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verything Store
Brad Stone 지음 / HACHETTE BOOK GROUP USA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여러 가지 일로 바쁠 때는 작은 것 때문에 큰 것을 잃을 수 있습니다. 80세가 되어 인생을 뒤돌아볼 때 1994년도 1년 중 하필 왜 보너스 받는 시기를 앞두고 그 순간에 사직서를 냈을까 하고 후회하지는 않을 겁니다. 나중에 나이가 들어 중요하게 생각할 일은 그런 것들이 아니지요." -후회 최소화 프레임워크 (Regret Minimization Framework) by 제프 베조스



2004년에 영국에서 아마존을 통해 처음으로 책을 구매했다. 내가 살던 스튜디오 플랫의 1층은 서울 광화문에 있는 교보문고 크기의 미국 미시간 주 앤아버에 본사를 둔 2011년 파산한 보더스 서점이 위치해 있었다. 미국에서 2005년에는 반스 & 노블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서점 체인이였다. (출처: 위키피디아) 아마존을 알기 전에는 새로나온 책은 가격이 비싸기에 대부분 학교 근처에 위치한 중고서점을 이용했다. 그 시절 중고서점에서의 보물찾기 만큼 재미있는 것도 없었다. 

아마존에서 판매하는 다양한 상품들이 나를 놀라게했고 가끔씩 중고 책 대신 새로나온 책을 사고 싶었다. 물론 똑같은 책이지만 아마존에서의 가격은 보더스와 비교불가할 정도로 저렴했고 주문 및 배달 또한 신뢰를 하우스 있었다. 그 당시에는 신용카드로 온라인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것이 위험한다고 생각되었지만 얼리어답터의 피가 흐르는 나에게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


브래드 스톤의 "The Everything Store (아마존, 세상의 모든것을 팝니다.)" 아마존의 창업자이자 CEO인 제프 베조스의 일대기에 관한 책이다. 어린시절 가난했고 어머니와 양아버지 밑에서 자랐다

아마존과 내가 함께한 역사를 다시 돌아볼 수 있게 만든 이 책의 전반부는 어떻게 아마존의 다양한 서비스들이 탄생했는가에 대한 스토리와 무엇이 그들에게 영감을 주고 어떻게 고객 경험을 우선순위로 생각한 베조스의 고집이 아마존의 중요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쳤는지 보여준다. 

인터넷 리테일에 대한 나의 기대는 아마존에 의해서 만들어졌다. 물론 초기의 아마존은 지금과는 달리 약자로서 고객 경험이라는 이름으로 끊임없이 직원들은 지칠 줄 모르고 일을 했을 것이다. 아마존은 직원들이 일하기에 결코 좋은 회사는 아니었을 것이고 일과 삶의 균형은 불가능 했을 것이고 지금도 불가능하다. 제프 베조스가 만든 문화로 인해 아마존이 이렇게 엄청난 하드워킹을 요구하는 회사가 되었다. "베조스는 직원들이 버스가 다니는 시간에 퇴근하는 것을 바라지 않았어요. 그는 직원들이 버스 걱정으로 빨리 퇴근하고 싶어 하지 않도록 다들 차를 몰고 다니기를 바랐죠."

아마존의 저가전략은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그것이 바로 오늘날 소비자들의 원하는 것이라면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물론 이것이 기업들을 효율적이고 비용이 민감하게 강요하지만 결과적으로 노동비를 줄일수 있는 제3세계로 아웃소싱하게 만들었다. 


이 책을 읽는 모든 분에게 비즈니스를 시작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준다. 만약 이 책의 내용으로 부족함을 느낀다면  부록에 "Jeff's Reading List"를 통해 부족한 부분을 채우라고 있다.  (The Remains of the Day, The Innovator's Dilemma and The Black Swan)들은 초기 아마존의 문화와 전략의 근간이 된다. 결론적으로 아마존은 분명 성공했고 제프 베조스와 아마존의 미래에 대해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Hard Thing about Hard Things: Building a Business When There Are No Easy Answers (Hardcover) - 『하드씽 - 경영의 난제를 푸는 최선의 한 수』원서
Ben Horowitz / HarperBusiness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벤 호로위츠의 “Hard Thing about Hard Things (하드씽)”CEO  CEO 위한 책이다. CEO 되기를 원하고 CEO 하는 일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반드시  책을 읽을 것을 추천하다나도 같은 고민을 했고 이 책을 통해 CEO가 겪는 시련과 고뇌에 대한 현실적인 정보를 많이 얻었다.

