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에는 블레이드 러너를 봐야 한다. 왜냐하면 2019년이 블레이너 러너의 배경이기 때문이다. 백 투 더 퓨처의 미래는 2015년으로 지났고 미래소년 코난의 미래 역시 2008년으로 지났다. 데커드가 지구에 몰래 들어온 레플리컨트를 잡는 블레이드 러너는 82년에 나온 2019년이 배경인 영화다

 

블레이드 러너는 당시 망한 작품이었다. 영화를 보고 극장을 나오는 사람들도, 평론가들도 모두 영화를 비난하고 거지 같은 영화라 논했다. 특히 같은 해 개봉했던 이티에 밀려 블레이드 러너는 금세 극장가에서 사라지고 만다.

 

그랬던 블레이드 러너가 어떻게 현재 이렇게 모두가 칭송받는 작품이 되었을까. 80년대 미국은 그야말로 흥이 오를 대로 오른 분위기가 가득했다. 레이먼드 카버의 소설에도 잘 나오지만 70년대 미국의 중산층이 서서히 기반을 잡아가고 있었고 그 흥이 80년대까지 이어진다. 80년대의 미국인들에게 30년 후의 미래가 이렇게 암울한 디스토피아적인 세계관이라는 것은 납득이 되지 않았다.

 

그 후로 블레이드 러너는 그대로 사라지고 만다. 하지만 비디오가 생겨나고 비디오테이프로 보던 일반인들이 알음알음, 이 영화는 정말 대단하다, 수작이다, 굉장한 영화다, 단지 영화일 뿐인데 엄청난 것들이 담겨있다,며 점점 퍼지기 시작하여 결국에는 일반인들이 넘볼 수 없었던 평론가들이 오류였다는, 평론가들의 말만 철석같이 믿었던 시류를 와그작 깨버리는 계기가 된다. 그것은 정말 통쾌한 일이었다. 지식과 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하는 말이 잘못되었다고 지적을 한다는 것, 그것에서 오는 쾌감은 대단한 것이었다.

 

리들리 스콧은 블레이드 러너의 장면 장면에 은유를 전부 심어 놨다. 이 영화는 모든 컷이 하나의 ‘상징’이다. 그래서 블레이드 러너를 이야기하려면 몇 시간으로도, 아니 하루 종일 이야기를 해도 모자랄 것 같다. 이 영화를 보면 이후 얼마나 많은 디스토피아를 표방하는 미래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가 이 영화를 따라 했는지 알 수 있다. 아키라, 공각기동대, 토탈리콜, 저지 드레드 등 수많은 영화가 블레이드 러너를 다시 보면 훅훅 지나간다. 위에서 잠깐 언급했지만 내용은 2019년에는 핵 전쟁으로 암울한 지구가 된다.

 

인조인간, 요즘 말로 에이아이, 안드로이드 즉 레플리컨트는 인간과 똑같이 만들어졌다. 사고, 감정, 기억, 그리고 쾌락 등 이 모두가 인간과 같게 만들어졌지만 레플리컨트의 수명은 4년이다. 수명이 너무 짧다는 것을 안 레플리컨트들이 지구 밖 오프 월드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6명이 지구로 잠입하는데 그중 2명의 레플리컨트는 죽고 4명이 지구로 들어오게 되고 그 4명을 블레이드 러너인 ‘데커드’ 해리슨 포드가 이 복제인간을 잡으러 다닌다는 내용이다.

 

보통 영화를 보고 평론가들이 어려운 말로 구구절절하게 설명을 하면 대부분 웃기고 있네,라고 치부할 순 있는데 이 영화만큼은 철학적 사유를 갖다 붙여도 괜찮을 영화다. 요컨대 데커드가 레플리컨트를 알아내기 위해 질문을 하는데 아주 철학적인 물음을 한다. 연극을 하는데 만찬 장면에서 생굴을 먹고 후에 삶은 개고기를 먹는다면 당신은 어떻게 할 것인가? 같은 질문을 한다. 이런 질문에 대답은 과연 무엇일까.

 

영화는 이런 질문을 영상과 장면으로 계속 보여준다. ‘죽음’보다는 ‘제거’, ‘고친다’보다는 ‘수리’로 표명되는 레플리컨트에게 총구를 들이대는 건 결국 인간인 데커드다. 아주 젊은 시절의 대닐 한나는 복제인간인 프리스로 나온다. 데커드와 사투 끝에 데커드의 총에 맞은 프리스는 몸을 물 밖으로 낚여진 숭어처럼 바들바들 떨며 고통스러워한다. 다시 보는 블레이드 러너에서는 인조인간이 어째서 총을 맞고 이렇게 고통스러워할까. 그리고 고통스러워하는 프리스에게 다시 총을 쏘는 데커드.

 

영화는 이런 상징이 가득하다. 끝도 보이지 않는 마천루 속에 살고 있는 인간과 그 속에 속하지 못한 하층의 인간은 서로에게 공격을 하며 생존을 위해 서로 죽인다. 하지만 로이를 비롯한 레플리컨트는 자신의 친구가 죽자 그에 흥분하며 인간에게 대든다. 이 영화에서 소름 끼치게 아름다운 것은 인간보다 더 인간다운 레플리컨트라는 것이다.

 

데커드는 인간이지만 냉정하고 차갑다. 정말 데커드는 인간일까(좀 더 긴 감독판을 보면 알 수 있다). 로이는 비가 오는 가운데 데커드를 구해주고 “나는 네가 상상도 못할 것들을 봤어, 오리온 전투에도 참가했었고, 탄호이저 기지에서 빛으로 물든 바다도 보았지. 이제 그 모든 순간들이 시간 속에서 사라지겠지, 빗속의 내 눈물처럼,, 이제 죽을 시간이야”라는 말을 남기고 죽음으로 간다.

 

로이의 이 대사 몇 줄을 가지고 긴 소설 한 권을 써내도 좋을 만큼 대사는 깊고 아름답고 처절하며 눈물이 날 만큼 아름답다. 영화는 인간에게 질문을 던진다. 인간은 인간에게 생존을 위해서만 칼을 겨누지 않는다,라며. 복제된 인조인간이 어떤 면에서 인간을 넘어서는 인간다움을 지니고 있다고 말한다.

 

주입된 기억으로 인한 사진들, 꿈에 나타나는 유니콘, 불편함, 혼란을 잔뜩 짊어지고 집으로 온 데커드는 사랑하게 된 레이첼이 죽은 줄 알고 가슴이 뛴다. 하지만 잠들어 있는 레이첼. 당신을 사랑해요, 당신을 믿어요. 그리고 두 사람은 행복하지만 불행한 여행을 떠난다. 이제 두 사람에게 남은 것은 살아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데커드와 레이첼의 투샷은 참 마음에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