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함께살기님 서재에서, 서울시에서 '헌책방 지도'를 만들었다고 서울 도서관 누리집에
'서울 시내 헌책방 지도'가 나와 있다는 글을 읽고, 집에서 가장 가까운 헌책방 '책 백화점'엘
다녀왔다. 상계역 1번 출구를 나오자마자 눈앞의 약국 지하라 찾기가 너무 쉬웠다.
좁은 계단을 내려가 빽빽하게 책이 쌓인 좁은 통로를 지나 비닐막이 쳐진 입구로 들어서자
어디선가 "어서 오세요~" 소리는 들리는데 사람 한 사람이 겨우 지날만큼의 통로 사이에서
주인장의 얼굴은 여전히 안보이다, 또 서가를 하나 돌아가니 50대 후반의 주인 아주머니와
인사를 하니 "어떤 책 찾으세요?" 하신다.
" 예~구경좀 해보고요~" 여쭙고 또 좁은 서가를 돌아가 보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905/pimg_731727186893954.jpg)
가장 먼저 관심있게 눈에 띄인 미술서가에서 '이것은 의자가 아니다'와 화집들을 열심히 펼쳐보
고, 그 다음으론 바로 앞 서가에 있는 그림책들을 반갑게 이 책 저 책 펼쳐보다 몇 권을 고르고
시집들이 꽂힌 서가도 보고, 입구쪽으로 나오니 그래도 요 몇년 전의 눈에 띠는 소설이나 산문집
도 보였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905/pimg_731727186893955.jpg)
헌책방은 어렸을 때, 을지로 평화시장에 있는 청계천 헌책방들을 다니고는 그후론 아주 드물게
가보곤 정말 실로 오랫만이라...느낌도 새롭고 헌책들이 솔솔 풍기는 헌책냄새도 기분좋게 맡으
며 책들을 고르는데 오늘은 첫날이라 그런지 너무 많은 책들 가운데 무엇을 먼저 골라야할지
도 막연했고, 아주 좁은 통로에 의자 하나 없어 한 시간 쯤 고르려니 다리도 좀 아파오고, 그리고
책정가를 알 수 없었는지라. 오늘은 그냥 그림책만 다섯 권 고르고, <느림보 2011>이라는 느림보
에서 나온 4호 크기의 180쪽 짜리 책도록을 한 권 사 가지고 나왔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905/pimg_731727186893990.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905/pimg_731727186893959.jpg)
참, 도날드 달의 '맛'이 입구에 있길래 값을 물어보니 6000원이라 해서 왠지 좀 센듯하여 그냥
두고. 주인 아주머니의 말씀이 이 헌책방은 19년이 되었는데 교통이 편하고 찾기 좋은 곳은
책방 임대료가 높아 점점 헌책방들이 줄어가고 있다 하시며, 자주 놀러오라 하셨다.
함께살기님 덕분에 이젠 '헌책방'의 '아름다운 진정한 의미'를 하나 둘 알아가고, 즐거운 나들이를
하고 싶었는데 오늘도 덕분에 '서울 시내 헌책방 지도'에 대한 글을 올려주셔서 가볍고 즐거운
마음으로 잘 다녀왔다.
역시 '헌책방'에 가서 오래된 책들을 펼쳐보고 고르는 일은
'새책방'에서 새로 나온 빠릿한 책들을 고르는 맛과는 또 다른 새로운 즐거움을 주었다.
나는 '헌책방'도 '새책방'도 '알라딘 중고서점'도 다 좋다.
그곳이 어디든 책이 있는 곳이라면~ㅎㅎ
오늘 우선 맛보기로 사온 그림책들,
할아버지의 할아버지가 쓰셨다는 오래된 안경 속에 숨어 있는 핏줄간의 따뜻함과 손때가 묻은 물건이 풍기는 정겨운 향기를 맡게끔 하는 그림동화이다. 어떤 강요나 직접적인 설교보다는 조그만 사건을 통해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도록 쓰여졌고, 현실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듯한 사실적인 삽화들이 이야기의 깊이를 더하게 한다.
