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즈와 식빵과 과일로 도시락을 싸와서 오늘은 좀 먹었다. 도시락인지 군것질인지 분간은 안 가지만 어떻든 도시락으로 싸와서 먹었다. 도시락이라는 건 한 번은 싸와서, 아니 몇 번은 싸와서 먹을 수 있지만 매일 도시락 싸기는 힘들다.
나는 일 년 동안 내가 먹을 도시락을 싸왔는데 그저 냉장고에 있는 밑반찬을 넣어서 가져올 뿐인데 너어어어어어무 귀찮다. 도시락은 아무리 없어 보이게 싸줘도 도시락을 싸준 사람의 마음이 손가락을 통해 전달되니까 도시락이라는 건 인간 사회에 남은 마지막 인간의 정이 아닐까 싶다. 아무리 AI가 발달을 해도 로봇이나 안드로이드가 도시락을 먹지는 못할 테니까.
3월 2일은 전국 엄마들의 자유가 이뤄지는 날이다. 아이들이 개학을 해서 학교에서 급식을 먹기 때문이다. 여름 방학이 올 때까지 이제 자유의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고 라디오에서 내내 사연이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급식이 나오기 때문에 도시락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어제 일본영화 ‘오늘도 괴롭히는 도시락’을 봤다. 도시락으로 인간관계를 회복하는, 일본영화에서 자주 언급하는 내용의 이야기다. 일본은 도시락, 벤또 이야기가 끊이질 않는다. 아마도 아직 아이들에게 도시락을 싸주는 일본 가정이 많아서 그럴지도 모르겠다.
영화는 도시락을 통해 삶을 이어가려는 두 집의 이야기를 보여준다. 도쿄지만 도쿄가 아닌 곳, 히치죠지마라고 하는 인구가 7500명 정도 사는 작은 섬마을이 배경이다. 주인공 시노하라 료코가 이 마을로 오게 된 이유는 남편을 잃고 어린 두 딸을 키우다 보니 일을 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어린 두 딸을 늘 집에 두고 일을 나가던 어느 날 큰 딸이 울면서 엄마가 없어지면 작은 딸이 엄마가 보고 싶어서 계속 운다는 말에 가난하게 살더라도 같이 있고 싶어서 작은 섬마을로 오게 되었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작은 딸이 여고생이 되었는데 어릴 때 엄마와 결혼을 하겠다던 어린 딸이 초반항기를 겪으면서 엄마와 말도 하지 않으려고 한다. 엄마에게 할 말은 거실에서 문자로 해버린다. 그런 딸이 미워서 캐릭터 도시락으로 괴롭히려는 엄마. 도시락 뚜껑을 여는 순간 반 아이들이 몰려 들어서 이런저런 의견을 내놓는다. 그러기를 3년 동안이나 한다.
또 한 집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건 패스. 이 영화의 필름 같은 색감이 너무 마음에 든다. 도시락에 들어간 캐릭터가 살아 움직이는 그래픽도 귀엽고 재미있다. 영화 중간에 영화가 끝난 줄 알고 화면에 이름이 줄줄 올라가는데 시노하라 료코가 아직 안 끝났어! 라며 소리를 치니까 이름들이 슬슬 내려가는 것도 재미있는 포인트다.
소소하고 평화롭고 반항하는 십 대와 전쟁 같은 하루하루를 보내다가 그만 일이 터지고 만다. 잔잔한 이야기에 시노하라 료코와 요시네 쿄코의 연기를 보는 것도 재미있다. 도시락을 매일 싸는 건 미치는 일이다. 그런데 도시락을 매일 싸면서 도시락을 먹을 그 사람을 생각하며 행복하다면 도시락을 싸주는 이를 얼마나 사랑하는 것일까. 그런 마음이 도시락을 통해 먹는 사람에게 전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