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작가 폴 오스터의 자전적 작품에 종종 '아름답고 똑똑한 아내 시리'가 등장한다. 바로 소설비평에세이논픽션 등 다양한 장르를 종횡으로 가로지르는 미국 작가 시리 허스트베트다. 그녀 역시 걸출한 작가지만 자신보다 훨씬 더 유명하고 영향력이 있는 작가 남편(폴 오스터)과 의외로 오랜 기간 충실하고 행복한 결혼생활을 하고 있다.


 

그녀는 시와 소설, 미술 비평뿐 아니라 현상학, 정신분석학, 신경과학, 인지과학, 심리학, 철학 등 여러 분야에서 학문적 성과와 문학적 결실을 맺은, 무서우리만큼 해박하고 지적인 이력에도 불구하고 상처받기 쉬운 여린 마음과 잘 벼린 칼날처럼 위태로운 신경을 지닌 여자다.

 

그녀의 글쓰기는 장르와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그녀의 자아를 새긴다. 아마도 그 자아가 얼마나 매혹적이고 드라마틱한지, 그리하여 얼마나 기가 막힌 이야깃거리가 되는지, 스스로 너무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리라. 시리 허스트베트의 소설에는 어김없이, 바로 이 매혹적인 여자의 자아가 박살 난 거울의 파편처럼 날카롭게 박혀 반짝인다.



픽션이 자아의 현실을 수많은 파편으로 해체하고 재현하고 구성하는 과정에서, 이 흥미진진한 여자의 자아는 모호하면서도 짙은 안개처럼 손에 잡히지 않으나 압도적으로 편재한다. 자아의 재현에 대한 이 집요하고 강박적인 관심은 나르시시즘보다는 인간 정체성의 본질에 대한 인문학적/심리학적/신경정신학적 탐구가 자신이 가장 잘 아는 소재/주제를 통해 발현되는 기제다.

 

허스트베트는 소설가이기 이전에 학자이고, 감정과 지성이 융합되어야 파악하는 형용 불가의 현실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를 주창한다. 자아의 핵심인 기억과 정체성이야말로 예술과 철학과 문학과 의학과 과학이 손을 잡아야만 파악할 수 있는 융합 지식의 영역이라 본다.


 

허스트베트의 소설 쓰기는 이 융합 지식, 감정과 지성을 통합한 현실의 인지를 실험하는 장이고 허구적 상상력과 공감능력을 당당히 인지능력의 반열에 올려놓는 실천이며, 여기에서 사변과 정서와 감각이 어우러진 오로지 그녀만의 소설 세계가 탄생한다. 그리고 그녀가 1992년에 쓴 첫 소 당신을 믿고 추락하던 밤은 이러한 탐구의 원점으로서 훗날 이어진 화려한 이야기들의 근원을 되짚어 가늠하게 해준다.

 

어린 시절부터 겪었던 편두통, 그리고 발작적인 읽기와 쓰기, 세상을 떠난 아버지를 위한 추도사 중에 발생한 쇼크 이후, 자신의 정신적, 육체적 고통과 의식의 근원을 스스로 추적하는 과정은 그녀를 다양한 전문 분야로 이끌었다. 이는 학자이자 작가로서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소설 [당신을 믿고 추락하던 밤]은 영문학 대학원에 다니며, 시를 쓰고, 강박적으로 읽기와 쓰기를 하며 자신의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온갖 궂은일을 다 하면서 늘 두통에 시달리던 그녀의 젊은 시절을 떠올린다.


 

여러 분야의 학문적 추구, 픽션으로 타인을 들여다보고 싶은 욕구는 <사각형의 신비>, <살며 생각하며 바라보다>, <에로스를 위한 변호>, <이곳이 아닌 저곳>, <여자들을 바라보고 있는 남자들을 바라보고 있는 여자>, <아트 섹스 앤 마인드>등의 에세이로 표현되었다.

아트, 섹스, 마인드, 그리고 이들을 포괄적으로 표현하는 문학이 곧 그녀의 주된 관심사였다. 정신과 신체, 뇌와 감정, 고통과 만족, 이 모든 것의 경계가 아주 가는 선으로 구분되어 있고 그것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학문적 접근을 시도했다고 할 수 있다.


