야.
보고 있으면 그 컬러의 매혹에 빠져들 거야.
우울할 때 키리코의 그림을 보며 깊은 우울을 느끼고 나면 괜찮아지듯 팔다리 없이도 고개를 들고 어디든 스르륵 가는 뱀에게 눈을 떼지 못하는 건 당연한 일일지도 몰라.
차인표가 소설가인 거 알아?
소설도 두 권이나 썼어.
전부 재미있어.
차인표의 오늘예보에도 뱀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
뱀한테 물린 적도 없는데 우리는 뱀이 그냥 싫지.
남들이 싫다고 하니까 무조건 싫은 거야.
여기에 서서 바다를 보면 인간의 사랑에 대해서 생각하게 돼.
김소연 시인의 말처럼,
사랑의 달콤함을 알기에는 우리 삶이 너무 길어.
뱀처럼 말이야.
하지만 사랑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받아들이기엔 인생이 터무니없이 짧지.
뱀처럼 말이지.
천경자 화가가 생태를 그렸을 때 세상은 그랬어.
뱀을 그리는 여자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