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인생 -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 자서전, 어느 비평가의 유례없는 삶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 지음, 이기숙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폴란드계 유태인으로, 전후 독일 문학계의 독보적인 문학 평론가이다. 그가 2차 세계대전을 살아낸 유태인이라는 사실을 접한 독자들은 당연스럽게 그에게 하나의 서사를 기대한다. 그것은 바로 생생한 고난의 여정이 배어있는 간증과 나치의 깊은 악에 대한 고발-그 방식이 격정적이든 평온하게든-그리고 그것과 대비되는 감동적인 인간의 고귀함이다.

저자의 자서전인 이 책 역시 삶과 죽음의 경계선에 아로새겨진 생존의 흔적들이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그는 자신의 삶이라는 텍스트를 마주할 때에도 평론가라는 천직을 한시도 잊어버리지 않는다. 그는 자신이 수용소에서 어떻게 살아 남았는가의 사실이 아니라 왜 다른 누구도 아닌 바로 내가 살아남았는가의 해답 없는 물음에 끊임없이 천착한다.

"왜? 왜 다른 사람이 아닌 우리가 살아 남게 되었는가? ... 이 질문에는 단 하나의 대답만이 있다는 것을 나는 안다. 그것은 순전히 우연이었다. 다른 이유는 없다. 그럼에도 나는 이 질문을 멈출 수가 없다. pp.274~5

비평은 확고한 하나의 해답을 찾아 나서는 논증이 아니다. 비평가는 매번 달라지는 텍스트의 의미들을 놓치지 않고 묶어주는 줄기가 무엇이며 그 생명력이 어디서 오는가를 탐색하는 관찰자이다. 그에게 죽음이란 생물학적 의미가 아니라 문학과의 결별에서 온다. 그는 전후 폴란드에서 강제로 문학 비평이 금지됐던 시기를 "무엇보다도 암울했다"고 쓰고 있다.

비평이 객관적일 수 없다는 점을 흔쾌히 인정하는 태도는 쉽사리 동의할 수 없는 타인의 삶을 수용하는 태도에 적절한 유사성을 부여한다. 저자는 자신의 비평을 보편화하려고 노력하지 않고, 자신의 문학에 대한 애정을 보편화하려고 했다. 그 노력의 찬란한 증거는 1988년부터 2001년까지 <문학 사중주>라는 이름으로 방송된 TV 프로의 구성에 잘 드러난다.

'방송시간은 1시간 혹은 75분, 일체의 영상이나 배경 음악을 금지하고, 작가의 낭독이나 자신의 작품에 대한 우호적인 어떠한 설명도 허용하지 않으며, 처음부터 끝까지 네 명의 토론자만이 화면에 등장하여 책을 읽고 토론한다.'

그는 오로지 문학 안에서 발굴한 자신의 언어에 대해서 절대로 양보하지 않고 타협하지 않음으로써, 타인의 언어가 더 많이 생성되고 피어나도록 '항연(symposium)'을 개최한 아가톤과 같다. 한 평생을 문학의 숲에서 살아가면서도 자신의 삶은 문학의 밖에 나와 기록하고자 한 이 책은, 그러므로 자신의 곁에 서 있는 'Bei-zich-zein'의 고백록이라 할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