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를 보고 영화 자체도 감동이지만 장예모 감독에 대한 알 수 없는 기분이 들었다. 어떻게 요즘에, 중국 사회에서 체재에 반하는 영화를 만들 수 있을까.


더불어 이번 아시안게임에서 한중 축구전에서 패배한 중국 선수들에 대해서 중국 해설자들의 해설 역시 한국 축구를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 축구에 대한 비판과 발전이 필요한 부분을 말했다.  


역시 탁구 선수들의 매달을 수여하는 방송에서 금메달을 따고도 얼굴이 굳은 중국 선수들을 안타까워하며 메달의 종류에 상관없이 즐거워하며 행복해하는 한국 선수들을 축복하는 중국 해설자들이었다.


그동안 얄팍하게 알고 있던 중국은 그들의 체재에 반하는 언행, 언동을 하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구속이었다. 그런데 가만 생각해 보면 코로나 때 의사, 기자들은 비록 구속될지언정 제대로 된 정보를 알리려고 했다. 후에 그들의 모습을 볼 수 없었지만 그들은 끊임없이 무서운 바위에 계란인 자신의 몸을 던졌다.


이번 부국제의 판빙빙을 보라. 그렇게 중국정부에 탄압을 받았지만 이주영과 함께 영화를 찍고 레드 카펫을 밟았다. 이런 사람들이 중국을 건강하게 만들 것이다.


이 영화 제목 ‘원 세컨드’는 30분 정도 지나면 왜 제목이 그런지 알게 된다. 이 영화는 많은 영화를 떠올리게 한다. 당연하지만 시네마천국의 알프레도와 토토가 떠오르고, 조지 오웰의 1984 속 윈스턴이 살아가는 세계도 떠오르고 인도영화 천국의 아이들도 떠오른다.


장이머우, 우리에게는 장예모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중국 감독. 첸 카이거와 함께 거장으로 불렸으나 홍콩 반환 이후 중국정부가 원하는 영화를 만들어낸다는 소리를 들었다. 첸 카이거의 패왕별희는 아시아를 넘어 세계를 울렸다. 그러나 언젠가부터 그의 영화는 빛을 잃어갔다.


장이머우 역시 붉은 수수밭에서 세상의 조명을 받았고 영웅에서 재능이 아직 남아 있었다. 하지만 역시 그레이트 윌 같은 영화를 만들기 시작하면서 점점 빛이라는 것이 소멸되는 것 같았다.


그런데 이 영화 ‘원 세컨드’에서 – 과연 지금 시대에, 현재 시대에 장예모 감독은 자신이 하고픈 이야기를 만들었다. 우리나라도 예전보다 방송이 더 열약해졌다.


예전 김혜수 토크쇼에 나훈아가 나왔을 때 김혜수가 웃으며 여러 번 이혼한 것에 대해서 묻고 나훈아가 대답하면서 풍자 섞인 말들이 오고 갔다. 그런데 지금 이런 이야기를 공중파에서 할 수 있느냐 한다면 그러지 못한다. 한석규, 최민식 주연의 영화 넘버 3의 길거리 포스터에서는 한석규가 가운데 손가락을 올리고 있는 장면이 크게 있다. 하지만 요즘 그렇게 했다가는 어떻게 될지 모른다. 더불어 풍자로 정부를 비판하는 예능이나 토크 쇼 방송은 공중파에서 전부 사라졌다.


중국은 예전부터 그랬고 지금도 그렇다. 우리나라 보다 더 정부의 간섭이 심하다. 강력하다. 영화계에도 칼바람이 불었다. 성룡도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아들 때문에 중국 정부에 굴복하고 말았다.


첸 카이거와 함께 장예모 역시 무너졌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영화 원 세컨드를 보면서 장예모라는 감독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했다. 더불어 주연을 맡았던 배우들 역시 생각했다.


주인공 장주성은 딸이 영화에 등장한다는 소리에 감옥에서 탈출하여 영화를 상영하는 마을에 온다. 딸은 영화에 나오는 것이 아니라 영화시작 전 중국뉴스를 보여주는 영상에 등장한다. 그 속에 1초 동안 나온다.


당시의 중국은 마오쩌둥이 집권하고 있었던 1960년대다. 나이를 떠나 모든 인민이 전부 먹기 위해, 살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한다! 운동을 해야 한다! 같은 분위기가 강했다.


아이들도 즐겁게 쌀 가마니는 나른다고 뉴스 속 내레이션이 나온다. 그 1초 안에 주인공 장주성의 14살 딸이 쌀가마니를 울러 매고 웃으며 스쳐간다. 장주성은 그 장면만 몇 십 번을 돌려 본다. 그토록 보고 싶었던 딸의 모습, 그 딸이 웃으며 무거운 쌀가마니를 나르고 있다.


장주성은 말한다. 고작 14살이다. 14살 여자 아이가 즐거워서 저 무거운 쌀가마니를 나르고 있을까. 장주성은 어린아이까지 사회 운동에 동원하는 중국정부를, 이 중국이라는 나라의 체재에 분노 같은 것을 느낀다. 그 짧은 대사는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 편에서 시저가 했던 한 마디만큼 강하게 느껴졌다.


소녀는 어린 동생이 태워버린 필름으로 만든 전등갓 때문에 필름을 훔쳐 그것을 다시 만들려고 하고, 그 필름 속에 장주성 딸의 1초 영상이 있다.


1초는 너무 하찮지만 그 1초가 모여 영화 한 편이 된다. 1초만 나오는 딸의 모습을 보기 위해 목숨을 건 한 남자와 동생을 위해 필름을 훔치는 한 소녀의 이야기가 처절하고도 아름답게 펼쳐진다.


희망이라고는 1도 보이지 않는 중국의 시골 마을 사람들은 모여서 영화 한 편을 보는 게 삶의 낙이다. 그 영화 필름을 운반하는 도중에 딸을 위해 탈주한 남자와 동생을 위해 필름을 훔친 소녀가 만나서 서로를 위해주는 이야기다. 아주 재미있다. 소녀 역의 2000년 생인 류 하오춘은 라이드 온에서 성룡의 딸로 나와서 연기를 했고 성룡에게 존경의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장예모 감독의 영화에 대한 집념과 애정이 보이는 영화 '원 세컨드'였다.


예고편 https://youtu.be/0v5B7ujnfao?si=UWHM4eOSRkt-zZP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