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날

 

 

 

 

 

 

 

 

               나는

               어느날이라는 말이 좋다.

 

 

 

 

               어느날 나는 태어났고

               어느날 당신도 만났으니까.

 

 

 

 

               그리고

               오늘도 어느날이니까.

 

 

 

 

               나의 시는

               어느날의 일이고

               어느날에 썼다.  (P.10 )

 

 

 

 

 

 

 

 

                   유일한 계획

 

 

 

 

 

 

                 이사를 가면

                 개를 키우겠다.

 

 

                 큰물이 나가면

                 물가에 나란히 앉아

                 물구경하다가

 

 

                 아내가 마당에 서서

                 밥 먹자고 부르면

 

 

                 귀를 쫑긋 세우고

                 나보다 먼저 일어서는

                 개를 한마리 키우겠다.  (P.14 )

 

 

 

 

 

 

 

                     낭만주의 시대

 

 

 

 

 

 

                   외상으로 책을 샀다.

                   책을 외상으로 사들고

                   서점 문을 나서는

                   나는 가난하였다.

                   가난이 달았다.

 

 

 

 

                   책을 외상으로 사들고

                   서점 문을 나서서

                   한시간 오십분 동안 완행버스를 타고

                   책을 보다가

                   차에서 내려 삼십분 동안

                   밤길을 걸어 집으로 왔다.

 

 

 

 

                   어떤날은 헌책을 샀다.

                   지게로 한짐이었다.

 

 

 

 

                   책을 짊어진 나는

                   밤나락을 짊어진 농부처럼

                   성큼성큼 들길을 걸어

                   집으로 왔다.  (P. 26 )

 

 

 

 

 

 

                          울고 들어온 너에게

 

 

 

 

 

 

                        따뜻한 아랫목에 앉아 엉덩이 밑으로 두 손 넣고 엉덩이

                      를 들었다 놨다 되작거리다보면 손도 마음도 따뜻해진다.

                      그러면 나는 꽝꽝 언 들을 헤매다 들어온 네 얼굴을 두 손

                      으로 감싼다.  (P.42 )

 

 

 

 

 

 

                            쉬는 날

 

 

 

 

 

                         사느라고 애들 쓴다.

 

 

                         오늘은 시도 읽지 말고 모두 그냥 쉬어라.

 

 

                         맑은 하늘가에 서서

 

 

                         시드는 햇볕이나 발로 톡톡 차며 놀아라.  (P.60 )

 

 

 

 

 

 

                                    처음

 

 

 

 

 

 

                           새 길 없다.

                           생각해보면

                           어제도 갔던 길이다.

                           다만,

                           이 생각이 처음이다.

                           말하자면,

                           피해가던 진실을

                           만났을 뿐이다.  (P.72 )

 

 

 

 

 

 

 

                           포의(布衣)

 

 

 

 

 

 

                            바람 같은 것들이 사립문 근처에다가 마른 감잎이나 끌

                         어다 놓고

                            인사도 없이 간다.

                          마당에 떨어져 얽힌 감나무 실가지 그림자들을

                          풀어주고

                          내 방에

                          반듯하게 앉아

                          시를 쓰다.  (P.74 )

 

 

 

 

 

 

 

                           산문(散文)

 

 

 

 

 

                              닭들이 장태로 들어가면 나는 닭을 세고 장태 문울 닫

                           았다.

                              우리들은 마당을 쓸어놓고 아버지가 돌아오실 때까지

                           놀았다.

                              아버지는 지게 위에서 칡잎에 싼 산딸기를 뜰방에 내려

                           놓으며

                              땀에 젖은 소매로 얼굴을 닦았다.

                              아버지를 본 소가 여물을 먹다가 고개를 크게 흔들었다.

                              강에서는 물고기들이 개밥바라기별을 향해 별빛 속으로

                              뛰어들고

                              우리들은 마루에 둘러앉아

                              밥을 먹었다.

                              어떤 날은 거지가 우리 밥상에 앉아 같이 밥을 먹었다.  (P.75 )

 

 

 

 

 

 

                                나무

 

 

 

 

 

                               나는 창을

                               등지고 앉아

                               책을 보고

                               글을 쓴다.

                               책을 보다가,

                               글을 쓰다가.

                               문득 뒤돌아보면

                               날이 밝아 있다.

                               나무들이 서 있다.  (P.77 )

 

 

 

 

 

 

                                    -김용택 詩集, <울고 들어온 너에게>-에서

 

 

 

 

 

 

 

 

 

김용택의 한 마디


내가 태어나고 자라 살던 마을로 왔다.
내 인생이 시작되었던 곳에 도착한 셈이다.
시를 정리하면서 어디서 많이 본 듯한데,
또다른 새 얼굴들이 보여서 설렜다.
참새와 잠자리가 같은 전깃줄에 앉는다.
발등을 내려다본다.
속셈 없는 외로움이 사람을 가다듬는다.
강가가 차차 환해진다.
아버지에 대한 시를 쓰면서 편안함을 얻었다.
홀로 멀리 갈 수 있다.