그녀는 인간의 정체를 이해하는 것은 단 한 분야의 전문적인 에서는 불가능함을 역설한다. 세분화된 영역의 전문가 문화 속에서, 더욱이 전문화된 남성 사회에서 공유된 지식의 부재'큰 슬픔을 느낀다'는 그녀는 자신을 의학의 섬, 인지과학의 섬, 문학의 섬 등 행복한 소수들의 섬을 여행하는 여행자라 불렀다. 이는 현대가 잃어버린 르네상스시대의 인문주의자라 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소설적 상상력의 근간인 공감의 능력, 르네상스적 공감이 필요하고 특히나 현대에 많은 역할을 품고 사는 '여성'에게서 그것을 발견할 수 있다고 역설한다.

 

그녀는 행복한 소수자들의 섬을 여행하는 여행자로서 자신이 보고 느끼고 사유하는 것이 과연 확실한 것인지, 타인도 자신이 보는 것과 동일하게 보고 판단하는 것인지에 대한 끊임없는 의문을 제기한다. 이는 외부 세계에 대한 인식의 불가능성이 아니라 자신을 비롯하여 인간이 단일하고 고정된 형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회의적 인식에 기반을 두며 인간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전제로 이해하고 있다.

자아, 역시 견고하게 존재해서 바깥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고 바깥을 바라보고 상처를 입고 다치는 자아, 언제나 유동적이고 가변적인 것이며, 기억 역시 상상력으로 재구성될 수 있는 픽션의 영역이라는 것, 장르와 경계 구분에서 벗어나고 마치 상호주관성이 작용하는 모호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듯한 애매성이 어쩌면 시리 허스트베트가 기존의 문학 산업에서 마케팅 되지 않는 요소이면서 동시에 왜 시리 허스트베트가 왜 중요한 작가인지를 이해하는 주요한 열쇠라 할 수 있다.

 

그녀는 성의 경계 역시 모방과 상상, 동일시를 통해서 그 분리 지점이 사라지고 자기 안의 다수성을 느낌으로써 자유를 획득한다고 보고 있다. 모두에게는 남자가 있고 여자가 동시에 있다는 것이다. 한 인간 안에 수많은 정체성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이 인간성의 일부라는 것. 모든 사람이 그만큼 복잡하고 특별하고 다양해서 모든 사람이 자기 자신의 특별함으로만 세상을 볼 수 있다는 것, 그것이 시리 허스트베트의 모호함이라 할 수 있다.

 


확고한 자아를 기반으로 자기 경험이 만들어낸 이야기를 단단하게 돌을 쌓듯 글을 쓰는 폴 오스터의 작업에 비추어 자신은 강물로 표현한다. 의문을 갖지 않는 안전한 자아에서 나오는 글과는 다르게 시리 허스트베트는 끓임 없이 경계를 넘나들며 유동적인 대상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스스로가 물이 되고 그 물로 창작을 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인간만이 거주하는 가상의 공간, 기억과 꿈, 상상이 현실이 되는 재현의 장소이자 모방과 동일시가 일어나는 현실적 시공간으로써 언어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곧 읽기와 쓰기가 젠더의 견고한 구분을 이음새 없이 봉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경계를 허물고 단절을 봉합하는 것이 언어라면 성이나 계급을 구분하고 질서와 경계를 만들고 고착화시키는 것 역시 언어이기 때문이다. 그로부터 시리 허스트베트는 미술이라는 새로운 지평에 주목한다.


 

기억과 꿈, 상상이 현실이 되는 재현의 장소로서의 언어, 언어의 경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또 다른 표현의 양식을 미술에서 발견한다. 그녀는 이를 가상 세계로의 여행이라 부른다. 이 여행은 우리가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표현의 양식을 끝없이 찾아 헤매는 여정이다.

시리 허스트베트는 끝없이 경계를 넘어, 사물의 질서를 교란하며 '사이를 유영하는' 여자라 할 수 있다.

형체 없는 유령에 가깝다는 그 느낌, 애매성이야말로 내가 가장 원하는 것이고, 내가 책에 집어넣고 싶은 것이며, 독자가 느꼈으면 하고 바라는 것이다.
<살다, 생각하다, 바라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