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회를 말하는 사회 - 한국사회를 읽는 30개 키워드
정수복 외 30인 지음 / 북바이북 / 2014년 6월
평점 :
'너무 어려운거 아냐?' 서평클리닉 도서목록의 첫번째 책 제목을 보자마자 든 생각이었다. 사회, 상대적으로 어렵게 느껴지는 분야였다. 시험을 앞둔 학생마냥 초조하게 첫 번째 책을 손에 들었다. 힐끗 본 제목 <사회를 말하는 사회>에서 두 종류의 사회가 느껴진다. 현실을 뜻하는 첫번째 '사회'와 그 사회를 면면히 분석한 두번째 '사회'. 목차로 넘어가자 확신이 선다. 소비사회, 위험사회, 승자독식사회, 분열 사회 등이 보인다. 제목이 주는 딱딱함을 안고 한 장 두 장 넘긴다.
세 번째 토막쯤에서는 예상할 수 없었던 '사회'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이 서평모음집이라는 것을 자각하면서 부터다. '어느 날 차단되었습니다'는 4장을 끝낼 때쯤 세 가지 카테고리의 사회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첫 번째는 책을 관통하는 주제 대한민국이라는 '사회'다. 두 번째는 경제학자, 인류학자 등 전문가들이 책 이라는 매체를 통해 풀어낸 '사회'다. 그리고 마지막은 전문가들이 말하는 사회를 대한민국이라는 범주에서 읽은 또 다른 누군가가 이해한 '사회'다.
예를 들면 이렇다. 3장, 괴물들이 사는 나라의 절벽사회를 보자. 사회에 대한 담론이 쏟아져 나오는 현실부터 등장한다. 대한민국 이라는 첫번째 사회로 시작하는 셈이다. 그리고 그 현실에 대한 이해를 고재학의 저서 <절벽사회>로 하고있다. 한국일보 기자를 거쳐 현재 편집국장을 지내고 있는 전문가의 눈으로 본 - 아홉가지 절벽이 있는 - 두 번째 사회다. 이에 대해 문화연구가 이원석은 생애주기별 절벽이라는 자신만의 분석을 내놓는다. "저자의 진단에 기본적으로 동의한다...(중략)...하지만 처방에 대해서는 그와 다른 길을 걸어갈 수밖에 없다(177쪽)"고 말하며 <절벽사회>와는 다른 대안을 제시한다. 대한민국이라는 범주를 고재학의 절벽사회를 통해 이해하다 이원석 자신의 것으로 소화한, 세번째 사회다.
참 재밌는 책이다. 하나의 사회를 읽음으로써 대한민국의 현실, 저자의 생각, 서평가의 생각까지 알 수 있으니 말이다. 더 나아가 <사회를 말하는 사회>는 크게 네 꼭지로 나눌 수 있다. 욕망에 사로잡힌 대한민국, 불안에 잠식되는 대한민국, 이웃이 괴물이 된 대한민국, 혼자가 된 대한민국이 그것이다. 각 꼭지별 7~8개의 책과 서평이 소개되고 있으니 총 20개가 넘는 사회를 볼 수 있는 셈이다. 수치상으로만 봐도 일석삼조(一石三鳥)을 넘어선 일독다득(一讀多得)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재밌는 점이 한 가지 더 있다. 각 장을 관통하는 '무엇'이 있다는 것이다. 1장은 지그만크 바우만, 2장은 재독철학자 한병철이다. 해당 분야를 오랜기간 분석했던 사람들의 시각과 이야기가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4장은 통계 수치다. 인구 구성별, 분야별 흥미로운 수치가 논의의 근거로 소개된다. 반면, 3장은의 '무엇'은 삼성이다. 역시 우리나라는 삼성이 먹여살리는 나라인가? 대한민국이라는 사회를 말하는 책의 주인공으로 삼성이 자리잡고 있으니 말이다. 개인적으로 가장 피부에 와닿았던 내용이었다.
<사회를 말하는 사회>는 처음의 우려처럼 쉽지 않았다. 너무 많은 사회가 쓰나미처럼 몰려왔고 서평의 부담도 한 몫 했다. 하지만 왜 <사회를 말하는 사회>가 첫 번째 도서로 채택됐는지는 알 것 같다. 주제는 '사회'지만 수단은 '서평'이니 말이다. 서평은 주관적 감상과 객관적 가치를 함께 담아야 한다고 한다. 그 '객관성'이란걸 담기까지 얼마나 많은 사고와 배움이 있어야 할까. 이제 그 출발점에 섰다. 이 서평이 좋은 출발이 되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