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이라는 말이 없는 나라
한창훈 지음, 한단하 그림 / 한겨레출판 / 2022년 3월
평점 :

사랑하는 딸과
아들에게 보내는 독서편지
0.
오늘 소개해 줄 책은 한창훈
님의 <행복이라는 말이 없는 나라>라는 책이란다. 몇 년 전에 사 두었다가 이제서야 읽었단다. 이 책은 얇고 우화풍
소설이라서 금방 읽을 수 있겠다고 생각해서, 자투리로 읽을 시간이 생기면 읽으려고 사 두고도 한참 읽지
않은 것이야. 아무튼, 아빠가 자투리 시간이 생겨서 이 책을
후다닥 읽으면 좋겠다 생각해서 읽은 것이란다.
지은이 한창훈 님의 작품은 처음
읽는 것인데, 지은이 소개를 보니 <홍합>이라는 유명한 작품이 있더구나. 이 책을 이 분이 쓴 거구나. 지은이 한창훈 님께서 <행복이라는 말이 없는 나라>를 쓰게 된 이유를 작가의 말에서 이야기를 해주었는데, 작가가 20대일 때 우연히 본 신문칼럼 때문이라고 하는구나. 아빠도 좋아하는 <녹색평론> 김종철 님의
<단 하나의 법조문만 있는 나라>라는 글이라고 하더구나. 그 글이 좋아서 가위로 오려서 주머니에 넣고 다니면서 계속 읽으셨대…
남대서양 화산섬 트리스탄 다
쿠냐 섬의 이야기였대. 그 글을 읽은 지 20여 년이 지나고
우화풍 소설을 의뢰 받은 지은이는 그 글이 떠올라서 소설로 쓰신 것이 <그 나라로 간 사람들>이라는 단편이라고 하는구나. 아빠가 읽은 <행복이라는 말이 없는 나라>는 연작 소설집로 단편 소설이 5개가 실려있긴 한데, 하나의 장편 소설로 봐도 좋을 것 같았어. 연작 소설이라고 한 것처럼 다섯 편의 단편 소설이 서로 연결되어 있거든…
1.
배를 타고 가다가 풍랑을 맞아
우연히 섬에 정착한 사람들.. 그곳에서 작은 사회를 이루며 살아간단다.
여러 가지 이유로 그 섬에 사람들이 더 모이고, 그들은 법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회의를 통해 단 하나의 법을 만들었단다. ‘어느 누구도 다른 어느
누구보다 높지 않다’가 그 법이란다. 이 법대로 그 섬 사람들은
서로 도우며 살아가다 보니 모두나 평등하게 행복한 삶을 살아가게 되었어. 늘 행복하다 보니 행복이 일상이
되었고, 다른 세상 사람들처럼 행복하겠다는 말을 할 필요가 없었지. 그래서
행복이라는 말을 모르고, 책 제목처럼 <행복이라는 말이
없는 나라>가 되었어.
…
그런 섬이 화산 폭발 우려가
있어서 대피를 해야 한다고 했어. 그래서 섬 사람들은 섬을 떠나 본토로 당분간 이주하게 되었지. 섬에서 살던 방식과 본토에서 살던 방식이 다르긴 했지만 그들은 자신들의 원칙을 지키면서 때론 본토 사람들의
방식을 따르면서 살아갔단다. 그러면서 일어나는 이런저런 에피소드들을 이야기해준단다.
…
우화풍 소설을 의도적으로 쓴
것이라 그런지 등장인물들이 너무 착한 사람들뿐인 것 같구나. 단 하나의 법 조항으로 사는 섬이 실제
있다고 하고 그를 모티브로 쓰긴 했지만, 사람 사는 사회에 갈등은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드는구나. 이 또한 아빠가 이 속세에서 살다 보니 생긴 편견일 수도 있지만 말이야. 이
책은 우화풍이라서 교육적인 면도 있고 하지만, 약간은 뻔한 우화 소설이라는 생각도 들었단다. 그래서 적극 추천까지는 안 할 것 같아.
…
오늘은 책도 얇으니, 편지도 짧게 마칠게.
PS,
책의 첫 문장: 어제 완성한 망루가 오늘 아침 풍랑에 넘어졌습니다.
책의 끝 문장: 웃음소리가 바깥까지 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