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실의 도미노


공실공실


이곳은 시내 중심가의 가장 중심 건물의 일요일[2024년 4월 20일] 정오의 모습이다. 상가는 대부분 공실이고 이 시간에 우르르 다니던 사람들 역시 거의 사라졌다. 이런 경우는 처음이라는 말이지.


생긴 이래 이렇게 공실이 많고 사람이 이토록 없었던 적은 없었다. 모두가 처음 겪는 일에 놀라고 있지만 일상이 지속되니 그것대로 받아들이고 있다. 음악을 듣고 티브이를 보고 밥을 먹는 건 예나 지금이나 똑같으니까 자영업의 몰락이 무섭기는 하지만 일상이 되어 버리면 그것대로 흐름에 딸려 흘러갈 뿐이다.


현재 상가 공실률이 급증하고 있다. 광수네 복덕방 대표 이광수 애널리스트의 말을 빌리면, 지난해 4분기 기준 전국 소규모 매장 공실률이 7.3%로 역대 최고치라고 한다. 자영업자들의 폐업이 증가하고 있다. 이게 공식 통계인데 이광수 대표는 비공식적이지만 15%로 보고 있다고 한다. 그러니까 몰락 수준이다.

출처: 광수네 복덕방


신촌 같은 곳은 18%(5분의 1이 비었다는 말), 장안동은 15% 정도라고 한다. 이 엄청난 공실을 이미 사람들은 체감하고 있다. 위의 사진에서처럼 비어있을 수 없었던 매장이 전부 공실이 되었다. 심각한 상황이다.


출처: 광수네 복덕방


이렇게 폐업이 많고 공실이 많은 이유는 자영업자들의 몰락 때문이다. 매출이 줄고, 무엇보다 대출을 받았던 타격이 너무나 크기 때문이다. 전체 대출액이 천조억이 넘는다고 한다. 천조억? 이런 액수가 도대체 얼마일까.


장사가 잘 된다면 매출도 늘고 대출도 갚을 수 있는데 장사가 전혀 되지 않는 시대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대출을 끌어서 쓴 자영업자들은 이자도 못 내는 형편이니까 폐업이 줄줄이 이어진다. 자영업자 1인당 대출액이 1억 원도 추정된다고 한다. 초반에 투자비용이 많이 든다. 인테리어부터 해서 각종 물품비용까지.


자영업자들은 부채를 갚는 것만으로도 돈을 번다고 생각을 한다. 그래서 대체로 영차영차 열심히 같은 루틴으로 매일 장사를 한다. 부채를 갚는 돈은 자신의 돈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돈을 벌어들인다, 그래서 부채를 다 갚고 나서는 나는 돈을 번다고 생각을 한다.


자영업자의 운명은 돈이 벌리지 않더라도, 손님이 별로 없더라도 늘 나가서 매장을 지켜야 한다. 그래야 한다. 휴일이라서 쉬고, 주말이라서 쉴 수 없다. 그러니 국힘 전 비대위원장이 자영업자들에게도 출산 휴가를 준다는 말은 터무니없는 말일뿐이다. 주인이 며칠 나오지 않으면 사람들은 그 매장은, 그 가게는 장사를 안 하는구나,라고 생각을 하고 발길을 돌려 다시는 오지 않는다.


자영업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의 소득이 줄어들었다. 그래서 지출이 줄어들었다. 경기가 마이너스인데 자영업이 줄 폐업을 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우리나라 20%의 일하는 사람이 자영업이기 때문에 자영업이 안 좋아지면 실업률이 증가하고 민간소비가 감소하게 된다고 이광수 대표는 말했다. 자영업자 중에서는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즉 직접 일을 하는 사람들이 75%가 된다. 직원 없이 부부라든가 주인이 직접 하는 경우를 말한다. 영세업자다. 이 75%가 무너지면 실업자가 급증하고 경제가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만약 자영업자들이 장사가 잘 되면 자영업자 부채율이 줄어든다. 그렇게 되면 금융 문제가 해소되고, 자영업자가 영업이 회복이 되면 실업자도 증가하지 않게 되고, 공실률도 감소하게 된다. 즉 부동산 시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자영업자는 아니지만 지금 중소건설사가 월간 100개 이상 문을 닫고 있다고 한다. 위태위태한 전선 위에 놓인 사람들이 있고, 그 밖의 사람들로 나뉜다면 나는 어디에 서 있는 걸까.