2016년 9월

 

 

 

 

 

 

 

                                 설중매

 

 

 

 

 

                             

                             우리집 진돗개 이름은 개다. 이름 부를 수 없을 때를 위

                           해 이름 없음을 이름 삼았다. 개란 이름은 언제 어디서나

                           계속 태어나니까.

 

 

                              진돗개 똥구멍에 검은 매화 한송이 피어 있다. 개의 가

                           슴에도 사철 바람이 이는지, 꽃잎 살랑거린다. 개 같은 세

                           상! 담배 연기 길게 내뿜는데, 제 이름 부르는 줄 알고 뒤

                           돌아 검은 매화 보여준다. 개도 눈길 받는 구석을 안다. 욕

                           하는 입은 꽃이 아니야, 매화가 옴찔옴찔 속삭인다. 그가

                           꽃잎을 땅바닥 가까이 대니, 뒤꼍도 매화틀*이다. 울 밑도

                           매홧간**이다. 네가 왕이다. 개가 왕후장상이 된 적 벌써

                           오래지 않은가.

 

 

                               깨끗한 뒤끝, 사람이든 짐승이든 내남없이 한송이씩 피

                            어 있구나. 몸이 화분이구나. 눈발 날리는 새벽, 오래도록

                            찾아 헤맨 현묘(玄妙)를 본다. 가슴속 회오리가 거꾸로 처

                            박힌 매화의 꽃대구나. 씹고 뜯고 으르렁거리는 일들이 섣

                            달 눈 녹은 물을 좋아하는 매화나무 뿌리 때문이구나.

 

 

                                억만송이 흰 매화꽃이

                                검은 매화 한송이 만나려고 현현(玄玄)한 밤하늘을 뛰어내

                             린다.  (P.59 )

 

 

 

 

 

 

 

                                  간장 게장

 

 

 

 

 

                               내 이름은 밥도둑이다. 등딱지는

                               열번 넘게 주조(籌造)한 이각반합(二角飯盒)이다.

                               밥 한 그릇 뚝딱! 게 눈 감추듯 치워버리는,

                               이 신비한 밥그릇을 지키려 집게손을 키워왔다.

                               손이 단단하면 이력은 두툼하다.

                               복잡한 과거가 아니라 파도를 넘어온 역사다.

                               양상군자(梁上君子)와 더불어 반상군자(飯上君子)로

                               동서고금의 도둑 중에 이대 성현이 되었다.

                               바다밑바닥을 벼루 삼으니 먹물마저 감미롭다.

                               음주고행으로 보행법까지 따르는 자들이

                               발가락까지 쪽쪽 빨며 찬양하는 바다.

                               내 등딱지를 통해 철통 밥그릇을 배워라.

                               밥그릇은 어떻게 지켜야 하는가?

                               큰 그릇이 되려면 지금의 그릇은 버려라.

                               묵은 밥그릇마저 잘게 부숴 먹어라.

                               언제든 최선을 다해 게거품을 물어라.

                               옆걸음과 뒷걸음이 진보를 낳는다.  (P.49 )

 

 

 

 

 

 

 

                                              말줄임표

 

 

 

 

 

                                바늘이 지나간 한땀 한땀은 말줄임표 같다. 말줄임표에

                                는 마침표가 하나씩 박혀 있다. 말줄임표 하나에 일곱 문

                                장, 여섯 문장은 짧고 한 문장은 길다. 소실점을 향해 박음

                                질된 문장, 시의 운명이다. 마침표만 오롯하다. 삶이 흐느

                                낄 때마다 시는 골무처럼 깜깜해졌다. 골무는 마침표를 반

                                으로 자른 것 같다. 마침표에 손가락을 끼우니, 몸이 숯덩

                                이 전집(全集)이 된다.  (P.72 )

 

 

 

 

                                      -이정록 詩集,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것들의 목록>-에서

 

 

 

 

 

 

 

 

 

 

 

 

 

 

 

 

 

 

 

 

 

 

 

 

 

 

 

 

 

 

 

 


댓글(100) 먼댓글(0) 좋아요(6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2016-10-31 22: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0-31 23: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1 11: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2 23: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2-04 21: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3 15: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3 21: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3 23: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4 09: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5 23: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5 23: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청장고원 2016-11-06 12:23   좋아요 1 | URL
늦가을 잃어버렸던..
잊고 있었던 기억들을 떠올려주는 좋은 시들이네요~

appletreeje 2016-11-06 12:45   좋아요 1 | URL
함께 좋은 느낌으로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오랫만에 버터롤빵을 커피랑 먹고 있는데 맛있습니다~
청장고원님께서도 점심 맛있게 드시고, 늦가을 편안하고
좋은 일요일 되시길요~~^^

2016-11-06 15: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7 08: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8 10: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8 11: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8 12: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8 12: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8 12: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8 12: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9 16: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9 16: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10 14: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10 21: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10 21: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12 14: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14 10: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14 20: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15 13: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16 19: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19 20: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22 13: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23 14: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25 08: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29 00: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29 13: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30 11: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30 16: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2-03 01: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2-03 09: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2-03 22: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2-06 14: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2-06 22: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2-07 16: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2-10 21: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2-08 14: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2-09 18: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2-10 10: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2-10 13: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