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그녀는 몸으로 말한다 - 마음을 읽는 몸짓의 비밀
제임스 보그 지음, 전소영 옮김 / 지식갤러리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책제목은 자극적일수도 있으나 내용은 바디랭귀지에 대해서 쓴 책이다.

우리나랏말로 몸짓언어로 쓰여지고 있다. 예전에는 바디랭귀지 그 자체로 쓰였는데

우리말이 더 친근하게 느껴진다.

 

글은 감정과 상태를 나타내기에 한계가 있으나 대화에서는 심리상태와 감정까지도

인지할수 있다. 요 몇년사이에 이슈는 소통이었다.

소통을 잘하려면 상대방의 입장에서 이해와 배려가 필요하다.

그리고, 언어외적인 요소의 캐치가 중요하게 느껴진다.

언어외적인 요소 즉, 몸짓언어는 상대방의 감정을 읽는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사람의 말은 바꿀수 있고, 감정도 어느정도 속일수 있을것이다.

그러나, 그 감정선이 나타내는 몸의 언어는 막으려고 해도 어느정도

나타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우리는 멋적을때 머리를 긁고 놀라면 눈을 크게뜨며 입을 벌린다.

기쁘면 미소를 보이고, 슬프면 얼굴이 일그러지면서 울게된다.

실수를 하거나 고민이 있을때 머리를 감싸기도 한다.

그동안 책을 읽지 않아도 우리가 알고 있느 제스쳐만 해도 상당히 많다.

다만, 의식적으로 그 몸짓언어를 인식하지 않고 있는 것뿐이다.

 

생판 모르는 사람을 만나도 어떤사람은 기분이 좋고 친근하게 느껴지며 어떤사람은

다시는 만나기 싫은 사람으로 나누게 되는 것은 상대방과 말은 안했어도 첫인상에서

나오는 몸짓언어에 우리 무의식이 인색해서 그런것이다.

자신과 맞는 사람을 코드가 맞다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고있다.

그 코드가 맞는것도 대화로도 접근이 가능하지만 그사람과 나의 인지하지 못했던

몸짓언어가 비슷하게 취해지고 있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거울효과라고도 한다.

 

이 책은 다른사람의 몸짓언어를 인식하고 활용하는 것만 다루고 있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무의식적인 습관이나 버릇도 고칠수 있게하면 더 친근하고 첫인상이 좋은 사람

으로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 나를 먼저 알아야 상대방도 있는 것이다.

사진을 첨부해서 이해를 도왔으며 각장의 끝은 요약으로 다시한번 상기시켜주는

효과도 있었다. 약각의 아쉬움은 더 많은 사례와 사진을 통해서 다양하게 보여주었으면

더 좋은 책이 되었을 것이다.

 

미국드라마중에 '라이투미'라는 것이 있다. 해석하면 '내게 거짓말해봐' 정도겠지만,

이 주인공은 얼굴표정으로 사람의 감정과 심리를 읽어내고 있다.

이 드라마의 핵심내용의 제공은 폴에크먼 교수의 책일것이다.

그녀는 몸으로 말한다 에서도 얼굴표정에 대해서 다루고 있고 폴에크먼 교수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약간은 부족한 점도 있고 한정된 페이지에서 몸짓언어 전체를

설명하고 있으니 전문적인 설명에서 부족한 점도 느껴지나, 바디랭귀지 입문이나

초보자용으로 읽기에는 손색은 없다.

 

우리가 평소에 쉽게 느낄수 없는 많은 부분을 의식하고 관찰했을때

보이는 것이 얼마나 많고 진실은 언제나 나타난다는 것도 알수 있었다. 

현재에 충실하고 세심하게 관찰하며 주위에 귀를 기울일때

우리삶이 더 풍요롭고 지혜로워질수도 있을 것이다. 이해와 배려는 이런

작은 관심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이것은 나와 대화를 하는 상대방의 심리와

감정까지도 캐치하여 더 깊은 소통이 이루어질수 있게 할 것이다.

 

대화의 내용과 질도 중요하지만 그 이면에 담겨있는 언어외적인 요소도

인지할수 있는 능력이 이 책을 읽는 모든 사람에게 생기게 되면 좋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 여자집 2012-06-08 23: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잘 봤습니다.^^
 
내가 알고 있는 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 - 전세계가 주목한 코넬대학교의 "인류 유산 프로젝트"
칼 필레머 지음, 박여진 옮김 / 토네이도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우리 삶의 해답에 관해서 추구할때 우리는 주로 책이나 전문가 등에게서 구하게 된다.

학문적 연구와 업적, 경험으로 축적된 지식에게 답을 찾는 것은

올바른 일이거니와 당연히 그래야 할 것이다.

