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동물원]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굿바이 동물원 - 제17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강태식 지음 / 한겨레출판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직장을 그만두게 되고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지 못하게 된 가장의 삶은 그동안 자신이 누려왔던 모든 것들이 무너지는 것을 의미한다. 가족들도 함께 불투명한 미래, 행복이 무엇이었는지 기억도 나지 않는 불행한 시간만을 보내게 된다. 그나마 김영수는 돼지엄마의 소개로 부업이라도 하면서 지금보다 나은 미래를 꿈 꿀 수 있는 기회를 얻지만 마늘을 까면서 마음껏 눈물을 흘리고 곰인형 눈 붙이기를 하며 본드를 흡입해 자신이 원하는 현실을 환상으로 보는 시간을 거쳐서야 세렝게티 동물원에서 근무하는 자신의 모습 볼 수 있게 된다. 동물들을 돌보는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직접 동물의 탈을 뒤집어 쓰고 우리에 갇혀 근무해야 하는 삶이란, 동물원 우리에 갇힌 자신의 모습을 보는 것이라고 표현하는 수 밖에 없다.

 

세렝게티에 근무하는 동물들은 '인간이란 무엇인가,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자신에게 끊임없이 되묻는다. 바나나를 던지며 "물어" 지시하는 김영수의 행동에 폭발하는 대장 만딩고, 조풍년, 앤의 행동은 그런 의문을 담고 있는 것이다. 김영수도 끊임없이 자신에게 되묻는 의문이기도 하다. 소생이라고 말하며 상품을 팔러 동물원에 방문하는 잡상인이 이들에게 희망을 전해주는 사람이 될 수 있었던 데에는 사람답게 사는 것을 버렸을 때만이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다고 역설하기 때문이다. 사람으로 살지 않고 세렝게티 동물원에서 동물로 살아가는 것이 더 행복하다고 말하는 조풍년 씨, 내가 그에게 동물원에 오는 관람객들이 동물원에서 보게 될 동물들이 진짜 동물들이 아닌 사람이라는 것을 알고 오는 것 아니냐고 말한다면 지금의 생각을 고수할 수 있을까. 너무 잔인한 질문이 될 것이다.

 

세렝게티 동물원에서 동물로 살아가는 것은 대단히 해학적이다. 실제 삶에 이런 일이 있을 수 없다고 여겨질 정도로 비현실적이다. 세렝게티 동물원이 탈인간화를 꾀하고 있지만 그 밑바탕에는 인간적인 삶을 원하는 이들로 이루어져 있다. 과장님, 대리님 하며 직급을 붙여 이름을 부르는 것은 우리들이 살아가는 사회와 다르지 않다. 고릴라들이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을 오르며 한 번에 5천원의 돈을 벌어가는 것은, 진짜 동물들은 할 수 없는 이 일은 사람들이 원하고 있기에 행해져야 하는 것이며 이는 고릴라의 슬픔을 극대화 시킨다. 이렇게까지 해야하는 가에 대한 의문 또한 계속 제공한다.

 

인간보다 동물의 탈을 쓰고 살아가는 것이 더 행복하다는 사람들이 궁극적인 행복을 찾기 위해서는 인간이 되기를 포기하는 길 뿐이다. 문명, 문화 등의 모든 걸 버리고 원시상태의 삶으로 돌아가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는 길인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모든 것을 버릴 수 있는 사람이여야만 가능한 행복이고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야만 하는 이들은 세렝게티 동물원에서 관람객들을 기다리며 살아갈 수 밖에 없다. 이렇게 말하니 문명세계에서 살아가는 것이 꼭 불행하기만 할 것 같으나 자연상태로 돌아간 사람들에게도 문제는 있다. 천적들이 나타났을 땐 어떻게 되겠는가. 약육강식의 세계에서 살아남는 것이 쉽지 않을 터인데 그래도 "행복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우리들이 살아가는 세상도 약육강식의 세상이라 위험하긴 하지만 살아남기 위하여 서로 잡아 먹는 행동은 하지 않으니 자연상태보다는 덜 위험하다. 이것 모두 쓸데없는 말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행복을 찾아 떠난 사람에게 그 어떤 이유든 문제가 되진 않을 테니까.

 

끝까지 알 수 없었던 돼지엄마의 정체는 무엇이었을까. 세렝게티 동물원에 사람들을 소개해준 그녀의 존재는 신비롭기까지 하다. 요정이 아니었을까. 돼지엄마는 이제 누구에게 희망을 전해주고 있을까. 또 누군가에게 부업을 소개한 후 시에서 운영하는 거라 공무원이랑 똑같다며 세렝게티 동물원의 일을 권해주고 있을 것이다. 세렝게티 동물원에는 많은 동물들이 빠져 나간 자리에 또 새로운 사람들이 들어와 관람객들에게 즐거움을 주게 되겠지. 인간답게 살지 못하고 동물로 살아가게 되겠지만 조풍년 씨 말처럼 동물로 지내는 시간만큼은 마음이 편하다는 말을 진심으로 듣고 그들의 삶을 너무 가슴아프게 생각하지 않을까 한다. 그런데 <4월의 노래>를 부른 송과장은 지금 어떻게 살고 있나요? 살아있기는 하나요? '굿바이 동물원'에서조차 잊혀져 가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 슬프다. 마음이 헛헛하여 송과장의 노래를 들으며 동물의 탈을 벗은 인간들과 함께 '아무거나'를 안주삼아 '안중근 소주'를 한 잔 마시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