요즘 아이들은 자라면서 이전에는 신경 쓰지 않았던 부분까지 신경을 쓰며 살아야 한다. 위에서 말한 경제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천재지변까지 인간의 삶을 고통스럽게 한다.


지진도 많아졌다. 8, 90년대 누가 지진에 대해서 신경을 쓰며 살았을까. 지진이라는 볼케이노와 단테스피크 같은 영화에서나 볼 법한 천재지변의 단어였다. 하지만 포항지진으로 집들이 무너진 이후 우리는 지진이 오면 신경이 날카로워지며 스트레스를 받는다. 얼마 전에 대만에도 엄청난 지진이 왔고 그 이전에는 아이티에 대지진으로 섬나라가 초토화되었다. 이제는 휴대전화로 매일 크고 작은 지진의 정보를 받아 보고 있다.


대만 같은 경우는 7.0이 넘는 대지진이 났지만 인명피해는 그에 비해 크지 않다. 대만은 지진이 굉장히 많이 일어나는 나라다. 그러다가 1999년 9월 21일에 7.3의 대지진으로 2,415명이 사망했고, 11,305명이 부상을 당했고, 29명이 실종되었고, 주택만 51,711채가 붕괴되었다. 그 사건을 대만에서는 921 대지진이라 부른다. 그 뒤로 대만은 모든 건물이 강진에 대비를 했다. 그 덕분에 이번 7.0이 넘는 대지진에도 인명 피해가 심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제 사람들은 지진, 폭우, 폭염에 대해서 예전처럼 나 몰라라 하며 지낼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자연이 주는 경고를 위해 각 가정에서는 아이들을 위해서 물품을 구비해야 하는데 그에 따른 빈익빈 부익부 현상은 앞으로 더 벌어질 것이다.


또 미세먼지를 이제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광고에서도 아이들이 하늘은 황토색으로 그리며 하늘색이라고 했다. 봄에는 황사도 심하다. 황사가 이토록 심하다고 예전에는 생각하지도 못했다.


그리고 지금 아이들이 대학생, 성인이 되면 위에서 말한 경제적인 부분을 체감하면서 지내야 한다. 얼마 전부터 인공지능이 인간 생활에 틈입하게 되었다. 인공 지능을 가진 로봇이 서빙을 보는 식당이 늘어가고, 주유소는 전부 셀프로 바뀌었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예술하는 쪽의 사람들만 살아남고 과학이나 제조업에 종서하는 사람들이 전부 몰락한다고 했지만 인공지능 쳇이 등장하면서부터 딥페이크, 영화, 각본, 소설, 시까지 인공지능이 인간을 능가하게 되어서 예술 쪽이 불안하게 되었다. 그만큼 현재 아이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입지가 너무 좁아질 것이다. 그리고 성인이 된 아이들은 경쟁에 견디지 못하고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른다.


외국인들은 한국으로 취업을 위해, 살기 위해 매년 들어오는 수가 늘어나고 있다. 내가 사는 도시의 구에서도 외국인들이 너무 많아서 기사에 나기도 했다. 한 구역에서는 지나다니면 외국말을 더 많이 듣는다. 중국말과 동남아시아 쪽 말들. 아직 그들은 힘든 일에 몸을 아끼지 않고 뛰어든다.


아무튼 시내 중심가의 공실 상태를 보며 난생처음 조금 무섭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린이들이 후에 어른이 되었을 때는 이런 현실에서 벗어날 수 있으면 좋으련만. 그렇게 될 수 있게 만드는 사람들은 정치인들인데.....


밑의 기사는 대구 매일신문 기사인데 지금은 닫혔다. 매일신문에서 이런 기사를 낸 걸 누군가 싫어해서인지 지금은 들어가지지 않는다.

근데 우리 금쪽이 대통령 '2036 서울올림픽' 유치 직접 나선다고 2022년에 불굴의 의지를 보였는데 지금은 이러지 않겠지ㅠ 이 현실이 그저 꿈이었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