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생활 속 오류들에 이어 오늘도 생활 속 오류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자. 지난번도 그렇고 이번에도 그렇고 딱히 과학적이거나 정확한 통계는 없다. 그저 생활 속에서, 나의 주위에서 또는 나에게 일어나는 일상 속 오류를 말하는 것이다. 작년인가 재작년인가 귤이 언젠가부터 당도가 강해서 별로라는 글을 한 번 쓴 적이 있는데 – 그래서 쎄그랍고, 씨그러운 옛날의 귤이 지금의 당도가 강한 귤보다 낫다고 했는데, 누군가 댓글에 귤 농민들을 다 죽이는 글이라며 비난을 엄청 하고 갔는데 오버는 하지 말자는 것이다. 모든 과일이 전부 당도가 강한데 겨울 한 철 먹는 귤 정도는 그렇게 달지 않아도 괜찮잖아.


오늘 이야기할 오류는 “어? 내 귀가 왜 그래?”이다. 내 귀가 왜 양쪽이 이렇게 다르지? 같은 말을 많이 듣는다. 자신의 한쪽 귀가 다른 쪽 귀에 비해 많이 눌려 있거나 위치도 수평이 아니라 다른 쪽 귀에 비해 밑이나 위로 올라가 있다.


뭐야? 도대체 양쪽 귀가 왜 이렇게 달라?라고 할지도 모르지만 양쪽 귀가 똑같기가 사실 참 힘들다. 양쪽 귀가 같아야 정상인데, 양쪽 귀가 똑같으면 그게 좀 이상하다. 무슨 말인가 한다면 보통 대부분의 사람은 한쪽으로 누워 잔다. 그러다 보면 누운 쪽 귀가 눌려 있다. 대부분이 그럴 것이다.


귀는 우리 몸에서 유일하게 통감이 없다. 그래서 귀를 많이 뚫어도 아픈 줄 모르고, 엄지와 검지로 귀 앞뒤를 있는 힘껏 눌러도 전혀 아프지 않다. 마치 “그래? 한 번 해 볼 테면 해봐”라는 식이다. 그런데 머리는 몸에서 가장 무겁다. 책상에 엎드려 팔베개를 하고 잠이 들면 10분 만에 팔이 저려 일어나야 한다. 그만큼 무거운 머리가 피를 통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무서운 머리로 매일 7시간에서 8시간씩(뒤치닥 거리기도 하지만) 귀를 누르는데, 아프다 소리도 지르지 못하는 귀는 그대로 머리의 무게에 눌릴 수밖에 없다.


보통은 머리카락으로 귀를 가리고 있으니까 양쪽 귀에 대해서 평소에 아무 생각이 없다가 귀를 드러내고 정면에서 보면 어? 하는 경우가 있다. 우리가 손거울로 귀를 볼 때에는 귀가 잘 보이도록 얼굴을 약간 돌려 귀를 본다. 증명사진을 찍듯 정면으로 머리를 걷고 정확하게 보면 귀는 양쪽이 짝짝이다. 오른쪽 귀가 왼쪽 귀보다 약간 위에 붙어 있는 경우도 있고, 모양이 완전히 다른 경우도 있고, 한쪽 귀가 뭔가를 움켜잡듯 오므라든 귀도 있다.


여기에서 우리의 오류가 발동한다. 그렇게 양쪽 귀모양이 다르다는 걸 받아들이지 못하는 오류다. 자신의 상황을 난생처음 접하기 때문이다. 양쪽 귀 모양이 달라지게 되는 건 한순간에 그렇게 되는 것이 아닌데 오늘 뭔가에 의해서(그 뭔가는 딱히 정해져 있진 않지만) 그렇게 달라졌다는 오류를 행한다. 이렇게 귀모양이 양쪽이 다르게 되는 건 긴 시간 동안, 오랫동안 꾸준하게, 매일매일 서서히 귀 모양이 그렇게 달라지게끔 생활을 하고 있어서 그런 것이다.


