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로즈마리 > [퍼온글] 언어 철학 관련 책들1

 

출처: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1&dir_id=110108&eid=GUivX33r4O6jRsDRnHg+QxQ0uvI/fmp4

아래 글은 네이버에서 퍼왔습니다. 상품 사진은 알라딘에서 찾을 수 있는 한, 제가 넣었습니다.  언어철학에 대해 알고 싶은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너무 많아서, 두 편으로 나누겠습니다.

chinadrum (2005-01-29 00:01 작성)

19세기 말에서 20세기는 철학에서 거대한 전환이 이루어졌다고도 볼 수 있는 시기죠. 그 중심에 '언어로의 전환'이 있었고. 언어 자체를 자세히 다루는 영역은 제가 잘 알지 못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말씀드리기 어렵겠습니다. 하지만 간단한 개관은 가능할 듯 싶네요.


 M. K. 뮤니츠, '현대 분석철학'.
- 철학에서 언어적 전환은 20세기 초의 논리 실증주의의 발전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들이야말로 언어적 전환의 주역이라 보아도 과언이 아니죠. 그리고 이들은 프레게와 러셀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 여기에서는 퍼스부터 프레게와 러셀, 위대한 철학자인 비트겐슈타인의 전-후기 철학, 비엔나 학파, 콰인과 크립키까지 폭 넓게 다루고 있으며, 원전을 통해서 이해를 돕기 때문에 입문용으로 아주 좋다는 생각입니다.

 


R. Rorty(ed)., 'Linguistic Turn'
- 미국의 철학자 로티가 편집한 이 선집에는 언어적 전환과 관련된 여러 철학자들의 글이 실려있습니다. 방대한 분량이지만, 정수를 모아놓았다고 보아도 좋을 듯 싶습니다. 다만, 번역되지 않은 글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하겠죠.

A. 케니, '프레게'

- 언어적 전환은 철학과 심리학의 분리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것을 이루어내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이 프레게였죠. 프레게가 던졌던 많은 아이디어들은 현대 철학의 중심적인 주제이기도 합니다.
- 케니는 프레게의 전반적인 사상을 개괄적으로 잘 정리해주고 있습니다.(물론 뮤니츠의 설명도 좋습니다)
- 프레게의 저작으로는 대표작 '산수의 기초'가 번역되어 있지만, 프레게를 공부할 것이 아니라면, 이 정도의 책을 보아도 무리는 없습니다.

 


 

 

 


G. 로마노스, '콰인과 분석철학'


- 콰인을 주제로 하고 있지만, 전반부에 언어적 전환으로서의 분석 철학에 대해 잘 설명해 주고 있기에 추천합니다. 물론, 후반부의 콰인에 대한 설명도 볼만합니다.

 

 

 


J. 요르겐센, '논리 실증주의'
- 논리 실증주의의 발생과 전개 과정을 잘 정리해 놓은 책입니다. 흐름을 유려하게 연결해 놓고 있기 때문에 강력 추천합니다. 특히 카르납에 대해 잘 정리해 놓았습니다.

L. 비트겐슈타인, '논리-철학 논고'
- 비엔나 학파의 성서가 되었고, 러셀과 함께 논리적 원자론의 핵심을 구성하는 저작입니다. 다만, 대단히 요약적이기 때문에 여타의 참고문헌과 함께 읽기를 추천합니다.

 

 

이승종, '비트겐슈타인이 살아 있다면'
- 비트겐슈타인의 '논고'의 성격을 잘 정리해 놓고 있습니다. 전기에서 후기로의 전환을 중기 저작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잘 설명하였죠. 후기 철학에 대한 설명, 특히 규칙에 대한 설명이 인상적입니다.

 

 


박영식, '비트겐슈타인 연구'
- 비트겐슈타인의 '논고'를 집중적으로 연구한 책입니다. 논고의 전반적인 틀을 이해하기에는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비슷한 내용이 반복되는 경향이 있지만, 처음 읽는 분에게는 그 점이 오히려 장점이 될 것 같기도 합니다. 더불어 비엔나 학파의 검증성 개념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습니다.
- 논고를 둘러싼 여타 학자들의 논의도 함께 다루고 있습니다.

 

K. T. 판,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이란 무엇인가?'
- 얇은 책이지만, 비트겐슈타인의 전-후기 철학을 간명하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설명도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입문용으로 추천할 만 합니다.

 

 

 

A. 케니, '비트겐슈타인'
- 역시 전-후기 철학을 다루는 비트겐슈타인 입문서입니다. 판의 입장과는 다르게 전-후기 철학의 연속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읽어볼 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