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 조금이라도 위로하는 척, 날 아는 척하면 곧바로 날이 서고, 그런 자신을 미워하지만 감정을 어떻게 표현하고 표출해야 하는지 어렵기만 하다. 남편이 남긴 부재는 무형태로 남아서 그 존재를 더욱 드러내고 리는 그럴 때마다 사람들을 피하고 싶어서 더 파티를 열고 자신을 다그친다.

동생 쥴스는 깊은 알콜 중독으로 낙오자 같은 생활을 하다가 재활을 통해 겨우 엄마의 집으로 들어와 엄마의 짐에서 운동 강사로 일을 한다. 사람들을 너무 쉽게 믿고 친해지는 게 엄마에게 못마땅하지만 쥴스는 그게 쥴스니까. 그러나 잘하려고 하면 할수록 알콜중독자였던 과거가 자신을 옭아매고 실수만 저지른다. 술을 끊으면 엉망진창인 모든 게 다 제자리로 돌아올 줄 알았지만 여전히 형편없는 자신의 모습에 허망하기만 하다.

엄마는 이혼 후 홀로 편하게 지내는 것 같은데 사위를 잃은 큰 딸과 알콜중독 치료가 끝날 둘째가 집으로 들어와서 제대로 된 가족 같은 기분이 든다. 하지만 인간관계라는 건 마음처럼 되지 않는다. 설명할 수 없는 불안이 늘 따라다닌다.

엄마는 어느 날 심장이 아프고 한쪽 팔에 감각이 없어서 병원에 갔는데 심장에는 문제가 없지만 자신도 모르게 딸들을 신경 쓰느라 공황장애가 온 것이다. 이 드라마는 남편이 사고로 죽은 후 사회를 원망하며 지내는 리가 남편이 사고로 죽은 게 아니라는 걸 알게 된 후 겪게 되는 인간관계, 그리고 자신과 자신의 부딪힘, 가족과 타인의 경계 같은 것들이 무너지는 것에 대해서 위태롭게 버티는 이야기다.

그 중심에는 우울증이 있다. 우울증을 앓던 남편이 죽음으로 해서 극복하려는 리의 감정이 아주 섬세하게 연출되었다. 처음에는 미스터리 드라마인 줄 알았다. 그저 사람들을 신경 쓰지 않고 나 혼자 잘 지내고 싶은데 사람들과 같이 지내야 할 때가 있다. 혼자서 돈을 벌 수 없고 사람들을 만나야 한다. 정해 놓은 틀 안에서 시선을 돌리고 싶은데, 안전한 틀에서 거기서 벗어나는 일들이 사람들을 만날 때마다 계속 일어난다.

잘 알지도 못하면서 아는 것처럼 이야기를 하면 리는 촉을 세우고 달려 들려고 한다. 그러나 상대방이 그런 의도가 아니라는 걸 너무나 잘 알고 있지만 쉽게 되지 않는다. 인간관계는 너무나 어렵다. 남편은 깊고 깊은 우울을 벗어나기 위해 의사에게 약을 처방받지만 점점 내성이 생겨 강한 약으로 처방받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뿐.

가장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할 수 있는 건 사랑하는 사람을 벗어나는 일. 위배가 하는 일이 모순이 대신하는 이 감정을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까. 드라마는 페이스북에서 제작했다. 기대 없이 봤지만 인간관계는 거기나 여기나 북한도 어려울 것이라 아주 공감하면서 봤다.

이 설명할 수 없는 공허, 이 텅 빈 동공을 매일 느끼며 살아야 하는데 그 방법을 모를 땐 어떻게 해야 할까. 쉽지 않은 인생이다. 내 뜻대로 되는 게 하나도 없는 리는 사람들을 불러 파티를 열지만 후회한다. 그리고 친구와 싸우고. 파티가 끝난 후 설거지를 하는데 그릇마저 깨진다. 왜 내 마음대로 되는 게 없을까. 울고 있을 때 엄마가 와서 그릇을 건네준다. 리는 그걸 깬다. 또 하나 건네준다. 확 깨버린다. 그 장면이 마음에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