인간의 몸이 왼쪽 오른쪽이 같아야 정상이겠지만 같으면 그건 너무나 이상하다는 거다. 양쪽 귀모양이 다르듯 목길이도 왼쪽 오른쪽이 대부분 다르다. 습관 때문이다. 여러 잘못된 습관이 있겠지만 대체로 한쪽으로 음식을 씹는 습관이 목길이를 왼쪽 오른쪽 다르게 하고, 한쪽으로 턱을 쏠리게 만들고, 입꼬리를 한쪽으로 올라가게 만들고, 입술이 한쪽이 더 길게 된다.


솔직히 양쪽으로 골고루, 한 번에 스무 번 이상씩 음식을 씹어 먹을 수가 없는 현재다. 일단 양쪽으로 골고루 씹으려면 먹는 음식이 그만큼 씹을 수 있는 음식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멸치볶음이라든가. 고사리무침, 스테이크(레어면 좋지만 다 익어도 많이 씹을 수 있는)나 장조림, 생당근처럼 입에서 오랫동안 씹을 수 있는 음식을 자주 먹어야 하는데, 주로 찾는 식당에서 먹는 음식들이 대부분 입안에서 잘 허물어지는 음식들이다. 스파게티, 부대찌개, 설렁탕, 어묵, 만두 등, 그리고 정크푸드 – 햄버거나, 감자튀김 같은 음식을 주로 먹기 때문에 몇 번 씹지 않고 넘긴다. 그렇게 대부분 한쪽으로 씹을 수밖에 없다.


‘콩나물무침밥’ 같은 음식을 파는 식당은 존재하지 않는다. 아니 주위에는 일단 존재하지 않는다. 문을 열고 나가면 대부분 분위기 좋은 스파게피, 파스타, 돈가스 가게들이 죽 나올 뿐이다. 기사식당에서는 많이 씹을 수 있는 음식이 가득 하지만 기사식당을 찾아서 먹으러 가지 않는 이상 힘들다. 주위에서 먹을 수 있는 음식 중에서 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편의점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어서 더욱 그렇다. 심각김밥에 컵라면은 정말 천상의 맛이지만 많이 씹을 수는 없다. 1인 가구가 4인가구를 넘어버린 현시점에 홀로 집에서 많이 씹어 먹을 수 있는 반찬으로 밥을 먹을 수는 없다. 라면을 끓여 먹다 보면 알겠지만 한쪽으로 대충 씹고 넘기게 된다. 어쩌다 괜찮은 식당에서 좋은 반찬으로 식사를 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건 말 그대로 어. 쩌. 다.이다.


그럼에도 왼쪽 얼굴과 오른쪽 얼굴이 대칭인 사람, 입술의 양쪽과 콧구멍(이 의외로 한쪽 콧구멍이 큰 경우가 많다. 조심하자), 그리고 귀 모양이 양쪽이 비슷하다면 그 사람은 남들에 비해 열심히 양쪽으로 씹는 노력을 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일반인보다는 연예인은 정도가 덜하다. 왜냐하면 카메라에 한쪽은 잘 나오는데 한쪽이 잘 나오지 않으면 팔리지 않는다. 회사입장에서 계약을 한 연예인은 상품이기 때문에 상품에 하자가 있으면 안 된다. 그래서 매니저를 두어 늘 자세를 바로 잡게 하고, 음식도 골고루 씹어 먹게 한다. 관리를 해준다. 그럼에도 간혹 유튜브에서 잘 나가는 연예인이 카메라를 켜고 개인 방송에서 나는 이쪽 얼굴이 더 잘 나온다 같은 말을 하는 경우가 있다. 관리를 철저하게 받는 연예인들도 때로는 한쪽이 더 나은 경우가 있을 정도로 얼굴의 양쪽이 같아야 정상이지만 같으면 이상한 현실이다.


