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가 시작되고 끝나갈 무렵 레이디 버드는 성장하여 크리스틴이 된다. 그리고 한 시간
반 동안 우리는 크리스틴이 엄마에게 전화를 할 때를 기점으로 영화를 보기 전과 영화를 보고 난 후, 같이 성장해 있음을 느끼게
된다
.
레이디 버드는 리얼리티가 살아있는 제대로 된 성장통의 영화다. 특별하지 않고 하천의 개울물이 흘러가듯
흐르지만 그 속에서 방황과 고통을 받고 상처를 주며 우리 모두는 그렇게 성장해왔기 때문에 레이디 버드를 보고 있으면 정말 나를 보는 듯한 착각이
드는, 그래서 레이디 버드가 크리스틴으로 성장했을 때 마음 저 깊은 곳에서 묵직한 무엇이 울컥 올라온다
.
레이디 버드의 장면
장면 하나하나가 모두 반짝이고 보석 같은 것으로 꽉꽉 채워져 있다. 청춘일 때 느꼈던 처절한 상처가, 곪을 대로 곪고 곯아서 터지기 일보
직전까지 내모는 자신 속의 자신을 어쩌지 못했던 그때의 상처가 레이디 버드를 보며 떠오른다
.
죽기보다 더 싫은
이 지긋지긋한 세크라맨토를 떠나고 싶은 크리스틴은 더 싫은 가톨릭 고등학교를 일 년이나 다녀야했다. 크리스틴에게 최고의 적은 엄마이다.
시시때때로 사사건건 따지고 들고 괴롭히는 사람은 엄마라고 생각한다. 자존감이 낮은 크리스틴은 이름을 레이디 버드로 바꾸고 그런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지만 그 일연의 일들이 시시하기만 하다. 특별함이라고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크리스틴의 모습에서 그녀의 세계는 엄마,
남자친구, 그리고 절친에서 행복함을 느끼면 되는 것이지만 잘 되지 않는다
.
아버지를 창피하게
생각하여 학교 몇 블록 전에서 내려달라는 크리스틴을 보면서 아버지는 내색하지 않고 보듬어 주는 모습에서 영화의 태도가 굉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항에서 운전을 하면서 웃으며 우는 엄마의 모습에서 그 태도는 더 확실하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뉴욕으로 온 레이디
버드가 크리스틴이 되었을 때 운전하는 크리스틴의 모습에서 성장한 모습이 스크린으로 뿜어져 나오면서 이제 크리스틴은 뉴욕에서 더욱 성장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크리스틴이라는 이름이 참 예뻤다고 엄마에게 전화를 하며 말하는 크리스틴의 모습에서 우리는 우리의
청춘을 투영시킬 수 있었다. 크리스틴의 그 아름다움이 너무나 찬란하여 갈등이라는 것은 우리가 일생을 살아가는데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말하는 것
같았다. 크리스틴이라는 이름은 버려야 할 자신이 아니라 자신에게 있어서, 부모가 지어준 크리스틴이라는 이름은 자신의 일부, 아니 전부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