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가스의 탄생 - 튀김옷을 입은 일본근대사
오카다 데쓰 지음, 정순분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정부는 1869년(메이지 2년)에 쓰키치 우마회사를 설립해 쇠고기를 판매하고 보급하는 데에 발벗고 나섰고, 궁중에서는 젖소를 몇 마리 기르고 천황이 우유를 마시면서 우유의 효용을 강조했다."(p.64) 전통적으로 육식을 금지하던 일본은, 정부 주도하에 육식 장려 사업을 철저히 계획하고 시행했다. 메이지 정부는 "육식을 방해하는 자는 그 마을의 관리로서 자격이 없다고 규정"하기까지 했다.(p.65)

일본에서도 "전통적인 쌀밥에 집착하는 쌀밥 우위론"이 육식 장려론에 맞서는 등 전통과 서구의 갈등이 존재했지만, 최종 귀결은 "화혼양재 사상에 근거한 절충주의"였다. 그리고 이때의 절충이 지향하는 방향은 명백히 '서구적인 것'이었다. 신체 조건을 서구화하기 위해 도입한 육식, 그리고 밥과 고기를 절충하여 양식의 스타로 등장한 '돈가스의 탄생'은 사회 개조를 불사한 그들의 전방위적인 혁신이 "근대화를 추진하는 원동력"(p.86)이었음을 잘 보여준다.


(1860년 제2차 아편전쟁의 경과를 보고받은) 국왕(철종)은

대국(중국)이 저렇게 곤욕을 당하고 있는데 우리나라가 어찌 무사하겠는가?

라고 재차 좀더 즉각적이고 현실적인 방책을 강구하라고 절실히 호소하고 있다. 이에 대해 (영의정) 조두순은 왕의 위기의식을 둔화시키기나 하려는 듯, '중국이 곤욕을 당하는 것은 천지의 운수이다'고 더더욱 느긋한 소리를 하고 있다. 그러면서 결국 당장에 할 수 있는 일은 국왕 스스로가 "먼저 수식(修餝)하면 백례(百隷)가 게을리하지 않을 것"이라는, 군주가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을 것 등 도덕적 품성의 함양 노력으로 귀착시켜 버리고 있다.
- <시간과의 경쟁>, 민두기, 연세대학교 출판부, pp.13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