우리의 오류는 더 나아가 다리길이가 양쪽이 같은 줄 알고 있다. 다리 길이는 오전에 같더라도 오후에 다를 수 있고, 많이 걷는 날에 다를 수 있다. 생각해 보라, 쇠로 된 철길도 여름에 늘어나고 겨울에 줄어드는데 인간의 다리 정도가 왼쪽 오른쪽이 매일 같을 수 있을까. 확인하는 방법은 하루를 열심히 보내고 난 후 잠들기 전 침대에 앉아서 다리를 쭉 뻗고 체크를 해보면 된다. 어제 같더라도 오늘 다를 수 있고, 오늘 같더라도 내일 다를 수 있다.


그래서 뭘 해야 해? 당연하지만 운동을 해야 한다. 스트레칭을 매 시간 해주면 좋고 – 한 시간 의자에 앉아 있으면 몸은 한 시간 동안 망가지게 된다. 화장실에 갈 때 그때 3분 정도 스트레칭을 하고 7분 똥을 싸고 오면 된다. 똥은 어지간하면 5분 미만에 끊는 게 좋다. 여하튼 사람들 중에 똑바로 걷는 사람이 거의 없다. 당장 길거리에 다니는 사람들의 뒷모습을 유심히 보자. 걸음걸이가 전부 이상하다. 가방, 핸드백을 한쪽으로 매고 들지, 높은 굽의 신발에, 걸음걸이가 천차만별이다. 가끔 뒷짐 지고 천천히 동네를 걷는 어르신을 보는 경우가 있는데 어쩌면 그게 바른걸음일지도 모른다. 모델처럼 걸어야 하지만(십일 자로 교차하듯이) 친구나 동료나 가족과 함께 걸어야 할 때는 절대 그렇게 걸을 수 없고, 아이들이나 아기를 데리고 나가서 걸을 때 역시 제대로 된 걸음걸이로 걸을 수 없다. 뒷짐을 지면 무게 중심이 앞이 아니라 뒤로 약간 젖혀져서 괜찮은 자세라고 한다. 


그리고 뉴스를 볼 때 아나운서를 보는 재미 중 하나가 어깨나 얼굴의 비대칭이 심한 아나운서도 있다. 옷이 한쪽으로 쏠려 있거나 턱이 한쪽으로 가 있는 경우가 있어서 안타깝게 볼 수밖에 없는 경우도 있다.


인간은 완벽하지 않다. 정말 완벽과는 거리가 먼 게 인간이지 싶다. 가만 내버려 두면 이상하게 진화할 것이 분명하다. 나의 귀가 양쪽이 같은 것이 어쩌면 평범한 것인데, 이 평범하게 보이는 것이 얼마나 힘든 것인가 알게 된다. 평범한 것을 지키려면 처절할 정도로 노력을 해야 겨우 유지가 된다. 잘못된 습관과 잘못된 자세를 바로 잡는 것은 죽기만큼 힘들 수 있지만 그렇게 힘들게 노력을 하는 사람들은 쉽게 입 밖으로 내뱉을 수 있는 평범함을 유지하는 것이다.


나도 그렇고 생화 속에서 드러난 나의 오류는 빨리 받아들이고 제대로 돌리려고 노력을 하는 수밖에 없다. 하루 24시간 중 많은 시간을 앉아서 편안하게 보내니까 어쩔 수 없다. 편안할수록 나의 몸은 비틀어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래서 오늘은 시를 하나 소개하려고 한다. 




김선우 - 새처럼 자유롭고 싶다고?    

 

멀리 갔다 돌아오는 새들  

   

날개 끝에서 흩어지는 불꽃들     


어딘가 도착하기 위해선

바람을 탄 채 바람에 저항하며

스스로 방향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    

 

그보다 묵직한 장엄은-     


날기 위해선 어딘가에 발 디뎌야 한다는 것

생명은 몸 닿을 곳이 필요하다는 것

‘새처럼’이 아니라 ‘새조차도’라는 것

날개는 발 다음이라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