《개구쟁이 해리-바다 괴물이 되었어요》는 해리가 가족과 놀러 간 바닷가에서 한바탕 벌이는 소동을 재미있게 그려 내고 있다. 해리는 햇살이 너무 뜨거워 가족의 파라솔과 아이들이 만든 모래성에 들어가지만 금방 쫓겨난다. 그래서 뚱보 아줌마의 널찍한 그림자에 몸을 숨기는 기발한 방법을 생각해 냈지만, 결국엔 그마저도 더 이상 누릴 수 없게 된다. 더위에 지친 해리는 몰아친 파도에 휩쓸려 온 바닷말을 뒤집어쓰고 바다 괴물로 변신하게 된다!
바닷말을 뒤집어쓴 해리가 귀여운 강아지가 아닌 바다 괴물로 오해를 받는 것을 보며 아이들은 단지 겉으로 보이는 것만으로 사물이나 상대방을 평가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뜨거운 햇살을 싫어하는 해리를 위해, 그리고 또다시 길을 잃을 경우 가족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리를 닮은 파라솔을 준비한 해리의 가족. 다음 해에 바닷가로 놀러간 온가족이 해리와 함께 커다란 파라솔 아래에서 쉬고 있는 모습에 아이들은 함께 기뻐할 것이다. 가족 간에도 배려가 필요하다는 걸 일깨워 주는 따뜻한 그림책이다.
시인 백석이 시와 동화를 하나의 틀 속에 조화시켜 낸 동화시.'귀머거리 너구리', '개구리네 한솥밥', '집게네 네 형제'등 4편이 실렸다. 평등하고 올바른 세상을 바라는 시인의 마음을 엿볼 수 있는 책이다. 시인이 쓴 글답게 우리말의 리듬과 운율이 아름답다.
한국 어린이 문학의 대표 작가들의 동화를 모아 놓은 '빛나는 어린이 문학' 시리즈로, 지난 2000년 출간되었던 책의 개정판이다.
100년 전 아이들은 무엇을 하고 놀았을까? 그 때도 학원이나 학교가 있었을까? 요즘처럼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오락기는 없었을텐데, 지겹지 않았을까? 그 때 아이들은 간식으로 무엇을 먹었을까? 어린이날에는 어떤 선물을 받았을까? 아니 어린이날이 있긴 했었나? 궁금증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끝없이 길어진다.
서양인과 일본인이 왕래하기 시작하면서 과자, 빵, 케이크 같은 새로운 음식이 유행하게 되고, 양말, 석유 램프, 양잿물 같은 새로운 생활품도 등장하게 되었다. 전화와 전기, 전차도 이때 들어왔다. 이런 눈부신 변화 속에서 조선은 암흑의 시기로 넘어가고 있었다.
변화와 쇠퇴하는 국운이라는 서로 상반된 요소가 급격히 뒤섞이던 100년 전, 변화와 전쟁 속에서도 아이들은 밝게 자라났다. 사극 속에서도 잘 다루어지지 않은 어린이의 생활이나, 교육, 놀이 문화에 대해 다룬 책. 100년 동안 많은 변화가 일어났음을 새삼 느끼게 한다.
(이 책표지에는 4-4 오수민, 이라고 연필로 이름이 적혀 있다~)
쌍둥이 남매는 도시 생활을 하며 아파트에서 살고 있다. 쌍둥이 남매를 따라 농장을 지나 늪으로 가면서, 마치 생태 현장학습을 하듯 자연스럽게 동식물들을 만날 수 있다. 쌍둥이가 메뚜기를 잡으려다 흠칫 놀라는 장면이나, 조랑말이 물까 봐 먹이를 주지 못하고 주저하는 모습 등에서는, 실생활 속에서 자연을 많이 접하지 못하는 우리 아이들의 낯설음이 그대로 느껴진다.
비가 왜 오는지, 비가 오면 동물은 어떻게 피하는지, 무지개는 어떻게 생기는지 등 어린이들이 자연에 대해 갖고 있는 호기심을 그림과 이야기, 정보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서 풀어 주는 그림책이다.
총 5권을 15,500원에 샀다.
손글씨 영수증도 받았고, 다음에는 상봉역의 '좋은책 많은데'를 다녀와야겠다.~
새로운 이번 가을은 내게 아마 서울의' 헌책방 나들이'로
더욱 한층 풍성하고 즐거운 가을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