 

"At the top, nobody is there to tell you what to do. It’s easy to look at some leaders and wonder how they knew what to do to become so successful."이란 문장을 통해 CEO 화려한 모습 속에 숨겨진 고뇌를 느낄 수 있다.

 


"Great CEOs face the pain. They deal with the sleepless nights, the cold sweats, and what my friend the great Alfred Chuang (legendary cofounder and CEO of BEA Systems) calls “the torture.” Whenever I meet a successful CEO, I ask them how they did it. Mediocre CEOs point to their brilliant strategic moves or their intuitive business sense or a variety of other self-congratulatory explanations. The great CEOs tend to be remarkably consistent in their answers. They all say, “I didn’t quit.”  부분은 내가  책에서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인용문으로 모든 기업가 (entrepreneur) 겪는 엄청난 도전들에 대해서 이야기한다누군가는 일과 삶의 균형 (Work and Life Balance) 대해서 외치지만 그들에게는 "Work Hard, Play Hard"이다물론대부분은 Play 파트를 잊고 산다개인적으로 일과 삶에 균형에 대해서는 부정한다오히려 동일한 시간과 공간이란 경쟁의 관점에서 보면 일과 삶의 선택 (Work and Life Choice) 대해서 강조할 뿐이다

 


"As a company grows, communication becomes its biggest challenge. If the employees fundamentally trust the CEO, then communication will be vastly more efficient than if they don’t."  책의 저자인  호로위츠는 또한 어떻게 직원특히 경영진을 고용하는지에 대한 노하우를 전한다.


"I’d learned the hard way that when hiring executives, one should follow Colin Powell’s instructions and hire for strength rather than lack of weakness."


"When it comes to CEO succession, internal candidates dramatically outperform external candidates . The core reason is knowledge. Knowledge of technology, prior decisions, culture, personnel, and more tends to be far more difficult to acquire than the skills required managing a larger organization."

 


또한 저자는 기업의 방향을 정하는 CEO (founding CEO라고 불리는 기업이 성장함에 따라 운영할  있는CEO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부분 모두 뛰어난 CEO 필요성에 대해서 역설한다.

 

"Some employees make products, some make sales; the CEO makes decisions." 뛰어난 CEO 의사결정은테이터 기반으로 이루어진다소비자가 생각하는 것에 대한 데이터직원이 생각하는 곳에 대한 데이터와 매트릭스에 관한 데이터가 그것이다. CEO 끊임없이 데이터를 모으는 기계가 되어야 된다

 

"Great CEOs build exceptional strategies for gathering the required information continuously. They embed their quest for intelligence into all of their daily actions from staff meetings to customer meetings to one-on-ones. Winning strategies are built on comprehensive knowledge gathered in every interaction the CEO has with an employee, a customer, a partner, or an investor."


또한 저자 강조한 흥미로운 사실  하나는 “When a company starts to lose its major battles, the truth often becomes the first casualty.” 당신은 진실을 찾기 위해 항상 경계해야 하고 그것을 찾기 위한 근간이 필요하다그렇게 하는 이유는 "humans, particularly those who build things, only listen to leading indicators of good news." 

 

 

