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히 그러려고 그런 건 아니지만 가끔 카페나 맥주를 마시러 가서는 카세트 플레이어로 음악을 듣고 있으면 자주 보는 주인이나 아르바이트 학생이 신기해하며 이것저것 질문을 한다. 더불어 그 안에 있는 음악도 묻게 되고 그러다 보면 나는 주절주절 음악이 어떻니 하면서 힘이 빠진 괄약근처럼 줄줄 해버리고 만다.

 

두세 개 정도의 카세트테이프를 놓고 번갈아가 가면서 음악을 듣는데 노래가 끝이 나면 플레이어를 탁 열어서 틱 빼서 착 다시 넣고 툭 버튼을 눌러 음악을 듣는 행위가 재미있는 모양이다.

 

휴대전화로 음악을 듣는 것에 비해 여간 불편한 게 아니나 카세트 테이프가 많고 카세트플레이어가 있으니까 듣는 것뿐이다. 음악이라는 게 음식처럼 추억을 소환하는 연쇄반응을 하기에 카세트테이프로 음악을 들으면 이 음악을 열심히 들었던 그때의 랜드스케이프가 눈앞에 펼쳐지기도 한다.

 

사람들의 반응을 보면 유행이라는 게 정말 돌고 도는 것인가를 실감한다. 오늘 이전에는 누구도 거들떠보지 않았던 것들이 오늘 이후로는 신기해하며 관심을 가진다. 나도 어쩐지 어딘가에서는 또 여봐란 듯이 슬며시 꺼내서 탁 탁 거리며 불편하게 음악을 듣는다.

 

일명 워커맨이 대단히 유행일 때가 있었다. 소니의 워커맨 세계를 위협했던 아이와 워커맨이 있었다. 아이와 워커맨은 몹시 심플하며 리모컨이 달려있고 외향이 정말 예뻐서 누구나 빠져 들만하게 만들었다. 음질도 좋아서 마구 앨범을 구입하고 싶은 욕망이 분출되기도 했다. 이런 세계에 도전장을 내던진 것이 삼성의 마이마이였다. 하지만 그 도전이 쉽게 먹혀들지는 않았다.

 

하루키의 에세이 중에도 워커맨에 대한 글이 있다. ‘오디오 가게에서 산 두 번째 신형 워커맨은 첫 번째에 비해 훨씬 작고, 무게도 절반에 가깝고, 오토리버스 장치가 달려 있는데다 충전도 할 수 있다. 값도 천 번째 것보다 싸다. 한 기계가 사 년 사이에 이렇게나 진보하다니(하루키는 첫 번째 워커맨이 4년 만에 아작이 난 것에 대해서 앞서 투덜거려놨다), 감개무량이라는 좀 과장스럽지만 정말 감탄스럽다. 적어도 인간이 진보하는 속도에 비하면, 그 빠른 속도에 그저 눈이 휘둥그레질 뿐이다’라고 했다.

 

최근의 과학기술이나 IT 기술을 보면 4년이 뭔가, 1년 만에 항상 새로운 기술이 쏟아지고 그것에 대한 발표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발전하는 과학으로 아직까지 날씨를 잡지 못한다고 생각하니 돌고 도는 유행처럼 아주 예전으로 다시 돌아간 것 같다. 70년대 초 대한민국의 하늘은 지금처럼 먼지가 가득하여 일하고 집으로 들어온 아버지들의 코밑이 새카맣게 되어서 얼굴을 잘 씻어야 한다고 했던데.

 

유행이 지난 워커맨이 신기한 것처럼 요즘 하늘도 신기한 요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