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이란 자고 나면 하루만큼 더 아름다워져,라고 성시경은 노래를 불렀다. 추억이란 그렇다. 추억을 떠올리는 일은 참 따뜻하기도 하지만 고통스럽기도 하다. 추억과 시간은 일맥상통하고 시간은 자꾸 나를 타이른다.
더 아름다워져 https://youtu.be/RAUTM4dIGmY?si=OCIau7qIjRmFkDnC
이건 순전히 나만의 생각인데 등장부터 천재가수가 나타났다, 천재 아티스트의 등장 같은 소리를 들으며 시작을 알렸던 가수들은 그 생명의 끈을 죽 끌고 가지 못했다. 또는 수면 위에서 노는 건 나의 스타일이 아니야 하며 수면 밑으로 들어가서 음악 작업을 하는 천재들도 있다. 어떻든 대중들에게서 조금은 멀어지는 것이다.
김사랑의 등장이 그랬다. 천재가 나타났다고 했다. 말 그대로 천재였다. 작사작곡은 물론이고 기타, 드럼까지 혼자서 다 해치웠다. 가요계에 떠들썩한 바람이 불었다. 하지만 그 타이틀이 김사랑을 날아오를 수 있는 발목을 잡았을지도 모른다. 나는 18살이다의 첫 앨범은 대중과 평단을 동시에 사로잡았다. 김사랑은 자신이 하고 싶은 음악을 3집까지 했다. 실험적인 음악이라는 건 예술가로서는 칭찬받아야 할 부분이지만 대중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음악은 예술이지만 음반은 산업이기 때문이다. https://brunch.co.kr/@drillmasteer/2805
임정희와 휘성의 등장도 그랬다. 천재라는 수식어가 따라붙었는지 모르겠지만 떠들썩했다. 대중가요에 이런 가수가 라며 술렁술렁했다. 하지만 고음으로 노래를 부르는 건 그리 천재 가수에 속하지는 않는다. 노래 잘하는 일반인들도 고음을 내며 노래를 부른다.
요즘을 봐도 그렇다. 아일리시나 올리비아 로드리고, 위캔드나 찰리 푸스는 고음으로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 자신만의 독특한 음색과 좋은 음악으로 빌보드를 꿰차고 있다.
음반을 듣자마자 이건 천재구나라고 생각했던 가수는 휴일이, 조휴일이었다. 블랙스커트, 검정치마의 조휴일. 뭔가 대중가요에 일대 파란을 불러일으키지 않을까 싶었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았다. 검정치마는 아티스트들의 아티스트라고 불렸다. 빅뱅의 지드래곤도 조휴일의 팬일 정도로 노래를 잘 만들고 잘 불렀다. 그러나 조휴일은 수면 위로 올라오지 않고 지하철을 타고 다니며 인디신에서 활동을 죽 했다. 그의 현재 음악을 들어봐도 다르다. 잘 모르겠지만 뭔가 달라. 그리움을 만져주는 기분도 들고 약간 공중에 살짝 떠서 앞으로 공종부유해서 가는 기분도 들고.
검정치마(The Black Skirts) - 'EVERYTHING' https://youtu.be/Aq_gsctWHtQ?si=qkFI962rBEj2WN6G
지금은 천재라는 수식어는 건 좀 무색하다. 좋은 노래 한 곡을 내려면 많은 전문가들이 붙어서 곡을 만들고 그에 맞는 안무를 짜고 스토리를 형성하고 무대 의상을 만들어서 노래를 부른다. 그래서 가능성 있는 가수를 오디션을 통해 발굴해서 열심히 훈련해서 하나의 노래에 전문가 여러 명이 붙는 구조다. 천재라는 말 자체가 이상하다.
아이돌의 노래들 중에도 한 번 들으면 귀에 딱 박히는 노래가 있고 몇 번을 들어도 잘 모르겠네 하는 노래가 있다. 로켓펀치, 잇지의 노래는 자주 듣지만 이상하게 입에 붙지 않는다. 하지만 뉴진스나 르세라핌의 노래는 한 번만 들으면 귀에 박한다.
요즘 가장 핫한 뉴진스의 ETA 같은 경우 작곡은 뉴진스의 아버지라 불리는 250이 만들었다. 뽕의 대가라고 해야 할까. 250의 앨범을 들으면 ‘한’이라고 불리는 기운까지 든다. 외에 해외 작곡가 한 명이 더 있다. 작사는 무려 세 명의 작사가가 붙어서 만들었다. 임성빈은 우리가 잘 아는 빈지노의 본명이다. 가사 중에는 혜진이가 엄청 혼이 났던 그날이라는 가사가 있는데 혜진이는 이름이기도 하지만 헤어지니로도 해석해 되어서 양가적 의미가 있다. https://brunch.co.kr/@drillmasteer/3651
성시경이 초반 윤종신 그 짝에서 노래를 불렀을 때에는 스타리다담 같은 허밍도 많았는데 회사를 옮기고 자신의 자작곡이 들어간 노래를 부르는 이후로는 허밍이 좀 없어진 것 같다. 성시경은 초기 때 불렀을 때처럼 고음과 저음의 높낮이 변동이 유연하게 흐르는데 술을 그렇게 많이 마신다는데도 요즘도 노래를 부를 때 변함없이 그렇게 부른다.