내가  책을 통해 가슴깊이 느낀 점은 인생은 종착지가 아닌  여정이다그렇기에 여정이란 것을 받아들여야만 한다. "Life is struggle.” I believe that within that quote lies the most important lesson in entrepreneurship: Embrace the struggle." 사업의 위기와 함께 생존을 위해서 고분분투하는 저자의 이야기에 어느순간 동화되어 숨이 차오른다 6,000만 달러로 시작해 8년이라는 시간 동안 24배의 규모로 키우고 스타드업 성공의 상징이 된 벤 호로위츠는 20여 년간 넷스케이프리우드 클라우드옵스웨어 등을 통해 겪은 시련과 위기는 경영자뿐만 아니라 인간으로서 가치있는 경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ade to Stick (Paperback) - 『Stick 스틱!』 원서
댄 히스 외 지음 / Random House Inc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 세브웨이 광고가 기억이 나는지 모르겠다? 그 광고의 주인공은 서브웨이의 채식주의자용 메뉴를 먹고 200 파운드 (약91 킬로그램)를 줄였다. "손안의 새 한 마리가 숲 속의 두 마리 보다 낫다."라는 속담은 어떤가? 아니면 "오기 (Sour Grapes)"라는 말을 들으면 무슨 생각이 먼저 드는가? 케네디 대통령의 인간을 달에 보낸다는 비전은 어떠한가?


우리는 왜 Kentucky Fried Rat,  불법 장기매매 등의 도시괴담을 너무나 자연스럽고 생생하게 기억할까? 진실여부와 진정성의 여부와는 상관없이 입소문을 타고 끊임없이 전달되는 이야기들이 있다. 

댄 히스와 칩 히스 형제의 "Made to Stick (스틱)은 최고의 커뮤니케이션, 눈에 띄는 마케팅 컨셉과 성공적인 아이디어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좀처럼 접하기 힘든 비즈니스 책의 불후의 명작이다. 이 책을 통해 상대방의 뇌리에 스티커처럼 착착 붙는 메시지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노하우를 공개한다. 


두 저자는 뇌리에 남는 강력한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6가지 요소, 이름하여 SUCCESS가 필요하다고 제시한다.

1. 단순성 (Simplicity): 단순할 수 없다면 통하지 않는다. 속담처럼 메시지는 단순하면서 깊이가 있어야 한다. "남에게 대접받고 싶은 대로 남을 대접하라."

2. 의외성 (Unexpectedness): 상식적으로 상식을 부숴라. 노드스트롬이 말하는 친절한 백화점 점원은 "다른 백화점에서 구입한 선물도 포장해 주고, 고객의 차에 히터를 틀어놓고 기다려 주고, 노드스트롬에서는 취급하지도 않는 타이어 체인을 환불해달라는 고객에게 환불도 해주는 점원들"로 상식을 깬다.

3. 구체성 (Concreteness): 추상적인 것은 언어뿐 삶은 구체적이다. "10년 안에 사람을 달에 보내겠습니다. (Put a man on the moon and return him safely by the end of the decade.)"- JF 케네디

 

4. 신뢰성 (Credibility): 믿게 만들어라. 예전 미국 레이건 후보의 "여러분 ! 투표를 하기 전에 마음속으로 한 번만 물어 보십시오. 과연 나는 4년전 보다 더 잘 살고 있는가"로 사전통계를 뒤집었다.

5. 감성 (Emotion): 감성은 행동하게 만든다. "대중을 위해서라면 행동하지 않겠지만 한 사람을 위해서라면 발 벗고 나설 것이다." - 마더 테레사

6. 스토리 (Story): 스토리로 말하라. "서브웨이의 가장 성공적이었던 광고는 아침저녁으로 서브웨이 샌드위치를 먹고 약 90kg을 감량한 재레드라는 대학생의 스토리이다."


이 책은 추리소설 또는 미드 CSI와 같은 이야기 구조를 가지고 있다. 댄 히스와 칩 히스는 메세지 전달의 달인이다. 이 책의 첫 문장만 읽어도 책에서 손을 내려놓을 수가 없다. 이 책이 왜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티핑 포인트"와 더불어 비즈니스 3대 필독서가 되었는지 이해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lon Musk Intl: Tesla, Spacex, and the Quest for a Fantastic Future (Mass Market Paperback)
애슐리 반스 / Ecco Press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세계에서 가장 (hot)하고, 흥미로운 기업이 바로 스페이스X이다. 물론 최근 한국에도 지사를 만들고 비즈니스를 시작한 테슬라도 (cool)하다. 하지만 깊이에 있어 어떤 회사도 스페이스X 비교하기에는 뭔가 부족해 보인다.


책의 저자가 말했듯이, "스페이스X IS 일론 머스크". 

