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역사 : 진한사 중국의 역사
니시지마 사다오 지음, 최덕경 외 옮김 / 혜안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진제국의 형성
1) 진나라는 씨족제의 해체, 군주권의 강화, 관료제, 농지 개척, 새로운 군대의 편성이라는 군현제의 성립 요건을 가장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통일제국으로 발돋움하였다.
2) 진시황은 군현제의 전국적 시행, 민간 병기 몰수, 도량형•화폐•문자의 통일, 만리장성•아방궁•여산릉 축조, 분서갱유를 하고 불사 선약을 갈구하였으나 얻지 못하였다.

2 진제국의 붕괴와 한제국의 성립
1) 시황제의 급사로 의문스런 과정을 거쳐 왕위를 계승한 막내아들 호해는 대토목공사에 박차를 가하면서 농민수탈을 극도로 실행하여 전국적 농민반란을 유발하였다.
2) 항우를 꺾고 한의 황제가 된 유방은 공신들은 열후로, 형제들은 제후로 봉하여 영지를 내리는 군국제를 실행하였는데, 이 독립왕국들이 오초7국 난의 단초가 되었다.

3 한초의 유씨정권
1) 한대에는 민民에게도 작위를 하사하였는데, 이는 전통적 혈연 관계에 포속된 서민들을 작위라는 국가적 질서 속에 편입시켜서 일괄적인 통제와 규율을 꾀한 것이다.
2) 문제는 가의와 조조 두 관료의 민생안정책을 채택하여 납속수작(納粟授爵, 곡물을 납입한 자에게 작위를 수여하여 농민 부담을 경감)과 제후왕 억제책을 시행하였다.
3) 오초7국의 난이 평정된 뒤에 제후왕은 관리선임권을 상실하고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의 통제를 받았으며 봉지도 축소되어, 한제국의 군국제는 군현제로 회귀하였다.
4) 한제국은 흉노와는 적국항례敵國抗禮의 대등한 입장을, 남월과 한반도는 각각 군신과 외번으로 종속시켜 동아시아 각국과 책봉체제를 통한 정치•문화적 관계를 맺었다.

4 무제시대의 외정과 내정
1) 무제는 선대에 축적된 경제력을 바탕으로 흉노와 기나긴 전쟁을 벌이고 서역과의 교통로를 개척하였으며, 염철전매제와 균수•평균법을 실시하여 재정을 보강하였다.
2) 무제는 예치를 강조한 공손홍과 동중서 같은 유학자를 등용하였지만 실제 국정은 조세를 엄격히 거두고 재정정책을 일관되게 집행한 법가적 혹리酷吏들의 몫이었다.

5 곽씨정권의 성립과 붕괴
중신들의 배후정치와 태자의 난, 휼민적 내조와 법술적 외조간의 대립과 공존을 거쳐 선제대에 이르면 흉노족의 투항과 순리의 등용을 통한 선정으로 안정기에 접어든다.

6 유교의 국교화와 왕망정권의 출현
1) 원제 이후에 유가관료의 진출이 두드러지면서 중본억말 정책이 다시 대두되었고 예법에 어긋나는 군국묘의 폐지와 상제와 후토에 제사지내는 교사제를 개혁하였다.
2) 유가사상은 참위설을 수용하여 천자와 황제 이념의 통합을 꾀하였고 오행사상에 따라 왕조의 성격을 논하였으며, 고래로 난립해 온 고전을 체계적으로 정비하였다.
3) 왕망의 내정개혁은 주周의 제도를 당대에 과격하게 이식하려는 시도로 토지, 화폐, 상공업 개혁 모두 혼란을 유발하고 위반자를 가혹하게 처벌하여 민심을 잃었다.
4) 왕망의 대외정책은 외번의 군장들을 모두 왕王에서 후候로 격하하여 주변국의 반란을 자초하였으니, 이는 화이사상만을 내세우고 왕화사상은 도외시한 단견이었다.

7 후한왕조의 성립
1) 적미의 농민반란과 남양유씨의 호족반란은 왕망정권을 타도하였고, 이후 세력간의 이합집산이 이어지다가 한왕조의 부흥이라는 기치 아래 광무제가 후한을 세웠다.
2) 광무제는 천하통일 후에 노비해방령을 실시하고 조세를 감경하였으며, 군역부담을 줄임과 함께 경지와 호구를 재조사하고 화폐경제를 되살리는 개혁을 시행하였다.

8 후한왕조의 추이와 대외관계
1) 후한대는 표면적으로 예교주의를 숭상하였지만 불교와 도가사상이 습합된 형태였으며, 반고의 <한서>와 허신의 <설문해자> 저술 등 문화적으로 융성한 시기였다.
2) 후한의 대외관계는 흉노의 약화와 선비와 강족 등 여타 주변민족의 정치적 성장으로 특징지어지며 이들과의 분쟁으로 국력을 소진하였지만 국제관계는 활발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