그럼 서태지는 천재라는 소리를 듣는데 추락이 없냐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서태지와 아이들이 처음 나왔을 당시에는 혹평이 쏟아졌다. 지금도 유튜브에 들어가면 그 영상이 많다. 하광훈, 전영록 등 나온 평론가들에게 혹평을 들었다. 이런 이상한 음악은 일단 대중들이 받아들이느냐 같은 의미의 소리를 들으며 출발했다. 거기 평점도 7점인가 그랬다. 서태지와 아이들은 대중이 받아들여서 천재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https://youtu.be/Zr-9NlWLr5g?si=BD8Y3B_YyvdFqVrf
개인적으로도 서태지와 아이들 1집을 들었던 그때가 행복했다. 카세트테이프를 사들고 하루종일 듣고 있으면 날아다녔던 엄마에게 공부 안 한다고 한 소리 듣고, 아버지는 회사에서 퇴근하고 오실 때 통닭 사들고 오시고. 노래를 듣고 있으면 그때가 떠오른다. 건강했던 어머니의 모습도, 살아계셨던 아버지의 모습도, 아무 생각 없이 신나게 노래나 듣고 있던 나도.
음악적으로 천재라는 소리 속에는 노력이 아마도 9할을 차지할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조용필이 그렇다. 예전 조영남이(방송에서 종횡무진할 때) 나와서 가끔 세시봉 친구들을 만나서 이야기를 하는데 전부 살아가는 이야기를 할 뿐인데 조용필만 노래에 관한 이야기를 계속했다고. 이번 조용필의 공연에서도 알 수 있지만 조용필은 노래를 부르다 마이크를 관객에게 넘기는 법이 없다. 목소리가 안 나오는 법도 없다. 무대 위에서의 소명은 노래를 하는 것이라는 모습을 보여주듯 스무 곡을 지치지 않고 끊어지지 않고 마이크 관객에게 넘기는 법 없이 꿋꿋하게 노래를 부른다.
요즘은 노래를 듣지 않거나 영화를 보지 않으면 너무 생각할 것들이 많다. 쟤는 미국사람이다. 쟤는 어딜 봐도 한국 사람인데 미국사람이라고 해버렸다. 그러면 잘못 알았다 미안하다고 하면 되는데 그러기가 싫어서 계속 쟤가 미국사람이라고 하는 먼지 같은 이유를 찾아서 변명에 변명을 하는데 시간을 보낸다. 한국사람이지만 미국사람이라고 한 이유는 이념 때문이다 라며 억지춘향을 하고 있다. 국민들의 경제를 살리는데 역량 좋은 공무원들이 매달려도 모자랄 판국에 한국 사람인 쟤를 미국사람이라고 해버려서 미국사람이라고 해야 하는 것에만 열을 올리는 일에만 몰두하는 모습에 참 기가 막힌다.
그러나 한편으로 생각하면 의식적으로 얼마나 불안하고 초초하면 요즘 연일 그런 소리를 할까 싶다. 권력이 떠나는 순간 자신이 바로 버려질 거라는 두려움이 정신 나간 소리를 하게 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인간이란 다르지만 비슷하구나 하는 생각도 든다. 그러나 이런저런 생각을 하는 것이 요즘은 힘겹다.
생각을 하기 싫을 때는 불 앞에서 노래나 들으며 음식을 조리하면 된다. 아무런 생각을 할 필요가 없다. 조깅을 할 때에도 거의 멍 하게 달리지만 저만치 가고 나면 쓸데없는 상상을 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불 앞에서 조리하고 있으면 아무 생각이 없다. 열심히 조리만 할 뿐이다. 맛은 없을지 몰라도.
중국집 가지튀김이나 엄마표 거지무침은 참 맛있는데 가지전은 맛이 그냥저냥이다. 개인적으로 가지를 가장 맛있게 먹는 방법은 신선한 가지를 생걸로 우걱우걱 씹어 먹는 맛이다. 가지를 생으로 처음 먹었을 때 놀랐다. 이렇게 맛있다니 하며. 그래도 가지전에 맥주 한 잔 홀짝이며 성시경, 김사랑, 검정치마, 뉴진스, 250, 서태지, 조용필의 노래나 들으며 추억이나 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