그럼 작가가 말하는 사람, 일론 머스크는 누구인가? 구가 성취한 일들이 과연 인간이란 존재에게 가능한 일일까? 그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그는 지구상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이 있을까? 아니면 화성에서는?


"바람둥이, 억만장자, 천재 공학자. 마블의 SF 영화, '아이언맨' 주인공 '토니 스타크' 꾸미는 말이다. 영화 아이언맨의 감독 패브로가 원작 만화 캐릭터 아이언맨(1963) 리메이크하면서 현대판 토니 스타크의 모델로 삼은 인물은 우주여행 프로젝트인 스페이스X와 전기차 제조 업체 테슬라 모터스의 최고경영자인 '일 머스크'실존 인물인 일 머스크와 영화 인물인 토니 스타크는 서로 닮은 점이 아주 많다. 40 초중반의 나이, 억만장자, 물리학 학위 취득, 공학자 외형부터 삶까지 말이다. 물론 엘론 머스크는 가슴에 아크 원자로를 달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의 가슴은 아크 원자로의 에너지와 비등한 열정과 이상을 품고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일론 머스크)

"He’s the possessed genius on the grandest anyone has ever concocted. He’s less a C.E.O. chasing riches than a general marshaling troops to secure victory. Where Mark Zuckerberg wants to help you share baby photos, Musk wants to ... well ... save the human race from self-imposed or accidental annihilation."


 

전반적으로 일론 머스크는 예외적인 야망, 예외적인 예외적인 육체적인 에너지예외적인 지능과 그의 비전에 대해 예외적인 자신감 가진 평범한 인간이라는 인상을 준다. 그는 자신 뿐만 아니라 그의 회사와 직원, 그를 존경하는 수많은 평범한 사람들에게 그의 꿈과 비전을 통해 영감을 주는 원천이다

"머스크는 단호한 의지를 최고의 가치로 생각하므로 계속 거절당하더라도 뜻을 굽히지 않는 사람을 존중한다. 그때까지 그에 대한 책을 쓰고 싶다며 도와달라고 요청한 기자가 많았지만 단박에 거절당하고 나서도 집요하게 매달리며 귀찮게 굴었던 사람은 나뿐이었다. 머스크는 그런 나의 태도가 마음에 들었던 같다." (P.12)

 

최근 가장 인기있는 미래에 대한 허구적인 묘사는 비관적이고 반이상향적이다. 그러나 일론 마스크가 우리에게 보여주는 미래는 정확하게 그것과 반대이다. 미래에 대한 일론 머스크의 비전은 밝고 공상과학소설에서 흔히 있는 황금기를 연상하게 만든다.


"머스크 기업의 향후 10년은 정말 대단할 것이다. 머스크는 이미 역대 가장 위대한 사업가이자 혁신가의 사람으로 자리매김할 기회를 주었다. 2025년까지 테슬라는 자동차 5-6종을 만들어내고 급속히 발전하는 전기 자동차 시장에서 주도적 위치를 차지할 것이다. 현재 성장률도 미루어 짐작하건대 솔라시티는 거대 유틸리티 기업인 동시에 태양열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부상할 것이다 스페이스X 어떻게 될까? 아마도 가장 흥미로운 질문일 것이다. 머스크가 계산한 대로라면 스페이스X 매주 우주로 로켓을 발사해 사람과 화물을 운반하고 경쟁사 대부분을 파산시킨다. 스페이스X 로켓은 주변에서 두어 멈추었다가 텍사스 주에 있는 우수 공항의 정확한 지점으로 착륙한다. 그리고 처음으로 화성을 향해 수십 로켓을 발사할 준비를 진행한다. 모든 성과가 가시화될 머스크는 50 중반으로 세계 최대 부자이고 가장 막강한 힘을 소유한다. 상장회사 군데의 최대 주주인 머스크가 이룬 업적에 역사는 환하게 미소 짓는다." (P.512)


일론 머스크의 포스터를 방에 붙이기에는 난 이미 너무 늙었지만 그의 비전이 존경스럽고 그가 설계하는 미래 또한 궁금하다.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같이 일을 한번 해보고 싶다. 


