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는 어디든지 갈 수 있다 트리플 31
장아미 지음 / 자음과모음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16*183판형의 얇고 가뜬한 양장본 트리플 시리즈의 이번 장아미 작가의 연작소설은, 생과 사. 꿈과 현실. 인간과 (귀)신의 영역이 공존하는 세계의 이야기들을 ‘웃으며 송곳니를 드러내는 밤. 귓것들이 홀리는 밤‘처럼 홀연히 홀려들어가는 小說. 그러나 그 안에는 서로의 안녕을 기원하는 다정한 안부와 응답들이 내재되어 있다. ‘우리는 떠내려가지 않을 것이다. 서로에게 속해있는 이상 그 무엇도 우리를 무너뜨릴 수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안네, 성당에 가다 - 나의 개종 이야기
정 비안네 지음 / 바오로딸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벽에 별을 바라보다가 신의 존재를 느낀 군인에서, 극단적 성향의 개신교 (예비) 해외 선교사에서 우연히 <다미안 신부> <교부들의 신앙> <사하라의 불꽃>等과 여러 여정을 통해 가톨릭 (예비) 신자로 입교하게 되고 뜨겁고 기쁜 삶을 살아가는 이야기들과 참신한 캐릭터와 멋진 作畵로 즐거운 몰입감이 컸던 冊. 가톨릭 교회가 궁금하신 분들이나, 기존 신자들에게도 자신의 신앙 생활을 돌이켜 보게 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 공장 노는날 그림책 22
안오일 지음, 신진호 그림 / 노는날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3이라는 명칭은 1948년 4월 3일에 발생한 대규모 소요 사태에서 유래한다. 4.3사건은 반군 진압을 명분으로 사실상 지구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학살의 유형이 총집합되었다. 제주 4.3의 기억을 담은 주정 공장이 부르는 노래 ‘이어도사나 이어도사나/ 이어도사나 이어도사나/ 우리 배는 잘도 간다 어서 가자/ 저어라 저어라 파도를 넘어간다‘를 기억하며 다시는 이런 비극적인 역사가 있어서는 안되리라. ˝2,000여 명의 수감자가 오래된 창고에서 살고 있는 것이 발견됐습니다. 여성 수가 남성보다 대략 3배나 많았고 팔에 안긴 아기들과 어린이들도 많았습니다. ˝ (1949년 5월 11일 주정 공장을 방문한 UN위원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제야 보이네 - 김창완 첫 산문집 30주년 개정증보판
김창완 지음 / 다산북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1년 구판을 읽었을 때의 100자평 소회는 여전하지만, 작가의 구판과 개정증보판 너머의 프롤로그가 더욱 깊어졌듯이 독자로서도 그간 건너온 시간의 무게로 한층 의미 있고 두터워진 마음으로, 참 좋은 그림들과 詩와 조곤조곤한 문장들로 어지러운 세상을 사는 힘든 마음을 달래 준 귀한 冊 이었다. 김창완밴드의 <열두 살은 열두 살을 살고, 열여섯은 열여섯을 살지>를 다시 듣는 밤. ‘어디서 어떻게 살아가고 있든 삶을 자신에게 다시 선물하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원한 미자 씨 북극곰 꿈나무 그림책 118
정주희 지음 / 북극곰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도 미자 씨는 전생의 취향대로 꾸민, 다음 생의 자신만의 예쁜 방에서 잠이 깨어 방을 나가 나비와 방긋 웃으며 인사를 합니다. 삐삐삐삐 ˝아침부터 누가 날 찾는 거지?˝ ˝자 그럼 가 볼까?˝ 그렇게 미자 씨의 하루가 시작됩니다. 손녀와 아들과 복자 씨와 큰딸과 길냥이와 반려견과 영감님의 그리운 호출에 그들의 기억 속에 들어가 그들과 맘껏 함께 하며 위로를 줍니다. 짠~˝오늘도 잘 살았다!˝ 미자 씨는 여전히 영원히 사랑하는 존재들과 함께 합니다. 오늘은 우리 엄마 기일이다. 나도 김안나 씨와 꿈속에서라도 만나겠네. 엄마야 엄마의 딸로 태어나게 해줘서 고마워. 그리고 항상 나답게 살 수 있게 키워 주셔서 고맙습니다. 살다 보니 쫄리는 마음도 점점 커지지만, 그래도 엄마의 딸답게 잘 살다가 와락, 기쁘게 만납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