 

그러나, 결혼, 육아, 행복, 직업선택, 인생이라는 추상적인 물음과 경험을 바탕으로 축적된

해답은 아마도 그 일체행위를 겪은 사람들이 더 많은 것을 알고 있지 않을까? 라는

저자의 의문으로로부터 책은 시작된다. 이미 위 문제에 대해서 고민하고 연구해서 책으로

나온것들이 많다. 이미 전세계적으로 수천 수만권이 있을 것이다.

그 책들이 끊임없이 나오는 것은 진정한 해답을 찾기 어렵다는 반증일 수도 있다.

 

이 책을 보면서 밑줄 긋고 가슴에 새겨두어야 할 말이 많았다.

단순한 대화속에서 삶의 의미를 주는 말들이 많다.

부부가 어떻게 생활하는 것이 좋은 것일까? 에 대한 의문도 확실히 풀린 기분이다.

나보도 더 많은 시간을 성공적으로 경험한 노인들 말씀의 공통적인 결과는

진정한 해답을 준 것 같다.

여러의문에 해답을 주고 있는데, 부부의 행복은 결국 대화에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책은 읽은 사람마다 다르게 느끼고 남는 것도 다를것이다.

책에 대한 느낌과 감정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다. >

배려와 이해는 대화를 통해서 자연히 생성되는 것이다.

아내와 많은 주제로 대화를 나누어야겠다. 공통적인 대화꺼리를 만드는 것도 중요할듯 하다.

 

육아에 대해서도 한창 고민이 많았는데,

체벌에 대한 얘기는 가슴에 와닿는다. 나를 얼마나 반성하게 만드는 말이 많은지 아마도.....

모든 부모들이 읽어봐야 할 것 같다. 다시는 체벌을 안하리라.....

관계를 개선하고 유지하기 위해서 가장 기본은 대화 즉, 소통인것 같다.

 

그리고 행복과 삶에 대한 자세등도 가슴깊이 새겨 둘 것이 많다.

시간이라는 한 싸이클(한 사람의 주기) 속에 우리는  갇혀 있다. 종종 망각하고 있지만

태어나면 죽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늙음도 당연한 것이다.

핵심은 인생 주기에 대한 현실의 자각이다.

늘 깨어 있어 자각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에서 나온 말은 아니다. 내가 읽어 느낀 것이다.

우리는 죽음에 대해서 생각을 잘 하지도 않고 어느정도 남아 있을 것이라는 짐작도 하지 않는다.

오늘 하루를 살아가면서 늘 이 생각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

그러면 이 늙은 현자들의 말씀이 머리가 아닌 가슴에 새겨질 것이다.

 

하고 싶은 일이 있거나 하고 싶은 말이 있을때 바로 하라고 현자들은 말한다.

후회하는 것은 돌이켜 보면 가장 어리석은 일이라는 것이다.

지금 사람들에게 이런 얘기를 해보았자 잘 먹혀들지 않을 것이다.

죽음에 대한 인식과 시간없음을 늘 인지하고 있을때 실행력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제 나도 해야 할일과 해야 할말이 있으면 바로해야겠다.

나중에 한다는 것은 안한다는 것과 같음을 알았으니 오늘부터 당장 실행이다.

 

여행에 관한 얘기도 나오는데, 이부분은 너무 집사람에게 미안한 것같다.

모든 것보다 여행을 최우선 하라고 하는데, 그게 말처럼 쉽게 되지 않으니 말이다.

내집마련을 위해서 아끼게 되는 것이 나인지라......

그것에 우선해서 많은 여행을 가는것이 더 현명한 결정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머리로 이해는 되는데, 실행은 힘들기만 하다....

그러나, 최대한 노력은 할 것이다.

 

직업선택에 대해서도 즐길수 있는 일을 하라고 하는데,

지금의 직장이 과연 그런 곳인지......그런 것 같지는 않다. 설레임으로 직장을 나가지는

않는 것 같으니 말이다. 당장 그만두고 자신에게 맞는 일을 선택하라고 하지만,

이거야...원.....나이 불혹이 다되서 일자리 찾기가 힘들것 같은데...

이것은 보류다. 아니면 설레이는 직장으로 내가 만들어야 하나....

그런 말은 없는 것을 보니 자신에게 맞는 일은 천부적인가보다....

 

동반자 선택에 대해서도 신중함을 가지고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고 하는데,

나는 이미 결혼 했으니 만족해야한다...음.....절대만족을....

 

우리는 늘 선택이라는 문제에 마주치게 된다.

언제나 올바른 선택만 할 수는 없다. 그렇다고 선택을 미루는 것도 안된다.

좋은 선택을 위한 고민과 노력은 필수다.

그리고 선택했다면 믿고 실행하면 된다. 내 선택이 틀릴수는 있어도 떳떳 할 수는 있어야 한다.

인생을 사는데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늘 내 자신에게 물어보면서 살아야겠다.

인생을 더 살아온 현자들의 말씀을 새겨들어

오늘 현실에 맞게 나 자신에 맞게 지침으로 적용해야겠다.

책 한권이었지만 그 가르침은 수백권에 이른것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