"나는 결코 실현 불가능한 목표를 세우지 않습니다. 목표가 실현 불가능하면 의욕을 떨어뜨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실현 불가능한 목표를 의도적으로 세운 적은 없습니다. (P.3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ools of Titans : The Tactics, Routines, and Habits of Billionaires, Icons, and World-Class Performers (Paperback) - '타이탄의 도구들' 원서
Timothy Ferriss / Ebury Publishing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에게 새해 계획 (New Year's Resolutions)은 그닥 어울리지 않는다. 만약에 내가 무언가를 바꾸기를 원한다면 많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물론 이 많은 시간이란 상당히 개인적이지만 바꾸는 성격이다. 난 작년부터 팀 페리스의 팟캐스트를 듣기 시작했다. 무지 재미있다. 또한 그의 첫 번째 베스트셀러인 "The 4-Hours Workweek (1주일에 4시간 일하기)"은 원서를 포함해 같은 책 3권을 소장 중이다. 팀 페리스는 독특하고 긍정적인 의미에서 괴짜 (weirdo)다. 이상하게 본능적으로 이런 분들에게 관심이 간다. 그에게는 설명하기 힘든 사물을 관찰하는 독특한 능력이 있다. 그의 책을 통해서도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

알랭 드 보통, 세스 고딘, 에드 켓멜, 말콤 글래드웰, 파울로 코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는 내가 무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과 구글, 픽사, 넷플릭스 등의 기업가, CEO,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협상가, 슈퍼리치, 아티스트, 전문직 종사 등 세상에서 가장 성공한 인물 200명을 팀 페리스 쇼 팟캐스트 방송에 출연시키고 이 책을 통해 그들의 독특한 성공 노하우를 공개했다.


팀 페리스의 "Tools of Titan (타이탄의 도구들)"을 완독했다. 이런저런 잡다한 할인을 받아 번역서 보다 저렴하게 원서를 구매했다. 뿌듯하게 673 페이지에 달하는 성공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책의 저자인 팀 페리스는 이 책을 통해 두 개의 흥미있는 결과를 제안한다. 

1. 당신이 성공을 어떻게 정의하든 누군가에 의해 테스트된 정확한 믿음과 습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천하면 성공을 이룰 수 있다.

2. 당신이 알고 있는 슈퍼 히어로들은 모두 많은 결점을 지니고 있지만 그들은 하나 또는 두 가지의 장점을 극대화했다. "한 가지는 분명하다이 책에 등장하는 세계적 클래스의 타이탄들에게는 초능력이 없었다." (P.12)



이 책은 세 개의 주제 (health, wealthy, and wise) 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고 각 주제에 해당하는 성공한 사람들에게 정형화된 질문을 한다. 그럼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된 세 가지의 특성은 무엇일까? 

- 세계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의 80%는 매일 명상을 한다. "명상을 하면 한 걸음 뒤로 물러난 ‘목격자의 관점을 얻게 된다." (P.27)
- 성공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변수는 침착함을 유지하는 능력이다.
- 매일 쓰는 습관은 긍정적인 사고를 촉진한다.

내가 보기에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된 특징들은 평범하고 일반적인 사람들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 차이점은 오히려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런 단순한 3가지 습관들을 꾸준히 오랜시간 성실하게 한다는 것이다.


 당신의 삶에 맞는 아이디어를 발견했다면 팀 페리스가 말한 것처럼 “borrow liberally, combine uniquely, and create your own bespoke blueprint.”


타이탄들은 말한다. "당신이 지금껏 성공하지 못한 사람이라고 느껴진다면 그건 당신이 상식적이고 합리적인 사람이기 때문이다." (P.1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7-19 20: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몇 년 전부터 구체적인 새해 계획을 세워 본 적이 없습니다. 완벽하게 계획한 일을 제대로 실행한 적이 없어요. 그냥 마음이 가는대로 하고 싶은 것을 하는 게 편했습니다. ^^

dys1211 2017-07-19 21:06   좋아요 0 | URL
왠지 이성적이고 분석적인 님의 글들을 보면 무조건 100% 이룰 자신있는 계획만 세울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